1) The Broadly-Tuned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for Multiple Target Colors: 본 연구에서는 색 공간 내의 표적을 정의하는 특징들의 위치에 따라 주의 획득이 일어나는 방식을 알아보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0419
-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Broadly-Tuned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for Multiple Target Colors: 본 연구에서는 색 공간 내의 표적을 정의하는 특징들의 위치에 따라 주의 획득이 일어나는 방식을 알아보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
1) The Broadly-Tuned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for Multiple Target Colors: 본 연구에서는 색 공간 내의 표적을 정의하는 특징들의 위치에 따라 주의 획득이 일어나는 방식을 알아보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수반적 주의 획득 이론에서 예측하는 것과는 달리 표적 색이 아닌 다른 색이 단서로 제시되었을 때도 주의를 획득하였고, 주의 통제 자세는 특정한 색의 값에 의해 좁은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넓은 범위에 맞춰진 필터에 의해 설정됨을 발견하였다.
2) The Flexible Nature of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하향적 통제에 따라 형성되는 주의 자세는 어떤 특성에 주의를 할당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함으로 과제의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연구에서 방해자극을 추가하여 주의 자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표적 색이 둘 이상일 때 주의는 방해자극을 제외하고 모든 색에 주의를 할당하는 반면, 표적 색이 하나 일 때 표적 색을 제외하고 방해자극을 포함한 다른 색들은 억제함이 관찰되었다. 표적의 개수와 같은 과제 목표와 방해자극과 같은 과제 환경이 주의 자세를 변화시키며, 기존 연구와는 달리 더 유연하고 세밀하게 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3) Psychophysiological evidence for the non-target singleton suppression: 과제와 무관련한 단독자 단서가 해당 위치의 표적에 대한 반응을 상대적으로 늦추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제와 무관련한 단독자의 처리가 억압되는 것인지, 아니면 과제 관련 자극들이 주의를 획득하여 촉진효과를 유발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 사건관련전위에서 N2pc와 Pd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과제 관련 자극들만이 자동적으로 주의를 획득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극 주도적 주의 획득에서 외부 자극 속성에 대한 민감도를 조절하여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는 주의 자세의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Brodly-Tuned Attnetional Control Settings for multiple target colors: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the multiple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by multiple target colors ca...
1) The Brodly-Tuned Attnetional Control Settings for multiple target colors: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the multiple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by multiple target colors can be influenced by the broadly-tuned characteristic of the color fe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an intervening non-target color cue captured attention as much as the two distinctive target color cues did whereas this pattern was not found for the outside non-target color cue,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based on the contingent capture account. The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were set by broadly-tuned filters, rather than fixed values.
2) The Flexible Nature of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Top-down control settings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ention allocation to perform a task at hand efficiently.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properties of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by using multiple different distractors. When there were multiple target colors but one distractor color defined, all color but the color of the distractor captured visual attention. However, when there was one target color but multiple distractor colors, all color cues but the target color cue showed suppression effects on allocation of vis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