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상담 경력 5년 이상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86627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9-148(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상담 경력 5년 이상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
본 연구는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을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상담 경력 5년 이상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한 수퍼바이저의 개입은 132개의 핵심개념, 5개의 영역,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5개의 영역은 ‘집단 수퍼비전 운영’, ‘사례 이해와 상담 진행에 대한 교육’, ‘집단의 상호작용 촉진과 활용’,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활용’, ‘수퍼바이저의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집단 수퍼바이저의 개입은 ‘수퍼바이저가 의도를 가지고, 집단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하도록 이끔’과 ‘다양한 방법으로 수퍼바이지들을 교육함’, ‘개별 수퍼바이지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가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단 수퍼비전 운영과 관련되어 ‘구조화’와 ‘편안한 분위기 조성’이 확인이 되었고, 집단 수퍼바이저의 특성으로서 ‘상담자로서 먼저 경험한 어른, 선배로 도움을 주는 존재’로 ‘진심’으로 돕고자 하며, ‘여유와 유머가 있으며, 표현력이 좋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와 비교하고, 향후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의 개입에 대한 연구 과제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수연 ; 장성숙,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한국상담학회 12 (12): 1051-1067, 2011
2 HIll, C. E.,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학지사 2016
3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4 김명화 ; 홍혜영,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5 최서윤 ; 최한나,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119-1138, 2019
6 오효정 ; 최한나,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한국상담학회 16 (16): 75-94, 2015
7 유영권, "집단수퍼비전의 이해와 활용에 관하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14 : 143-170, 2007
8 손승희,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8 (8): 115-137, 2019
9 박소연, "집단 수퍼비전의 집단역동에 관한중급 상담자 인식변화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20
10 고홍월 ; 홍지선 ; 전호정 ; 조수연,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97-119, 2015
1 소수연 ; 장성숙,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한국상담학회 12 (12): 1051-1067, 2011
2 HIll, C. E.,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학지사 2016
3 이승은,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441-460, 2003
4 김명화 ; 홍혜영,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73-594, 2017
5 최서윤 ; 최한나,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119-1138, 2019
6 오효정 ; 최한나,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한국상담학회 16 (16): 75-94, 2015
7 유영권, "집단수퍼비전의 이해와 활용에 관하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14 : 143-170, 2007
8 손승희,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8 (8): 115-137, 2019
9 박소연, "집단 수퍼비전의 집단역동에 관한중급 상담자 인식변화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2020
10 고홍월 ; 홍지선 ; 전호정 ; 조수연,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97-119, 2015
11 정영미, "집단 수퍼비전에서의 부정적 경험에 대한 수퍼바이지 자기대화 분석 : 상담자 발달 수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12 홍지영 ; 하정,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한국상담학회 10 (10): 1427-1451, 2009
13 하정 ; 홍지영, "집단 수퍼비전 경험을 통한 상담자의 발달적 변화 과정" 교육연구소 12 (12): 279-303, 2011
14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자격증"
15 소수연 ; 장성숙,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93-222, 2014
16 조혜영 ; 최한나, "수퍼비전 스타일이 소집단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퍼바이지 비개방과 동료집단 친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발달지원학회 10 (10): 43-63, 2021
17 소수연, "수퍼바이저의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탐색과 수퍼비전 수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18 손진희, "수퍼바이저 행동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젼 요소 연구" 한국상담학회 5 (5): 243-261, 2004
19 신은혜 ; 신서원 ; 김창대, "소집단 수퍼비전에서 동료 수련생에 의한 긍정적․부정적 사건과 그 영향" 한국상담학회 20 (20): 67-87, 2019
20 왕은자, "소집단 수퍼비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1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17 (17): 1-18, 1999
22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자격증 소개"
23 유영권, "상담수퍼비전 이론과 실제" 학지사 259-290, 2019
24 주수현, "상담수퍼바이저의 역량모형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2019
25 김선혜 ; 한영주, "상담 현장실습생들의 집단 수퍼비전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상담학회 20 (20): 243-264, 2019
26 서은주 ; 권경인, "상담 전공 박사과정생의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SOS) 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97-318, 2021
27 장세미 ; 장성숙,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수퍼바이저 발달 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 요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88-502, 2016
28 권혜영 ; 조은숙, "국내 상담 슈퍼비전 연구의 동향 -이전 시기(1998년∼2008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8 (28): 135-160, 2020
29 Skovholt, T. M.,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hn Wiley and Sons 1992
30 Holloway, E. L., "Supervision : Its contributions to treatment efficacy" 63 (63): 207-213, 1995
31 Hinkle, M. G., "Psychodrama : A creative approach for addressing parallel process in group supervision" 3 (3): 401-415, 2008
32 Prieto, L. R., "Practicum class supervision in CACREP-accredited counselor training programs : A national survey" 38 (38): 113-123, 1998
33 Bang, K., "Korean Supervisor's Experiences in Clinical Supervision" 37 (37): 1042-1075, 2009
34 Enyedy, K. C., "Hindering Phenomena in Group Supervis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34 (34): 312-317, 2003
35 Lambert, M. J.,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John Wiley 421-446, 1997
36 Riva, M. T., "Group supervision practices at psychology predoctoral internship programs : A national survey. Professional Psychology" 26 (26): 523-525, 1995
37 Grassby, S., "Group supervision is a distinct supervisor competency : empirical evidence and a brief scale for supervisory practice" 57 (57): 352-358, 2022
38 Fleming, L. M., "Group process and learning : A grounded theory model of group supervision" 4 (4): 194-203, 2010
39 Holloway, E. L., "Group Supervision : Widely Practiced But Poorly Understood" 24 (24): 332-340, 1985
40 Bernard, J. M., "Fundaments of clinical supervision" Allyn & Bacon 2004
41 Bernard, J. M.,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Pearson 2009
42 Ray, D., "Effectiveness of group supervision versus combined group and individual supervision" 40 (40): 19-30, 2000
43 Grigg, G., "Designs and discriminations for clinical group supervision in counseling psychology : An analysis" 40 (40): 110-122, 2006
44 Hill, C. E., "Contribution of supervisor interventions to client change : The therapist perspective" 35 (35): 227-248, 2016
45 Falender, C. A.,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46 Linton, J. M., "A preliminary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group processes in group supervision : Perspectives of master's level practicum students" 28 (28): 215-226, 2003
47 Borders, L. D., "A Systematic Approach to Peer Group Supervision" 69 (69): 248-252, 1991
48 McAuliffe, G. J., "A Case Presentation Approach to Group Supervision for Community College Counselors" 31 (31): 163-174, 1992
시간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경험회피의 순차매개효과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년의 차별경험과 대처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집단상담에서 높은 작업동맹을 맺은 집단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초-중 전환기 정서․행동 관심군의 정서능력과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