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초기 진단 방법으로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 검사가 주로 쓰인다.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검사는 의료기관 이외에도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우울증 선별 검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2202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5-75(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울증 초기 진단 방법으로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 검사가 주로 쓰인다.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검사는 의료기관 이외에도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우울증 선별 검사 ...
우울증 초기 진단 방법으로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 검사가 주로 쓰인다. 자기보고식 우울증 선별검사는 의료기관 이외에도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우울증 선별 검사 결과에 따른 적절한 사후조치가 없어 오히려 치료에 대한 동기 결여로 인해 역효과가 발생했다. 본 연구는 우울증 위험 척도 예측 결과 및 생체신호 분석 결과 시각화 제공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의료기관 방문을 위한 판단 참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우울증 선별검사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합 기술은 데이터 취득을 위한 DAQ 시스템, 우울증 위험 척도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인공지능모델의 입력이 될 생체신호 분석 결과와 우울증 위험 척도 예측 결과의 시각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특히, DAQ 시스템은, 본 연구과정에서 개발한 우울증 선별 검사 통합 비침습 생체신호 취득 시나리오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용 앱 포함하고 있다. 우울증 위험 척도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경우, 직접 만 19세~50세 남,여 29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선별 검사 통합 시나리오 기반 데이터를 수집을 통해 인공지능 훈련 및 평가를 수행하여 적용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lf-report depression screening tests are commonly used as an initial diagnosis method for depression. However, these tests are easily accessible on the internet, but there is no appropriate follow-up measur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ich lead...
Self-report depression screening tests are commonly used as an initial diagnosis method for depression. However, these tests are easily accessible on the internet, but there is no appropriate follow-up measur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which leads to a counter-effect due to the lack of motivation for treat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decision to visit a medical institution by providing visualized results of depression risk scale prediction and biosignal analysis. The system consists of a DAQ system for data acquisi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depression risk scale prediction, and a visualization system for biosignal analysis resul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results. In particular, the DAQ system includes a wearable devicespecific app based on a non-invasive biosignal acquisition scenario integrated with depression screening test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we collected data from 29 male and female subjects aged 19 to 50 based on the integrated scenario and appli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and evaluated through the data.
노인 돌봄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 휴머니즘 기반 서비스의 통합: AI스피커를 활용한 대화형 에이전트와 ICT care manager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비상상황 스트레스가 신체피로, WLB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중집단분석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의 매개효과
긍정심리자본이 정서적 소진 및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18회 김옥길기념강좌] 인공지능, 감정, 휴머니즘(Human-Compatible Artificial Intelligence’)’
이화여자대학교 스튜어드 러셀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인공지능의 이해
건국대학교 백우진인공지능의 이해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