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학의 논문들은 전형적으로 가설연역적 방법의 연구절차를 문자적으로 재현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것은 가설연역적 방법이 오랫동안 표준적인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학 연구를 지배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가설연역적 방법은 과학적 탐구과정의 극히 일부분에서만 사용되는 형식논리적 절차로서, 특히 전제에 대한 가공과 변형만을 허용함으로써 사회현실을 해명하는 새로운 견해의 창출을 제약하기 때문에 충실하고 적절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협약주의 과학철학자들은 이미 1960년대부터 이론의 경험의존성 명제 및 이론의 경험적 미결정성 명제를 제출하면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성립불가능성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지위에 근거를 두고 실행되는 사회학의 전형적인 글쓰기 형식은, 사실상 그 기초가 취약한 것이다. 과학활동의 핵심은 경험에 대한 설명이며, 과학적 방법이란 경험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실재, 즉 실체들과 과정들을 찾아내려는 시도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유능력의 훈련되고 합리적으로 통제된 활용을 묶어서 부르는 이름인 것이다. 그리고 사회학의 글쓰기도, 저명한 저작들에 대한 분석에서 확인되듯, 경험에서 출발하여 실재로 나아가거나 실재에서 출발하여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경험과 실재를 연결짓는 것이 적절한 형식이다.
      번역하기

      사회학의 논문들은 전형적으로 가설연역적 방법의 연구절차를 문자적으로 재현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것은 가설연역적 방법이 오랫동안 표준적인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학 연구를 지배해 ...

      사회학의 논문들은 전형적으로 가설연역적 방법의 연구절차를 문자적으로 재현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것은 가설연역적 방법이 오랫동안 표준적인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학 연구를 지배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가설연역적 방법은 과학적 탐구과정의 극히 일부분에서만 사용되는 형식논리적 절차로서, 특히 전제에 대한 가공과 변형만을 허용함으로써 사회현실을 해명하는 새로운 견해의 창출을 제약하기 때문에 충실하고 적절한 과학적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협약주의 과학철학자들은 이미 1960년대부터 이론의 경험의존성 명제 및 이론의 경험적 미결정성 명제를 제출하면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성립불가능성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가설연역적 방법의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지위에 근거를 두고 실행되는 사회학의 전형적인 글쓰기 형식은, 사실상 그 기초가 취약한 것이다. 과학활동의 핵심은 경험에 대한 설명이며, 과학적 방법이란 경험을 발생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실재, 즉 실체들과 과정들을 찾아내려는 시도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유능력의 훈련되고 합리적으로 통제된 활용을 묶어서 부르는 이름인 것이다. 그리고 사회학의 글쓰기도, 저명한 저작들에 대한 분석에서 확인되듯, 경험에서 출발하여 실재로 나아가거나 실재에서 출발하여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경험과 실재를 연결짓는 것이 적절한 형식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ypical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which reproduces the research process of hypothetico-deductive method literally. This positivisminspired method has dominated research practices in sociology for several decades as standard scientific method. But it is used in a small part of the whole scientific inquiry. Especially, this formal logical procedure allows only to process and transform the promises so that restrict researcher not to proceed to create the new idea which explains social reality. And conventionalists' theory-ladenness thesis and Duhem-Quine’s underdetermination thesis have pointed that H-D method does not work and scientific practices do not follow it. So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for the typical form, influences of which are grounded on H-D method as the scientific method. Scientific practices can be characterized as pursuit of a plausible explanation for experiences. Scientific method designates all the disciplined and rationally controlled uses of various creative thoughts that operate in seeking to postulate the realities, i.e. entities and processes generating phenomena. And as distinguished sociological works show, adequate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is, by proceeding from experiences to realities or reverse, connecting them.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typical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which reproduces the research process of hypothetico-deductive method literally. This positivisminspired method has dominated research practices in sociology for several decades as standard...

      This study examines the typical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which reproduces the research process of hypothetico-deductive method literally. This positivisminspired method has dominated research practices in sociology for several decades as standard scientific method. But it is used in a small part of the whole scientific inquiry. Especially, this formal logical procedure allows only to process and transform the promises so that restrict researcher not to proceed to create the new idea which explains social reality. And conventionalists' theory-ladenness thesis and Duhem-Quine’s underdetermination thesis have pointed that H-D method does not work and scientific practices do not follow it. So there is no solid foundation for the typical form, influences of which are grounded on H-D method as the scientific method. Scientific practices can be characterized as pursuit of a plausible explanation for experiences. Scientific method designates all the disciplined and rationally controlled uses of various creative thoughts that operate in seeking to postulate the realities, i.e. entities and processes generating phenomena. And as distinguished sociological works show, adequate form of sociological writings is, by proceeding from experiences to realities or reverse, connecting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학술논문의 전형
      • Ⅱ. ‘가설연역적 방법’
      • Ⅲ. ‘과학적 방법’?
      • Ⅳ. 설명적 과학
      • Ⅴ. 사회학 글쓰기
      • Ⅰ. 학술논문의 전형
      • Ⅱ. ‘가설연역적 방법’
      • Ⅲ. ‘과학적 방법’?
      • Ⅳ. 설명적 과학
      • Ⅴ. 사회학 글쓰기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현진, "한국 사회학의 해부 : 자아정체성과 유관적합성을 중심으로" (19) : 41-68, 2000

      2 이기홍, "한국 사회과학의 논리와 과학성"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43) : 39-57, 2004

      3 베버(M. Weber),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문예출판사 1996

      4 최문경, "자영업, 선택인가? 한국과 미국" 39 (39): 21-51, 2005

      5 마르크스, "임금노동과 자본" 91-135, 1988

      6 매니카스, "실재론적 사회과학" 한울 211-254, 2005

      7 다네마르크, "새로운 사회과학방법론" 한울 2005

      8 윈치, "사회과학과 철학" 서광사 1985

      9 Gorski, P. S, "The poverty of deductivism: A constructive realist model of sociological explanation" 34 (34): 1-33, 2004

      10 Popper,K,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Basic Books 1959

      1 임현진, "한국 사회학의 해부 : 자아정체성과 유관적합성을 중심으로" (19) : 41-68, 2000

      2 이기홍, "한국 사회과학의 논리와 과학성"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43) : 39-57, 2004

      3 베버(M. Weber),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문예출판사 1996

      4 최문경, "자영업, 선택인가? 한국과 미국" 39 (39): 21-51, 2005

      5 마르크스, "임금노동과 자본" 91-135, 1988

      6 매니카스, "실재론적 사회과학" 한울 211-254, 2005

      7 다네마르크, "새로운 사회과학방법론" 한울 2005

      8 윈치, "사회과학과 철학" 서광사 1985

      9 Gorski, P. S, "The poverty of deductivism: A constructive realist model of sociological explanation" 34 (34): 1-33, 2004

      10 Popper,K,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Basic Books 1959

      11 Lynch, M, "Sociology’s asociological ‘core’: An examination of textbook sociology in light of the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62 (62): 481-493, 1997

      12 Gramsci,A,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1

      13 Lawson,T, "Reorienting Economics" Routledge 2003

      14 Laudan,L, "Progress and its Problems" The University Press of California 1977

      15 Hanson,N.R, "Patterns of Discove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1

      16 Aliseda, A, "Logics in scientific discovery" (9) : 339-363, 2004

      17 Ollman,B, "Dialectical Investigation" Routledge 1993

      18 Bhaskar, "A Realist Theory of Science" Leeds Books Ltd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8 1.94 2.506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