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Searching for effective directions on pre-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ors for inclusiv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a search for effective directions on the course of special pre-educators, including areas which should be emphasized on pre-educatio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special educators who have had lots of field experience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It is very important for pre-educators to know how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and how to acquire skills related to cooperation. Second, theoretical knowledge and executional methods of co-teaching. Third, concrete planning of instruction and instructive behavior method.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lots of knowledge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IEP and substantial teaching-modification. Fifth, capabilities to evaluate and diagnosis disabilities in order to plan effective teaching model. Sixth, It is necessary to have opport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pecial class). Finall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endowed with capabilities to superintend persons relat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a search for effective directions on the course of special pre-educators, including areas which should be emphasized on pre-educatio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special educators who...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a search for effective directions on the course of special pre-educators, including areas which should be emphasized on pre-educatio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special educators who have had lots of field experience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It is very important for pre-educators to know how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and how to acquire skills related to cooperation. Second, theoretical knowledge and executional methods of co-teaching. Third, concrete planning of instruction and instructive behavior method.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lots of knowledge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IEP and substantial teaching-modification. Fifth, capabilities to evaluate and diagnosis disabilities in order to plan effective teaching model. Sixth, It is necessary to have opport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pecial class). Finall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endowed with capabilities to superintend persons relat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교사의 직전교육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예비 특수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 직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심층 면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 직전교육에서 협력방법 및 기술이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되었으며, 둘째, 협력교수의 이론적 지식과 실행 방법, 셋째 수업설계 및 교과 지도, 넷째,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지식, 다섯째, 교수계획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능력 여섯째, 일반학교(특수학급)에서의 교육실습, 마지막으로 인적자원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교사의 직전교육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예비 특수교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교사의 직전교육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예비 특수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 직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심층 면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 직전교육에서 협력방법 및 기술이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되었으며, 둘째, 협력교수의 이론적 지식과 실행 방법, 셋째 수업설계 및 교과 지도, 넷째,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지식, 다섯째, 교수계획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능력 여섯째, 일반학교(특수학급)에서의 교육실습, 마지막으로 인적자원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 교사양성재도 및 양성과정의 모형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8 : 101-131, 1980

      2 김병하, "한국특수교육 교사 양성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구사회사업대학 특수교육연구소 1976

      3 이대식, "한국 통합교육의 과제와 전망" 성신여자대학교 2007

      4 윤점룡, "학령기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81-117, 2006

      5 최세민, "특수학급경영론" 박학사 2005

      6 방명애,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6 (6): 171-187, 1999

      7 윤점룡, "특수학교교사 자격 및 양성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김영욱, "특수교육 교원 양성의 표준적 모형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01-130, 2002

      9 김정권, "특수교육 교사양성제도 및 과정의 개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1988

      10 김재규, "특수교육 교사양성 교육과정 표준 연구" 중앙교육심의회 1991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 교사양성재도 및 양성과정의 모형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8 : 101-131, 1980

      2 김병하, "한국특수교육 교사 양성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구사회사업대학 특수교육연구소 1976

      3 이대식, "한국 통합교육의 과제와 전망" 성신여자대학교 2007

      4 윤점룡, "학령기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81-117, 2006

      5 최세민, "특수학급경영론" 박학사 2005

      6 방명애,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6 (6): 171-187, 1999

      7 윤점룡, "특수학교교사 자격 및 양성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김영욱, "특수교육 교원 양성의 표준적 모형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01-130, 2002

      9 김정권, "특수교육 교사양성제도 및 과정의 개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1988

      10 김재규, "특수교육 교사양성 교육과정 표준 연구" 중앙교육심의회 1991

      11 김병하, "특수교육 교사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6

      12 이효자, "특수교육 교사 현직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 2007

      13 김병하,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 한국특수교육학회 31-52, 2007

      14 김삼섭, "특수교육 교사 양성의 현재와 미래"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15 정정진, "특수교사의 양성체제; 특수교육 교사 양성의 현재와 미래" 한국특수교육학회 53-79, 2003

      16 정정진,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83-112, 2002

      17 유장순,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초등학교 협력교수 수행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2001

      18 정정진,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07-328, 2006

      19 이영학, "초등통합학급 내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교사들의 교수적 조정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45-268, 2003

      20 황순자, "장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연구" 13 (13): 153-180, 2000

      21 박승희, "일반학급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역할" 10 : 177-197, 1998

      22 고명숙, "미국 통합교육의 과제와 전망" 성신여자대학교 2007

      23 이대식, "교육대학교에서의 통합교육 담당교사 교육의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67-88, 2004

      24 장병호,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 한국특수교육학회 71-75, 2007

      25 최상배,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 한국특수교육학회 65-69, 2007

      26 김희연,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 한국특수교육학회 53-58, 2007

      27 김진호,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 한국특수교육학회 61-64, 2007

      28 Alder, R.,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current English" Clarendon Press 1991

      29 Schulz, J. B., "Teaching social studies and science. Mainstreaming exceptional student" Simon & Schuster 304-417, 1991

      30 Cruickshank, D. R., "Reflective teaching: The preparation of students of teaching"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1987

      31 Pultorak, E. G., "Follow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flection in novice teachers : three years of investigation" 47 (47): 288-295, 1996

      32 Stainback, S, "Curriculum considerations in inclusive classrooms Facilitating learning for all students" Paul H Brookes 1992

      33 Bauwens, J.,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Pro-ded 46-, 1995

      34 Pugach, M. C., "Collaborative practitioners collaborative schools" Love Publshing Company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