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동기, 가족체계 간의 구조모형 분석 =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Creativity, Motivation, Family System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5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창의성) 비인지적 요인(동기), 가정환경적 요인(가족체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본 연구는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창의성) 비인지적 요인(동기), 가정환경적 요인(가족체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8곳에서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30명의 부모와 담임교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Cronbach’s α) 계수 및 상관계수를 구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동기, 가족체계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RMSEA=.016(.000~.066), SRMR= .044, TLI=.996, CFI=.999로 모두 권장 적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창의성, 가족체계가 유아 영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체계는 유아 영재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체계는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ifted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related variables(creativity, motivation, family system). 230 preschoo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from U-city have participa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ifted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related variables(creativity, motivation, family system). 230 preschoo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from U-city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and AMOS.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CFI, and TL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ystem(adaptability, cohe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Second,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moreover they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through family system. Third, motiva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gifted preschool childr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쌤앤파커스 2011

      2 황근순, "지능과 창의성에 의한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비교"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59-270, 2005

      3 임지향, "정신지체 가정의 가족기능과 어머니의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2000

      4 오미형,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간의 인과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5 정민자,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6 배혜선, "유아의 영재성과 창의성의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채호, "유아의 동기와 가족기능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83-95, 2015

      8 조현정,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51-263, 2010

      9 김호,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83-298, 2008

      10 최현주,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쌤앤파커스 2011

      2 황근순, "지능과 창의성에 의한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비교"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59-270, 2005

      3 임지향, "정신지체 가정의 가족기능과 어머니의 일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2000

      4 오미형,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 인지적 특성간의 인과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5 정민자,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6 배혜선, "유아의 영재성과 창의성의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채호, "유아의 동기와 가족기능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5 (15): 83-95, 2015

      8 조현정,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51-263, 2010

      9 김호, "유아의 내·외적 동기 및 어머니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83-298, 2008

      10 최현주,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이채호, "유아영재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175-184, 2010

      12 이채호, "유아영재 측정모형 타당화 및 관련변인들과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빛내, "유아 영재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옥형,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35 : 27-56, 2001

      15 정선미, "영재유아 어머니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간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황해익, "영재성 판별 모형 개발을 위한 영재성 개념 탐색" 11 : 39-56, 2003

      17 박성인,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2003

      18 "영재교육진흥법 (2000). 제정 2000, 1, 28, 법률 제6215호"

      19 정정희, "언어영재와 일반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과 언어적 창의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19-234, 2007

      20 장영숙,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정 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85-111, 2007

      21 이채호,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영재학회 21 (21): 449-463, 2011

      22 이순복, "부모 및 가족 특성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83-310, 2006

      23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7, 2000

      24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5 이채호, "교사용 유아 영재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재학회 22 (22): 483-497, 2012

      26 Gogel, E. M., "What parents are saying" 41 : 7-9, 1985

      27 Renzulli, J. S.,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60 (60): 180-184, 1978

      28 Torrance, E. P., "Thinking Creatively in Action and Movement"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1981

      29 Karnes, M., "The underserved: Our young gifted children"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83

      30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ringer-Verlag 1983

      31 Renzulli, J. S.,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Creative Learning Press 1985

      32 Renzulli, J. S.,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Creative Learning Press 1997

      33 Gardner, H., "The frames of minds: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Basic Books 1983

      34 Amabile, T. M.,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66 (66): 950-967, 1994

      35 Csikszentmihalyi, M.,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36 Kingore, B., "The Kingore Observation Inventory(KOI)" Professional Associates Publishing 2001

      37 McCarney, S. B., "The Gifted Evaluation Scale (3nd ed.): Technical manual" Hawthorne Educational Services, Inc 2009

      38 Erlich, V., "The Astor Program for gifted children: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three" Teachers College Press 1978

      39 Csikszentmihalyi, M.,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0 Kaufmann, F. A., "Some inplications for home-school linkages" 6 (6): 49-51, 1983

      41 Gross, M., "Small puppies : Highly gifted children in the early years" 21 (21): 207-214, 1999

      42 Renzulli, J. S.,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Creative Learning Press 1976

      43 Renzulli, J. S.,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Creative Learning Press 2002

      44 Ryser, G. R., "Scale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Prufrock Press, Inc 2004

      45 Csikszentmihalyi, M.,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2)" Sage 1982

      46 Boomsma, A., "Reporting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7 (7): 461-483, 2000

      47 Simpson, N. D.,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creativity, motivation, and gender role identity of gifted children" Univ. of Houston 1999

      48 McDonald, R. P.,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7 (7): 64-82, 2002

      49 Benbow, C. P., "Predictor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by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 A longitudinal study" 82 (82): 430-441, 1990

      50 MacKinnon, D. W., "Personality an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20 : 273-281, 1965

      51 Verna, M. A., "Parental processes and self-concepts e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talian students" 2002

      52 Gardner, H., "Multiple intelligence" Basic Books 1993

      53 Landau, E., "Motivation and Giftedness" 11 (11): 139-142, 1996

      54 Bisno, M. H., "Memories of parental attitudes and child-rearing behaviors among the intellectually gifted and creative"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Berkeley 1996

      55 Kranz, B., "Kranz talent identification instrument" Moorhead State College 1981

      56 Rimm, S. B., "Key to parenting the gifted child" Barron's Educational Series 2001

      57 Gagné, F.,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Elsevier 2000

      58 Pfeiffer, S. I., "Identifying young gifted dhildren using the gifted rating scales-preschool/kindergarten form" 52 (52): 19-29, 2008

      59 Olszewski-Kubilius, P.,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Springer 53-70, 2008

      60 Silverman, L. K.,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Springer 2008

      61 Makel, M. C.,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Kluwer Academic 2008

      62 Torrance, E. P., "Guiding creative talent" Robert E. Krieger 1976

      63 Harrison, C., "Gifted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search for complexity and connection" 26 (26): 78-84, 2004

      64 Gagné, F., "Giftedness and talent :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29 (29): 103-112, 1985

      65 Karen, J. A., "Gifted: The lost minority" 168-172, 2001

      66 Gilliam, J. E., "Gifted and Talent Evaluation Scales:A norm-referenced procedure for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PRO-ED 1996

      67 Terman, L. M., "Genetic studies of genius(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University Press 1947

      68 Terman, L. M., "Genetic studies of genius(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25

      69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Row 1990

      70 Herskovits, M.,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lity" 14 (14): 237-246, 2000

      71 Hodge, A. H., "Exploring the nature of giftedness in preschool children" 24 (24): 46-73, 2000

      72 Davis, G. A.,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Prentice-Hall 2004

      73 Barbour, N. E.,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 A collaborative perspective" 15 (15): 145-162, 1992

      74 Bloom, B. S.,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Ballatine Books 1985

      75 Roedell, W. C., "Developing social competencies in gifted preschool children" 6 (6): 6-11, 1985

      76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1996

      77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78 Runco, M. A., "Creativity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The developmental issues" Jossey Bass 1996

      79 Dacey, J. S., "Creativity assesment: Reading and resources" CEF Press 323-345, 1999

      80 Hennessey, B. A., "Creativity and learning" NEY Professional Library 1987

      81 Goertzel, V., "Cradles of eminence" Little, Brawn 1962

      82 Renzulli, J. S., "Conceptualization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92, 1986

      83 Sternberg, R. J.,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4 Runco, M. A.,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5-311, 2005

      85 Renzulli, J. 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6-279, 2005

      86 Feldhusen, J. F.,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2-127, 1986

      87 Olson, D. H., "Clinical rating scale for circumplex mode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92

      88 Sternberg, R. J.,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89 Gottfried, A. E., "A longitudinal study of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 childhood through early adolescence" 40 (40): 179-183,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