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言妙選>>은 栗谷 李珥(1536-1584)가 중국의 역대 시들을 풍격별로 선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율곡은 그의 문학사적 위상로 보아 도학파 문학의 중심을 차지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9704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精言妙選>>은 栗谷 李珥(1536-1584)가 중국의 역대 시들을 풍격별로 선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율곡은 그의 문학사적 위상로 보아 도학파 문학의 중심을 차지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
<<精言妙選>>은 栗谷 李珥(1536-1584)가 중국의 역대 시들을 풍격별로 선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율곡은 그의 문학사적 위상로 보아 도학파 문학의 중심을 차지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이 책에 제시된 풍격의 특징을 파악하는 작업은 그의 문예의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긴요하다. 그러나 이 책과 관련해 지금까지 학계에 발표된 논문들은 주로 문헌적 검토나 전8집에 제시된 '敍'에 나타난 풍격론에 그치고 있어, 각집에 선집된 시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각 풍격의 특징을 밝혀내는 잡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창작 시기에 있어 漢代에서 宋代까지 망라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자에 있어서도 유가는 물론 도가와 불가의 작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로 보아 이 책에 수록된 시들은 율곡의 영매한 문학적 자질과 정박한 학문적 역량에 의해, 그의 폭넓은 철학적 이론 사유에 기초한 심미안으로 진정 수준 높은 예술 형상을 지닌 작품만을 풍격별로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협은 그의 <<문심조룡>>에서 진정으로 풍격을 이루어서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는 작품은 고도의 문학적 수련에 의해 제재를 내재화하여 이를 자신의 성정으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자신의 성정으로 표출해낸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시인의 시를 헤쳐서 시인의 성정에 도달하면 작품속에 담겨 있는 인격, 사상, 시대 내지는 문학적 기교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로 보아 우리는 <<정언묘선>>에 선집된 시의 분석을 통하여 율곡이 중국 역대의 시들을 풍격별로 분류하면서 보여준 학문적, 예술적 내재 역량의 수준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일체의 세속적 욕심에서 벗어나 생생지리에 의해 펼쳐진 만물을 바라보면서 자신의 삶을 돌이켜보고 성정지정을 회복하려는 도학시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에 제시된 풍격은 모두 8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元字集>에 113수, <亨字集>에 58수, <利字集>에 119수가 '沖澹蕭散', '閑美淸適', '淸新灑落' 등의 풍격으로 제시된 작품들이 그 숫자와 내용으로 보아 율곡이 추구하는 풍격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풍격을 중심으로 각 풍격에 제시된 작품의 시대별, 작가별, 사상별, 주제별 특징과 함께 운율이나 표현기법 등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각 풍격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율곡과 퇴계로 대표되는 도학파의 문예미학을 파악함은 물론, 한문학 연구의 핵심인 풍격의 본질적 이해에도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