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족과 한족의 한국 제품 구매 행태의 매개 변수 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 Korean Chinese vs. Han Chinese in Consumption of Korean Products and Their Mediators: An Empirical Investi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5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선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과 한족 사이에 한국 제품 구매 행태와 한류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조선족과 한족 집단 ...

      본 연구는, 우선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과 한족 사이에 한국 제품 구매 행태와 한류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조선족과 한족 집단 간에 한국 제품 보유/경험 정도, 한국 제품 구매의도와 함께 한류 드라마에 대한 호감도와 한류 스타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를 우선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가 존재하게 된 매개 변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 변수로서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어 능력 그리고 한국 노출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길림성 연길시와 장춘시에 거주하는 조선족과 한족 대학생 각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조선족과 한족 집단 간에 한국 제품 구매 행태와 한류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그 차이는 매개 변수의 차이 즉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어 구사 능력 그리고 한국 노출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이들 매개변수를 통제한 결과, 두 민족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족 간의 차이는 매개 변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을 시사해주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학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마케팅 관점에서 시사점이 논의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irst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and Han Chinese in their consumption behavior towards Korean product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dramas. In addition, such differences are hypothesized ...

      This study is first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and Han Chinese in their consumption behavior towards Korean products and their attitudes towards Korean dramas. In addition, such differences are hypothesized to be mediated by their differences in Chinese identity, Korean linguistic abilities, and exposures to Korea and Korean TV programs.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college students at two major universities in the Gilin province with 160 Korean Chinese and 160 Han Chinese.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and Han Chinese in their experienc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products and in their attitudes toward Korean TV dramas and stars. But such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mediated by their differences in Chinese identity, Korean linguistic abilities, and exposures to Korea and Korean TV programs. Finally, academic and market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 Ⅲ. 연구 방법
      • Ⅳ. 실증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 Ⅲ. 연구 방법
      • Ⅳ. 실증분석
      • Ⅴ. 토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2 유재웅,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PR학회 11 (11): 126-158, 2007

      3 한충민, "중국진출 한국 기업의 마케팅 성공 사례 연구" 28 (28): 637-657, 1999

      4 김진, "중국 연변지역 수용자의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이용: 한족과 조선족의 차이를 중심으로" (24) : 133-150, 2005

      5 이장호, "중국 연변 조선족의 의식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심리과학연구소 4 (4): 31-46, 1995

      6 예동근, "조선족의 도시 이주적응과 다민족 관계" 세계한상문화연구단 6 (6): 39-60, 2012

      7 박혜원, "이중언어 사용이 선택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연변 조선족과 한족아동의 선택적 주의수행 비교" 이중언어학회 (23) : 113-136, 2003

      8 홍성태, "애국심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15 (15): 71-99, 2010

      9 유충걸, "백두산과 연변조선족" 백산출판사 1993

      10 한충민, "동남아에서의 한․중․일의 문화선호도 비교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3

      1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2 유재웅,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PR학회 11 (11): 126-158, 2007

      3 한충민, "중국진출 한국 기업의 마케팅 성공 사례 연구" 28 (28): 637-657, 1999

      4 김진, "중국 연변지역 수용자의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이용: 한족과 조선족의 차이를 중심으로" (24) : 133-150, 2005

      5 이장호, "중국 연변 조선족의 의식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심리과학연구소 4 (4): 31-46, 1995

      6 예동근, "조선족의 도시 이주적응과 다민족 관계" 세계한상문화연구단 6 (6): 39-60, 2012

      7 박혜원, "이중언어 사용이 선택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연변 조선족과 한족아동의 선택적 주의수행 비교" 이중언어학회 (23) : 113-136, 2003

      8 홍성태, "애국심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15 (15): 71-99, 2010

      9 유충걸, "백두산과 연변조선족" 백산출판사 1993

      10 한충민, "동남아에서의 한․중․일의 문화선호도 비교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3

      11 최현욱,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자녀의 한국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315-329, 2009

      12 박혜원, "그림 Stroop 과제에 나타난 조선족 고등학생의 한글 및한자어 처리에 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26) : 145-161, 2004

      13 조창환, "국내 체류 외국인의 한국문화 적응과 모국문화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영어권 외국인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74-397, 2010

      14 양승훈, "관광마케팅 툴로서 대중스타: 일본대중스타와 한국 대학생 팬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221-239, 2009

      15 이지현,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87-98, 2013

      16 Berger, J., "Where Consumers Diverge from Others : Identity Signaling and Product Domains" 34 (34): 121-134, 2007

      17 Tajfel, H.,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33-48 33-48, 1979

      18 Han, C. M., "The Role of Consumer Patriotism in The Choice of Domestic versus Foreign Products" 28 (28): 25-32, 1988

      19 Till, B. D., "The Match-up Hypothesis: Physical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the Role of Fit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 and Brand Beliefs" 29 (29): 1-13, 2000

      20 Rawwas, M. Y., "The Influence of Worldmindedness and Nationalism on Consumer 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13 (13): 20-38, 1996

      21 Baker, M. J.,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14 (14): 538-555, 1977

      22 Jeffres, L., "The Impact of Ethnicity and Ethnic Media on Presidential Voting Patterns" 1 (1): 197-262, 1999

      23 Oberecker, E. M., "The Consumer Affinity Construct:Conceptualization, Qualitative Investigation, and Research Agenda" 16 (16): 23-56, 2008

      24 Huntington, S. P., "The Clash of Civilizations?" 72 (72): 22-49, 1993

      25 Pool, I., "The Changing Flow of Television" 27 (27): 139-149, 1977

      26 Crystal, D.,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7 Chaffee, S. H., "The Bridging Role of Television in Immigrant Political Socialization" 17 (17): 266-288, 1990

      28 김재휘, "TV드라마 시청이 국가에 대한 이미지 및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일본인들의 한국 TV 드라마 시청효과"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379-398, 2007

      29 Taylor, J., "Shadows of the Rising Sun" Charles E. Tuttle Press 1982

      30 Preacher, K. J,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36 (36): 717-731, 2004

      31 Westjohn, S. A., "Responsiveness to Global and Loc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 Personality and Collective Identity Perspective" 20 (20): 58-73, 2012

      32 Evans, M. D. R, "National Pride in the Developed World: Survey Data from 24 Nations" 14 (14): 303-338, 2002

      33 Kirloskar-Steinbach, M., "National Identity:Belonging to a Cultural Group? Belonging to a Polity" 3 (3): 31-42, 2010

      34 Cui, C. C., "National Identity and NATID: An Assessment in Yemen" 19 (19): 637-662, 2002

      35 Smith, A D., "National Identity" University of Nevada Press 1993

      36 Keillor, B. D., "NATI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ational Identity Measure for Use in International Marketing" 57-73, 1996

      37 Kim, H, "Motion Picture Impacts on Destination Images" 30 (30): 216-237, 2003

      38 Johnson, M., "Latins and Television in The United States: Relationships among Genre Identification,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7 (7): 289-313, 1996

      39 May, S., "Language and Minority Rights:Ethnicity" 4 : 2001

      40 Bamgboṣe, A., "Language and Exclusion:The Consequences of Language Policies in Africa" 12 : 2000

      41 Orman, J., "Language Policy and Nationbuilding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Vol. 10" Springer 2008

      42 Strang, V., "Knowing Me, Knowing You:Aboriginal and European Concepts of Nature as Self and Other" 9 (9): 25-56, 2005

      43 Cleveland, M., "Identity, Demographics, and Consumer Behaviors: International Market Segmentation Across Product Categories" 28 (28): 244-266, 2011

      44 Steenkamp, J. B. E, "How Country Characteristics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Web Sites" 7 (7): 136-150, 2006

      45 Verlegh, P. W., "Home Country Bias in Product Evaluation: The Complementary Roles of Economic and Socio-psychological Motives" 38 (38): 361-373, 2007

      46 Sumner, W. G., "Folkways: A Study of the Sociological Importance of Usages, Manners, Customs, Mores, and Morals" Ginn 1906

      47 Bulmer, S, "Experiences of Brands and National Identity" 18 (18): 199-205, 2010

      48 Gudykunst, W. B., "Cultur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age Publications, Inc 1988

      49 Ohanian, 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19 (19): 39-52, 1990

      50 Lee, P. S., "Communication Imperialism and Dependency: a Conceptual Clarification" 41 (41): 69-83, 1988

      51 Lee, W. N., "Changing Media Consumption in a New Home: Acculturation Patterns among Hong Kong Immigrants to Canada" 23 (23): 57-70, 1994

      52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13): 290-312, 1982

      53 Thelen, S. T, "Assessing National Identity in Russia between Generations Using the National Identity Scale" 12 (12): 58-81, 2004

      54 Keillor, B. D., "A Five-Country Study of National Identity: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Marketing Research and Practice" 16 (16): 65-84,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3 1.34 1.38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