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LARS-WG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논벼 증발산량 산정 = Estimation of Paddy Rice Evapotranspira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RS-W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4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possibly effects the agricultural water use in terms of evapotranspiration. Thus, to estimate rice evapotranspiration under the climate change, future climate data including precipitation,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for 90 years ($2011{\sim}2100$), were forecasted using LARS-WG. Observed 30 years ($1971{\sim}2000$) climate data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SRES A2 were prepared to operate the LARS-WG model. Using these data and FAO Blaney-Criddle metho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rice evapotranspiration were estimated for 9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and rice evapotranspiration of 10 year return period was estim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rice evapotranspiration of 10 year return period increased 1.56%, 5.99% and 10.68% for each 30 years during $2011{\sim}2100$ (2025s; $2011{\sim}2040$, 2055s; $2041{\sim}2070$, 2085s; $2071{\sim}2100$) demonstrating that the increased temperature from the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consumptive use of crops and agricultural water use.
      번역하기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possibly effects the agricultural water use in terms of evapotranspiration. Thus, to estimate rice evapotranspiration under the climate change, future climate data including precipitation, minimum and maximum tempe...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possibly effects the agricultural water use in terms of evapotranspiration. Thus, to estimate rice evapotranspiration under the climate change, future climate data including precipitation,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for 90 years ($2011{\sim}2100$), were forecasted using LARS-WG. Observed 30 years ($1971{\sim}2000$) climate data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SRES A2 were prepared to operate the LARS-WG model. Using these data and FAO Blaney-Criddle method,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rice evapotranspiration were estimated for 9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and rice evapotranspiration of 10 year return period was estima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rice evapotranspiration of 10 year return period increased 1.56%, 5.99% and 10.68% for each 30 years during $2011{\sim}2100$ (2025s; $2011{\sim}2040$, 2055s; $2041{\sim}2070$, 2085s; $2071{\sim}2100$) demonstrating that the increased temperature from the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consumptive use of crops and agricultural water u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일원,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Ⅱ):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205-214, 2007

      2 배덕효,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Ⅰ):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91-204, 2007

      3 임은순, "수자원 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9 (39): 1043-1056, 2006

      4 유승환, "빈도 분석법을 이용한 논벼의 한발 기준 10년 빈도 작물증발산량 산정" 한국농공학회 49 (49): 13-22, 2007

      5 안소라,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215-224, 2008

      6 정상옥, "기후변화가 낙동강 권역의 논 관개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 51 (51): 35-41, 2009

      7 KMA,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1)"

      8 이용준,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I)" 대한토목학회 28 (28): 665-672, 2008

      9 Semenov, M. A., "LARS-WG: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for use in climate impact studies"

      10 NIMR, "Information of A2 climate change scenario"

      1 정일원,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Ⅱ):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205-214, 2007

      2 배덕효,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Ⅰ):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91-204, 2007

      3 임은순, "수자원 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9 (39): 1043-1056, 2006

      4 유승환, "빈도 분석법을 이용한 논벼의 한발 기준 10년 빈도 작물증발산량 산정" 한국농공학회 49 (49): 13-22, 2007

      5 안소라,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215-224, 2008

      6 정상옥, "기후변화가 낙동강 권역의 논 관개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 51 (51): 35-41, 2009

      7 KMA,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1)"

      8 이용준,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I)" 대한토목학회 28 (28): 665-672, 2008

      9 Semenov, M. A., "LARS-WG: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for use in climate impact studies"

      10 NIMR, "Information of A2 climate change scenario"

      11 Semenov, M. A., "Comparison of the WGEN and LARSWG stochastic weather generators for diverse climates" 10 : 95-107, 1998

      12 IPCC,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3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4 임혁진,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강댐 유역의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9 (39): 453-466, 2006

      15 MAFF, "A study on the water requirement estimation method in paddy field"

      16 Chung,H.W., "A study on consumptive use of paddy field"

      17 Racsko P., "A serial approach to local stochastic weather models" 57 : 27-41,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공학회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5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