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차량 실내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여 차후 개발될 새로운 모델의 자동차를 위한 실내 공간디자인의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료를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21292
2020
-
600
KCI등재
학술저널
382-393(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차량 실내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여 차후 개발될 새로운 모델의 자동차를 위한 실내 공간디자인의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료를 도...
본 논문은 차량 실내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여 차후 개발될 새로운 모델의 자동차를 위한 실내 공간디자인의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는 자료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자동차 산업의 국내외 현황을 확인 하였으며, 최근 5년 사이의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대에서 50대 사이 남녀 22명을 익스트림 유저와 제너럴 유저로 분류하고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인식과 행동,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4가지 종류의 차량에 대한 의미를 세대별로 구분하고 세대가 인식하는 각각의 가치를 도출 하였다. 공간의 개념과 수단의 개념 그리고 복합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구분을 통해 3가지로 나누어지는 사용자 인식 개선의 필요를 확인 하였다. 정성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한정하여 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개발이 구현되기를 희망하며 연구의 결과가 다음 세대 자동차의 디자인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users perceptions and unmet need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o derive the meaning, to derive data that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ior space design and new model of vehi...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users perceptions and unmet needs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o derive the meaning, to derive data that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ior space design and new model of vehicles. To this end, 22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classified into extreme users and general user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rive perceptions, actions, and meanings. Through this, the meaning of the four types of vehicles was classified by generation and the values recognized by the generation were derived.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the concept of means, and the division into complex areas, the need for improvement of user perception divided into three was confirmed. The limited analysis of the content centered on qualitative research can be seen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the design research of next generation vehic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Craig Giffi, (25) : 2019
2 박기철, "자율주행환경에서 다양한 일상의 즐거움수용이 가능한 차량 실내 UX 디자인 제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3 구상, "자동차기술 패러다임 변화 대응을 위한 디자인융합전략의 시사점 고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9-29, 2019
4 임덕신, "완전 자율주행차의 UX디자인을 위한 일반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소 17 (17): 19-28, 2018
5 권주영,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3 (13): 5-20, 2018
6 이현택, "머스크“한달만 기다려라, 완전자율주행차 선보일 것”"
7 이덕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01-114, 2020
8 박준홍, "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용자 심층인터뷰 중심의 잠재요구 발굴에 관한 연구;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중심으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4 (14): 1-14, 2020
9 뤼크 드 브라방데르, "뇌가섹시해지는 인문학지도" 더퀘스트 2016
10 이정교,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21-132, 2017
1 Craig Giffi, (25) : 2019
2 박기철, "자율주행환경에서 다양한 일상의 즐거움수용이 가능한 차량 실내 UX 디자인 제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3 구상, "자동차기술 패러다임 변화 대응을 위한 디자인융합전략의 시사점 고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19-29, 2019
4 임덕신, "완전 자율주행차의 UX디자인을 위한 일반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소 17 (17): 19-28, 2018
5 권주영,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3 (13): 5-20, 2018
6 이현택, "머스크“한달만 기다려라, 완전자율주행차 선보일 것”"
7 이덕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01-114, 2020
8 박준홍, "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용자 심층인터뷰 중심의 잠재요구 발굴에 관한 연구;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중심으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14 (14): 1-14, 2020
9 뤼크 드 브라방데르, "뇌가섹시해지는 인문학지도" 더퀘스트 2016
10 이정교,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21-132, 2017
11 "www.publichealthstrategies.net"
12 "www.molit.go.kr"
13 "www.gearbax.com"
14 "www.bbc.com"
15 "news.hmgjournal.com"
16 "global-autonews.com"
17 Arnold Toynbee, "Lectures onthe industrial revolution ofthe 18th century in England:Popular addresses, notes and other fragments" Rivingtons 1887
18 Djajadiningrat,J. P., "Interaction Relabelling and extreme characters :Methodsfor exploring aesthetic interactions" 2000
19 Everett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83
20 최규한, "AEIOU 평가요소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 인테리어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85-596, 2019
대학캠퍼스 네거티브 공간이 범죄 불안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황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