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 대화 텍스트의 문화 항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7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통합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교육 항목들이 국제통용한국어표준모형에서 제시한 등급별 문화 교육 항목들과 얼마나 상통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표준모형의 문화 항목들이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말하기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4개 대학기관에서 출판된 4종의 통합교재 중 1-4급 교재 16권(4종×4등급)에 포함된 523개 대화 텍스트이다.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모형에서 문화 교육의 항목을 추출한 방식대로 교재 대화 텍스트에서 문화 요소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항목들을Hammerly(1982)의 문화 범주 분류 기준에 따라 범주를 판단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말하기 영역에서 다루는 문화 항목은 표준모형에서 제시하는 등급별 문화 항목과 등급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할 때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도구로 보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적으로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난이도는 의사소통의 중추인 말하기 영역의 그것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통합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교육 항목들이 국제통용한국어표준모형에서 제시한 등급별 문화 교육 항목들과 얼마나 상통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표준모...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통합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교육 항목들이 국제통용한국어표준모형에서 제시한 등급별 문화 교육 항목들과 얼마나 상통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표준모형의 문화 항목들이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말하기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4개 대학기관에서 출판된 4종의 통합교재 중 1-4급 교재 16권(4종×4등급)에 포함된 523개 대화 텍스트이다.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모형에서 문화 교육의 항목을 추출한 방식대로 교재 대화 텍스트에서 문화 요소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항목들을Hammerly(1982)의 문화 범주 분류 기준에 따라 범주를 판단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말하기 영역에서 다루는 문화 항목은 표준모형에서 제시하는 등급별 문화 항목과 등급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할 때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도구로 보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적으로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난이도는 의사소통의 중추인 말하기 영역의 그것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ngmi, Kwon. 2013. An Analysis of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in the KSL Textbook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0-1. 1-24.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hierarchy of the cultural items, based on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text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ukjaehangugeopyojunmohyeong, the standardized international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s explored for the study are 523 conversations in the 16 textbooks(4 series×4 levels)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The study first collects and categorizes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made by pyojunmohyeong, and it comparativel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m with those of the pyojunmohyeo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번역하기

      Sungmi, Kwon. 2013. An Analysis of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in the KSL Textbook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0-1. 1-24.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hierarchy of the cultural ...

      Sungmi, Kwon. 2013. An Analysis of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in the KSL Textbook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0-1. 1-24.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hierarchy of the cultural items, based on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text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ukjaehangugeopyojunmohyeong, the standardized international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s explored for the study are 523 conversations in the 16 textbooks(4 series×4 levels)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The study first collects and categorizes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made by pyojunmohyeong, and it comparativel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m with those of the pyojunmohyeo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문화 교육 항목 조사
      • 2.1. 조사 방법
      • 2.2. 문화 교육 항목 조사 결과
      • Abstract
      • 1. 서론
      • 2. 문화 교육 항목 조사
      • 2.1. 조사 방법
      • 2.2. 문화 교육 항목 조사 결과
      • 3. 결론
      • 참고 문헌
      • 참고 교재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용, "한국어문화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22) : 345-366, 2003

      2 강현화, "한국어 확산 문화 프로그램 연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3 김창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능력의 평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81-114, 2007

      4 강현화,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선행연구, 교재, 기관 현황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6 : 1-35, 2011

      5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11

      6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7 Murayama, Y., "The promotion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 analysis of textbooks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upper secondary schools in Japan" The University of York 2000

      8 Hammerly, H., "Synthesis in Second Language Teaching :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Second Language Publications 1982

      9 Shin, J., "Presentation of local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current international English-language teaching textbooks, Language" 24 (24): 253-268, 2011

      10 Stern, H.,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1992

      1 조현용, "한국어문화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22) : 345-366, 2003

      2 강현화, "한국어 확산 문화 프로그램 연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3 김창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능력의 평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81-114, 2007

      4 강현화,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선행연구, 교재, 기관 현황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6 : 1-35, 2011

      5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11

      6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7 Murayama, Y., "The promotion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 analysis of textbooks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upper secondary schools in Japan" The University of York 2000

      8 Hammerly, H., "Synthesis in Second Language Teaching :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Second Language Publications 1982

      9 Shin, J., "Presentation of local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current international English-language teaching textbooks, Language" 24 (24): 253-268, 2011

      10 Stern, H.,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