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로운 수도원 운동 - 본회퍼의 사상을 중심으로 = New Monastic Movement: Focusing on Bonhoeffer`s Though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identify what the “new monastic movement” means in Bonhoeffer`s letter of January 15, 1935. The understanding of the monastery is centered on Bonhoeffer`s understanding, but this study briefly discusses why he came to insist on the monastic movement in light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study scrutinizes how the “new monastic movement” had emerged from his theological activities since 1935. Particularly, since 1935, Bonhoeffer had focused on the followings of “Discipleship” and “Life Together” which centered on the theological discussions and the practice of the seminary at Finkenwald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pastoral candidat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built on the words of the Sermon on the Mount. Second,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monasticizing every aspect of life. Third,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in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and the community. Fourth, the “New Monastic Movement” has a direction of “focusing on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based on the common lif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Bonhoeffer`s New Monastic Movement can present a good direc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church` s social credi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identify what the “new monastic movement” means in Bonhoeffer`s letter of January 15, 1935. The understanding of the monastery is centered on Bonhoeffer`s understanding, but this study briefly discusses why 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identify what the “new monastic movement” means in Bonhoeffer`s letter of January 15, 1935. The understanding of the monastery is centered on Bonhoeffer`s understanding, but this study briefly discusses why he came to insist on the monastic movement in light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study scrutinizes how the “new monastic movement” had emerged from his theological activities since 1935. Particularly, since 1935, Bonhoeffer had focused on the followings of “Discipleship” and “Life Together” which centered on the theological discussions and the practice of the seminary at Finkenwald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pastoral candidat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built on the words of the Sermon on the Mount. Second,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monasticizing every aspect of life. Third, the “new monastic movement” is in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and the community. Fourth, the “New Monastic Movement” has a direction of “focusing on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based on the common lif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Bonhoeffer`s New Monastic Movement can present a good direc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church` s social credi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 한들출판사 2006

      2 박효섭, "현대 세계와 수도원 영성" 2015

      3 김홍일, "한국교회의 문제와 수도원 영성의 재발견" 2015

      4 정원범, "한국교회의 공공성 위기와 기독교의 사회선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7) : 335-368, 2013

      5 배덕만, "한국개신교회와 수도원 운동" 2015

      6 이덕주, "한국 개신교 수도원 운동의 역사적 기원과 맥락" 2015

      7 이형기, "하나님 나를 희망하는 교회론과 재정의 사용" 2016

      8 Bonhoeffer, Dietrich, "창조와 타락" 대한기독교서회 2010

      9 손은실, "중세 수도원의 빛과 그림자" 2015

      10 김종서, "종교 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1 박영신,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 한들출판사 2006

      2 박효섭, "현대 세계와 수도원 영성" 2015

      3 김홍일, "한국교회의 문제와 수도원 영성의 재발견" 2015

      4 정원범, "한국교회의 공공성 위기와 기독교의 사회선교"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7) : 335-368, 2013

      5 배덕만, "한국개신교회와 수도원 운동" 2015

      6 이덕주, "한국 개신교 수도원 운동의 역사적 기원과 맥락" 2015

      7 이형기, "하나님 나를 희망하는 교회론과 재정의 사용" 2016

      8 Bonhoeffer, Dietrich, "창조와 타락" 대한기독교서회 2010

      9 손은실, "중세 수도원의 빛과 그림자" 2015

      10 김종서, "종교 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11 Bonhoeffer, Dietrich, "저항과 복종 : 옥중서간" 대한기독교서회 2010

      12 민경배,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연세대학교 1994

      13 Bonhoeffer, Dietrich, "신도의 공동생활. 성서의 기도서" 대한기독교서회 2010

      14 남성현, "수도적 영성과 전통이 개신교에사 지니는 의미와 가치" 2015

      15 정용석, "수도원의 형성과 역사" 2015

      16 Brooke, Christopher, "수도원의 탄생:유럽을 만든 은둔자들" 청년사 2006

      17 이충범, "수도원의 낮과 밤" 2015

      18 유정우, "수도원 운동의 역사적 고찰과 신학적 이해"

      19 최형근, "수도원 운동에 나타난 선교" 서울신학대학교 17 : 2005

      20 고재길, "본회퍼의 『나를 따르라』에 나타난 제자의 윤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117-143, 2013

      21 Dramm, Sabine, "본회퍼를 만나다-그의 삶, 신앙, 신학, 사상 이해하기" 대한기독교서회 2013

      22 강안일, "말씀과 공동체의 관계-본회퍼의 저작을 중심으로" 48 : 2016

      23 김현수, "디트리히 본회퍼의 『나를 따르라』에 대한 하나의 공적인 읽기" 신학사상연구소 (160) : 199-236, 2013

      24 Bethge, E., "디트리히 본회퍼: 신학자-그리스도인-동시대인" 복있는 사람 2014

      25 Metaxas, Eric, "디트리히 본회퍼" 포이에마 2011

      26 박상덕, "동·서방 교회 수도원 운동을 통한 기독교 영성의 고찰"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1

      27 Luther, Martin, "대교리문답" 복있는 사람 2017

      28 Wilson-Hartgrove, Jonathan, "다시, 그리스도인 되기: 새로운 수도원 운동이 찾은 그리스도인 본연의 삶" 비아 2016

      29 Bonhoeffer, Dietrich, "나를 따르라(Nachfolge)" 대한기독교서회 2010

      30 Frank, Karl Suso, "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은성 1997

      31 차정식, "기독교 공동체의 성서적 기원과 실천적 대안" 도서출판 짓다 2015

      32 Bonhoeffer, Dietrich, "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2010

      33 Schmitz, Florian, "Zur Theologie Dietrich Bonhoeffers" Vandehoeck&Ruprecht 2013

      34 Müller, Hanfried, "Von der Kirche zu Welt, Ein Beitrag zu der Beziehung des Wortes Gottes auf die societas in Dietrich Bonhoeffers theologischer Entwicklung" Hebert ReichEvang. Verlag 1966

      35 H.E. Tödt, "Theologische Perspektive nach Dietrich Bonhoeffer" Chr. Kaiser 1993

      36 Bethge, E, "Theologe – Christ – Zeitgenosse" Gütersloher Verlagshaus 2005

      37 Klein, Wassilios, "Thelogische Realenzyklopädie" 1994

      38 Prüller-Jagenteufel, Günter M, "Sünde und Versöhnung in der Ethik Dietrich Bonhoeffers" Gütersloher Verlaghaus 2004

      39 Wick, Stefan, "Sucht den Herrn und ihr werdet leben: Gottsuche in Dietrich Bonhoeffers Schrift “Gemeinsames Leben” und der Benediktsregel" Lit Verlag 2006

      40 Bloth, Peter C.,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vierte, völlig neu bearbeitete" Mohr Siebeck 1998

      41 Gerte, Daniel, "Kriterien für Geistliche Begleitung heute" Peter Lang 141-181, 2014

      42 Gütter, Ruth, "Innerste Konzentration für den Dienst nach außen" Peter Lang 2000

      43 Feil, Ernst, "Hermeneutik – Christologie – Weltverständnis" Chr. Kaiser Verlag 1971

      44 Green, Clifford J., "Dietrich Bonhoeffers Theologie der Sozialität" Gütersloher Verlagshaus 2004

      45 Schödl, Albrecht, "Dietrich Bonhoeffer im Kontext einer aszetischen Theologie" Evangelische Verlagsanstalt 2006

      46 Dietrich Bonhoeffer, "Dietrich Bonhoeffer Werke" Gütersloher Verlagshaus 1999

      47 Schlingensiepen, Ferdinand, "Dietrich Bonhoeffer" C. H. Beck 2003

      48 An Il, Kang, "Die Bedeutung der ethischen Konzeptionen Dietrich Bonhoeffers für die Theologie und Kirche in Südkorea" Lit verlag 2014

      49 Parpert, Friedrich, "Das Mönchtum und die evangelische Kirche" Ernst Reinhardt 1930

      50 "DBW 16: Konspiration und Haft 1940-1945"

      51 "DBW 14: Illegale Theologenausbildung: Finkenwalde 1935-1937"

      52 "DBW 13: London 1933-1935"

      53 "DBW 10: Barcelona, Berlin, Amerika 1928-1931"

      54 Denzler, G., "Christen und Nazis Hand in Hand?, Band 1: Darstellung" 1984

      55 Zimmerling, Peter, "Bonhoeffer als Praktischer Theologie" Vandenhoeck & Ruprecht 2006

      56 Hauschild, Wolf-Dieter, "Alte Kirche und Mittelalter" Gütersloher Verlagshaus 1995

      57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17년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발표 자료집"

      58 김선영, "16세기 종교개혁가들과 수도원 개혁"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