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이트헤드 철학의 미학적 정립 문제 = The Problem of the Aesthetic Establishment of Whiteheadian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6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Whitehead's speculative metaphysics in itself can be determined as an aesthetic ontology, and explores under what conditions and arguments this can be possible. Whitehead regards the aesthetic as the ultimate fact and purpose of becoming entities. Therefore,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reation and the core concepts for this are organized around aesthetic purpose and categories. Whitehead's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 kind of an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at it is an analysis of the becoming process of entities. Thus, reading his philosophy as an aesthetic description narrativ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aesthetic matters.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nine categoreal obligations presented in Process and Reality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t is shown that the process of creatio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aesthetic synthesis. Furthermore, based on the premise that aesthetics deals with not only the sensuous, but also the emotional aspects of experience, by showing that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that Whitehead philosophically analyzes is actually dominated by emotional subjective forms, his philosophy is confirmed to be aesthetic. Finally, by applying Whitehead's philosophy to the problem of the character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is characterized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Whitehead's speculative metaphysics in itself can be determined as an aesthetic ontology, and explores under what conditions and arguments this can be possible. Whitehead regards the aesthetic as the ultimate fact a...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Whitehead's speculative metaphysics in itself can be determined as an aesthetic ontology, and explores under what conditions and arguments this can be possible. Whitehead regards the aesthetic as the ultimate fact and purpose of becoming entities. Therefore,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reation and the core concepts for this are organized around aesthetic purpose and categories. Whitehead's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 kind of an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at it is an analysis of the becoming process of entities. Thus, reading his philosophy as an aesthetic description narrativ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aesthetic matters.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nine categoreal obligations presented in Process and Reality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t is shown that the process of creation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aesthetic synthesis. Furthermore, based on the premise that aesthetics deals with not only the sensuous, but also the emotional aspects of experience, by showing that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that Whitehead philosophically analyzes is actually dominated by emotional subjective forms, his philosophy is confirmed to be aesthetic. Finally, by applying Whitehead's philosophy to the problem of the character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is characterized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화이트헤드의 사변적 형이상학이 그 자체로 하나의 미학적 존재론이 될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이것이 어떠한 조건과 논거에서 가능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화이트헤드는 미적인 것을 존재의 궁극적 사실이자 목적으로 간주한다. 이에 존재의 생성에 대한 기술과 분석, 그리고 이를 위한 핵심 개념들은 미학적 목적과 범주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창조성을 특성화하는 것으로 제시한 9개의 범주적 제약은 형이상학적 범주들임에도 불구하고, 공히 미적 범주들로도 손색이 없다. 특히 그는 존재를 기술하되 이를 실체 철학으로부터 분리해 생성과 과정의 유기체 관점에서 분석한다는 점에서, 그의 철학은 존재 자체의 창조적 생성 경험에 대한 분석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데, 이 생성 경험에 대한 분석은 존재의 사실이 미적이라는 이유에서 공히 미적 경험에 대한 분석이 된다. 따라서 그의 철학을 미학적 서술로 읽는다는 것은, 비록 사변적일지라도 미학적 문제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9개의 범주적 제약을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이 어떤 점에서 미적 범주로 기능하는지 규명하고, 이 범주들이 기능할 때 만족을 추구하는 존재의 창조적 생성은 결국 미적 만족, 미적 종합의 과정에 다름 아님을 보인다. 나아가 미학이 감각적인 것은 물론 정서적인 측면을 다룬다는 점을 전제하고, 화이트헤드가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생성의 전 과정이 실상 정서적인 주체적 형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보임으로써 그의 철학이 미학적인 것임을 확고히 한다. 마지막으로,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미적 경험의 특성화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특성화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화이트헤드의 사변적 형이상학이 그 자체로 하나의 미학적 존재론이 될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이것이 어떠한 조건과 논거에서 가능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화이트헤드는 미적인 ...

      본고는 화이트헤드의 사변적 형이상학이 그 자체로 하나의 미학적 존재론이 될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이것이 어떠한 조건과 논거에서 가능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화이트헤드는 미적인 것을 존재의 궁극적 사실이자 목적으로 간주한다. 이에 존재의 생성에 대한 기술과 분석, 그리고 이를 위한 핵심 개념들은 미학적 목적과 범주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창조성을 특성화하는 것으로 제시한 9개의 범주적 제약은 형이상학적 범주들임에도 불구하고, 공히 미적 범주들로도 손색이 없다. 특히 그는 존재를 기술하되 이를 실체 철학으로부터 분리해 생성과 과정의 유기체 관점에서 분석한다는 점에서, 그의 철학은 존재 자체의 창조적 생성 경험에 대한 분석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데, 이 생성 경험에 대한 분석은 존재의 사실이 미적이라는 이유에서 공히 미적 경험에 대한 분석이 된다. 따라서 그의 철학을 미학적 서술로 읽는다는 것은, 비록 사변적일지라도 미학적 문제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9개의 범주적 제약을 상세하게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이 어떤 점에서 미적 범주로 기능하는지 규명하고, 이 범주들이 기능할 때 만족을 추구하는 존재의 창조적 생성은 결국 미적 만족, 미적 종합의 과정에 다름 아님을 보인다. 나아가 미학이 감각적인 것은 물론 정서적인 측면을 다룬다는 점을 전제하고, 화이트헤드가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생성의 전 과정이 실상 정서적인 주체적 형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보임으로써 그의 철학이 미학적인 것임을 확고히 한다. 마지막으로,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미적 경험의 특성화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특성화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창옥, "창조적 전진 ―베르그송과 화이트헤드―" 철학연구회 61 : 123-146, 2003

      2 Beardsley, Monroe C, "미학사" 이론과 실천사 1987

      3 Cobb, Jr. John B, "Toward Clarity in Aesthetics" 18 (18): 169-189, 1957

      4 Whitehead, Alfred N, "The Fuction of Reason(1929)" Beacon Press 1971

      5 Whitehead, Alfred N,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1929)" The Free Press 1929

      6 Carroll, Noël, "Philosophy of Art: A Contemporary Introduction" Routledge 1999

      7 Christian, William A, "An Interpretation of Whitehead's Metaphysics" YaleUniversity Press 1959

      8 Whitehead, Alfred N, "Adventures of Ideas(1933)" The Free Press 1967

      9 Sherburne, Donald W, "A Whiteheadian Aesthetic: Some Implications of Whithehead's Metahysical Speculation" Yale University Press 1961

      10 Bosanquet, Bernard, "A History of Aesthetic" Soonenschein 1892

      1 문창옥, "창조적 전진 ―베르그송과 화이트헤드―" 철학연구회 61 : 123-146, 2003

      2 Beardsley, Monroe C, "미학사" 이론과 실천사 1987

      3 Cobb, Jr. John B, "Toward Clarity in Aesthetics" 18 (18): 169-189, 1957

      4 Whitehead, Alfred N, "The Fuction of Reason(1929)" Beacon Press 1971

      5 Whitehead, Alfred N, "Process and Reality: An Essay in Cosmology(1929)" The Free Press 1929

      6 Carroll, Noël, "Philosophy of Art: A Contemporary Introduction" Routledge 1999

      7 Christian, William A, "An Interpretation of Whitehead's Metaphysics" YaleUniversity Press 1959

      8 Whitehead, Alfred N, "Adventures of Ideas(1933)" The Free Press 1967

      9 Sherburne, Donald W, "A Whiteheadian Aesthetic: Some Implications of Whithehead's Metahysical Speculation" Yale University Press 1961

      10 Bosanquet, Bernard, "A History of Aesthetic" Soonenschein 1892

      11 윤자정, "A . N .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에서 미적 경험의 의미" 한국미학회 (21) : 145-166,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5 1.0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