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환계 항우울제(Dothiepin)가 우울증 환자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  수면 다원 검사에 의한 연구 A Polysomnographic Study = The Effect of Tricyclic Antidepressant(Dothiepin) on Sleep in Depressed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면상태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고, 우울증상의 심각도와 임상양상의 정도는 Hamilton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최소 14일 이상 약물을 투여 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16명(남자 7명, 여자 9명, 연령분포 23∼64세)으로 구성되었다. 수면다원검사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과 약물투여 후 1주와 3주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 연속성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총수면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잠재기는 단축되었으며, 수면도중 각성시간은 감소하였고, 수면효율은 증가되었다.
      2)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구조에서는 기준수면에 비하여 2단계 수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급속안구운동 수면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급속안구운동 수면잠재기는 증가하였다.
      4) 항우울제 투여 1주 후와 3주 후의 수면을 비교시 수면잠재기가 3주에 유의하게 감소된 외에는 수면 변인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하여 약물투여 1주 후와 3주 후에 시행한 Hamilton 우울척도 점수는 약물투여 전에 비하여 줄어들어 우울증상이 호전됨을 나타내었다.
      6) 항우울제 투여 3주 후 치료반응이 좋았던 군의 수면특징은 기준수면에서 수면도중 각성시간이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투여 1주 후의 수면에서는 4단계 수면의 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울증환자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변화는 치료초기에 나타났다. 기준수면에서 각성기간의 증가와 1주 후의 수면에서 4단계 수면의 감소는 약물치료에 좋은 반응과 관련된 수면변인으로 생각되었다.
      번역하기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

      우울증환자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이 변화양성을 알아보며, 치료 후의 호전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수면변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면상태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평가하였고, 우울증상의 심각도와 임상양상의 정도는 Hamilton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최소 14일 이상 약물을 투여 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16명(남자 7명, 여자 9명, 연령분포 23∼64세)으로 구성되었다. 수면다원검사는 약물을 투여하기 전과 약물투여 후 1주와 3주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 연속성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총수면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잠재기는 단축되었으며, 수면도중 각성시간은 감소하였고, 수면효율은 증가되었다.
      2)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수면구조에서는 기준수면에 비하여 2단계 수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항우울제 투여 1주와 3주 후 급속안구운동 수면은 기준수면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급속안구운동 수면잠재기는 증가하였다.
      4) 항우울제 투여 1주 후와 3주 후의 수면을 비교시 수면잠재기가 3주에 유의하게 감소된 외에는 수면 변인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우울증상의 평가를 위하여 약물투여 1주 후와 3주 후에 시행한 Hamilton 우울척도 점수는 약물투여 전에 비하여 줄어들어 우울증상이 호전됨을 나타내었다.
      6) 항우울제 투여 3주 후 치료반응이 좋았던 군의 수면특징은 기준수면에서 수면도중 각성시간이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고, 약물투여 1주 후의 수면에서는 4단계 수면의 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우울증환자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인 dothiepin 투여 후의 수면변화는 치료초기에 나타났다. 기준수면에서 각성기간의 증가와 1주 후의 수면에서 4단계 수면의 감소는 약물치료에 좋은 반응과 관련된 수면변인으로 생각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patients who fullfilled the criteria for major depression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Their sleep was recorded using polysomnography at the baseline and after one week and three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ll subjects were further interview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to rate the severity of their depression. High response to the drug was defined a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the HRSD sco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showed more total sleep time(p=0.019), shorter sleep latency(p=0.05), less awake time(p=0.033), more sleep efficiency(p=0.018), more stage 2 sleep(p=0.002), less REM time(p=0.000), and longer REM sleep latency(p=0.004) than before treat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variabl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except for the shortening of sleep latency after 3 weeks(p<0.05).
      3) Depressive symptom scores on HRSD were reduced after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4) High responder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d wake time(p=0.054), while their stage 4 sleep decreased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low responders(p=0.013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 of the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tends to be normalized and sleep changes seem to appear early in the treatment phase. In addition, clinical response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wake time at the baseline and lesser stage 4 sleep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번역하기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sleep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dothiepin) treatment, and 2) sleep variables which seem to be associated with clinical response in the depressed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6 patients who fullfilled the criteria for major depression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Their sleep was recorded using polysomnography at the baseline and after one week and three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ll subjects were further interview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to rate the severity of their depression. High response to the drug was defined as a reduction of more than 50% of the HRSD scor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showed more total sleep time(p=0.019), shorter sleep latency(p=0.05), less awake time(p=0.033), more sleep efficiency(p=0.018), more stage 2 sleep(p=0.002), less REM time(p=0.000), and longer REM sleep latency(p=0.004) than before treat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variables between those who received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except for the shortening of sleep latency after 3 weeks(p<0.05).
      3) Depressive symptom scores on HRSD were reduced after 1 week and 3 weeks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baseline.
      4) High responder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d wake time(p=0.054), while their stage 4 sleep decreased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as compared with the low responders(p=0.0136).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leep of the depressed patients after dothiepin treatment tends to be normalized and sleep changes seem to appear early in the treatment phase. In addition, clinical response might be associated with greater wake time at the baseline and lesser stage 4 sleep after 1 week of dothiepin treat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