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初等 實科敎育의 學問的 體系 定立을 위한 基礎硏究 = A Foundation Study for Formulating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1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변화의 정점인 21세기에 적합한 초등 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KAP 이론과 실과교육, 체험학습과 노작교육, 심동적 영역과 실과교육, 초등 실과교육과 노작(일), 초등 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 미래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 실과교육의 전망, 미래 지향형 초등 실과교육의 틈새 교육과정 고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초등 실과교육과 노작(일)에서는 일의 유형과 인간의 발단단계에 따른 일의 형태변화, 일의 철학적 흐름과 초등 실과교육의 본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초등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에서는 교육에서 초등 실과교육의 위치, 실과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으로서의 실과교육, 생애교육으로서의 실과교육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미래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 실과교육의 전망에서는 노작 개념의 변화, 생명의 조화와 존엄성이 격상, 실생활에서 컴퓨터의 역할증대, 실천 지향적 환경교육의 강화, 사회보장과 개인의안전에 대한 욕구 증대, 개인주의 가속화 등에 관하여 전망하였다. 끝으로 미래 지향형 초등 실과교육의 틈새 교육과정 고찰에서는 신설할 필요가 있는 교육내용 으로 나라꽃 무궁화 교육, 식물·동물·인간의 공존공생, 재난대비훈련, 환경오염 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회변화의 정점인 21세기에 적합한 초등 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KAP 이론과 실과교육, 체험학습과 노작교육, 심동적 영역과 실...

      이 연구는 사회변화의 정점인 21세기에 적합한 초등 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KAP 이론과 실과교육, 체험학습과 노작교육, 심동적 영역과 실과교육, 초등 실과교육과 노작(일), 초등 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 미래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 실과교육의 전망, 미래 지향형 초등 실과교육의 틈새 교육과정 고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초등 실과교육과 노작(일)에서는 일의 유형과 인간의 발단단계에 따른 일의 형태변화, 일의 철학적 흐름과 초등 실과교육의 본질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초등실과교육의 학문적 체계에서는 교육에서 초등 실과교육의 위치, 실과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으로서의 실과교육, 생애교육으로서의 실과교육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미래 교육과정의 변화와 초등 실과교육의 전망에서는 노작 개념의 변화, 생명의 조화와 존엄성이 격상, 실생활에서 컴퓨터의 역할증대, 실천 지향적 환경교육의 강화, 사회보장과 개인의안전에 대한 욕구 증대, 개인주의 가속화 등에 관하여 전망하였다. 끝으로 미래 지향형 초등 실과교육의 틈새 교육과정 고찰에서는 신설할 필요가 있는 교육내용 으로 나라꽃 무궁화 교육, 식물·동물·인간의 공존공생, 재난대비훈련, 환경오염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offer the source materials to formulate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hich was prepared for 21th century, the peak of social dynamics.
      The main substance of this article was composed that were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 theory and PAEPS(pratical art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learning by doing and learning to labor, psychomotor domain and PAEPS,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PAEPS, the teoretical system of the PAEPS, the transition of future curriculumn and the prospect of PAEPS, and the consideration on the gap curriculumn of the PAEPS which was future-oriented, the details are as follows.
      In the part of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PAEPS, it were reviewed on the type of the work. the typical variation of the work, the philosopical paradigm of the work, and the essence of the PAEPS.
      In the part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AEPS, it were discussed on the definition for the position of PAEPS in education and of the system of science classification, the concept of the PAEPS, the concept of PAEPS as life long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In the part of the transition of future curriculumn and the prospect of PAEPS, it were had a view of the change of labor concept, the upward tendency of the dignity and the harmony of life, the role enlargement of computer in practical life.
      Endly, in thd part of the consideration on the gap curriculumn of the PAEPS which was future-oriented, it were referred to some contents to call for founding, such as the education on the rose of sharon as a korean national flower, coexistence of the plant-animal-human, the training against an accident and a disaster, the pollution of our environment, etc.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offer the source materials to formulate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hich was prepared for 21th century, the peak of social dynamics. The main substance of this article was composed th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offer the source materials to formulate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hich was prepared for 21th century, the peak of social dynamics.
      The main substance of this article was composed that were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 theory and PAEPS(pratical arts education in primary school), learning by doing and learning to labor, psychomotor domain and PAEPS,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PAEPS, the teoretical system of the PAEPS, the transition of future curriculumn and the prospect of PAEPS, and the consideration on the gap curriculumn of the PAEPS which was future-oriented, the details are as follows.
      In the part of the relation of the work and the PAEPS, it were reviewed on the type of the work. the typical variation of the work, the philosopical paradigm of the work, and the essence of the PAEPS.
      In the part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PAEPS, it were discussed on the definition for the position of PAEPS in education and of the system of science classification, the concept of the PAEPS, the concept of PAEPS as life long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In the part of the transition of future curriculumn and the prospect of PAEPS, it were had a view of the change of labor concept, the upward tendency of the dignity and the harmony of life, the role enlargement of computer in practical life.
      Endly, in thd part of the consideration on the gap curriculumn of the PAEPS which was future-oriented, it were referred to some contents to call for founding, such as the education on the rose of sharon as a korean national flower, coexistence of the plant-animal-human, the training against an accident and a disaster, the pollution of our environment,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Ⅱ. 初等 實科敎育과 勞作
      • 1. 勞作(일)의 槪念
      • 2. 初等 實科敎育의 本質
      • Ⅲ. 初等 實科敎育의 學問的 體系
      • Ⅰ. 緖論
      • Ⅱ. 初等 實科敎育과 勞作
      • 1. 勞作(일)의 槪念
      • 2. 初等 實科敎育의 本質
      • Ⅲ. 初等 實科敎育의 學問的 體系
      • 1. 敎育에서 初等 實科敎育의 位置
      • 2. 實科敎育
      • 3. 實業敎育과 職業敎育
      • 4. 平生敎育과 生涯敎育
      • Ⅳ. 未來 敎育課程의 變化와 初等 實科敎育의 展望
      • Ⅴ. 未來 指向型 初等 實科敎育의 틈새 敎育課程 考察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