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양영어 토익수업 사례연구: L2 화자의 문법적 오류 양상 = A Case Study o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L2 Speakers' Common Mistakes in Solving Toeic Ques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05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인 K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영어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3학점 3시간 수업으로 구성된 교양영어 수업에서 3시간 중 1시간을 차지하는 토익수업의 비중을 특히 문법교육과 관련해 문법적 오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필자가담당한 4개 반은 모두 신입생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능 절대평가가 시행된지 3년 된 상태여서 특히 문법 지식이 결핍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토익문제 풀이를 통해 비원어민으로써 영어를 제 2 외국어로 학습하는 대상인 L2 화자의 문법적 오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고교 3년 간 코로나 창궐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만 진행했던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플립러닝으로 비대면수업을 병행해 진행하면서 영어문법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정도를 파악하는데 근간을 둔다.
      기초 필수 교양 교과에서 똑같은 교재로 운영하는 토익 수업 중, 학생들에게문제 풀이 후 질문을 하게 하여 다양한 문제 중에서 특히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보았다. 즉 각 반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들이 어떤 범주인가, 문제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면서 비원어민 학생들이 여전히 어려워하는 문법적 오류는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고있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흥미로운 점은 매 Unit마다 제공되는 총 15개의 실전 문제 중에서 각 반마다 공통적으로 질문한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공통질문 4-5개를 추려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결여되고 미진한 문법적 지식이 어떤 부분인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주안점이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인 K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영어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3학점 3시간 수업으로 구성된 교양영어 수업에서 3시간 중 1시...

      본고는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인 K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영어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3학점 3시간 수업으로 구성된 교양영어 수업에서 3시간 중 1시간을 차지하는 토익수업의 비중을 특히 문법교육과 관련해 문법적 오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필자가담당한 4개 반은 모두 신입생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능 절대평가가 시행된지 3년 된 상태여서 특히 문법 지식이 결핍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연구의 주된 목적은 토익문제 풀이를 통해 비원어민으로써 영어를 제 2 외국어로 학습하는 대상인 L2 화자의 문법적 오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고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고교 3년 간 코로나 창궐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만 진행했던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플립러닝으로 비대면수업을 병행해 진행하면서 영어문법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정도를 파악하는데 근간을 둔다.
      기초 필수 교양 교과에서 똑같은 교재로 운영하는 토익 수업 중, 학생들에게문제 풀이 후 질문을 하게 하여 다양한 문제 중에서 특히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보았다. 즉 각 반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들이 어떤 범주인가, 문제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면서 비원어민 학생들이 여전히 어려워하는 문법적 오류는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고있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흥미로운 점은 매 Unit마다 제공되는 총 15개의 실전 문제 중에서 각 반마다 공통적으로 질문한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공통질문 4-5개를 추려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결여되고 미진한 문법적 지식이 어떤 부분인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주안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aspects of students' common mistakes in solving Toeic questions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Students are L2 speakers. Classes are comprised with three hours: two-hour for the main text and one-hour for preparing the Toeic. That is, it could be to conduct classes faithful to the English learning area for two hours in a three-hour class and to devote an hour to Toeic. There are four classes that I was in charge of teaching. These classes have in common: one-third of them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oeic learning. Most of all, students should know more words related to the Toeic as possible.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lass operation method, trie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students’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word learning and post-test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gathered cases based on the fact that students of the same grade commonly ask questions. If we conduct a questionnaire every hour on what answers we choose for each question in the future class, we will be able to find more dense problems. However, students’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if they spend a lot of time on the survey, it is clear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concentrate on the lecture, so it may be better to proceed in a post-verification manner.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aspects of students' common mistakes in solving Toeic questions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Students are L2 speakers. Classes are comprised with three hours: two-hour for the main text and one-hour for preparing the To...

      This paper explores aspects of students' common mistakes in solving Toeic questions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Students are L2 speakers. Classes are comprised with three hours: two-hour for the main text and one-hour for preparing the Toeic. That is, it could be to conduct classes faithful to the English learning area for two hours in a three-hour class and to devote an hour to Toeic. There are four classes that I was in charge of teaching. These classes have in common: one-third of them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oeic learning. Most of all, students should know more words related to the Toeic as possible.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lass operation method, tried various methods to increase students’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word learning and post-test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gathered cases based on the fact that students of the same grade commonly ask questions. If we conduct a questionnaire every hour on what answers we choose for each question in the future class, we will be able to find more dense problems. However, students’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if they spend a lot of time on the survey, it is clear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concentrate on the lecture, so it may be better to proceed in a post-verification mann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