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정의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5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롤즈의 사상을 토대로 우연과 운에 대한 사회 철학적 개념정립과 윤리적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서 본 자료(롤즈 2003)가 핵심자...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롤즈의 사상을 토대로 우연과 운에 대한 사회 철학적 개념정립과 윤리적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서 본 자료(롤즈 2003)가 핵심자료로서 활용되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옮긴이의 말 = 7
      개정판 서문 = 15
      초판 서문 = 25
      제1부 원리론
      제1장 공정으로서의 정의
      1절 정의의 역할 = 36
      2절 정의의 주제 = 40
      3절 정의론의 요지 = 45
      4절 원초적 입장과 정당화 = 52
      5절 고전적 공리주의 = 58
      6절 상호 비교 고찰 = 65
      7절 직관주의 = 72
      8절 우선성 문제 = 81
      9절 도덕이론에 관한 몇 가지 제언 = 87
      제2장 정의의 원칙
      10절 제도와 형식적 정의 = 98
      11절 정의의 두 원칙 = 105
      12절 제2원칙에 대한 해석 = 111
      13절 민주주의적 평등과 차등의 원칙 = 123
      14절 공정한 기회 균등과 순수 절차적 정의 = 133
      15절 기대치의 근거로서의 사회적 기본 가치 = 140
      16절 적합한 사회적 지위 = 145
      17절 평등에로의 경향 = 151
      18절 개인에 대한 원칙 : 공정성의 원칙 = 161
      19절 개인에 대한 원칙 : 자연적 의무 = 167
      제3장 원초적 입장
      20절 정의관에 대한 논의의 성격 = 173
      21절 대안의 제시 = 177
      22절 정의의 여건 = 182
      23절 정당성 개념의 형식적 제한 조건 = 187
      24절 무지의 베일 = 195
      25절 당사자들의 합리성 = 202
      26절 정의의 두 원칙에 이르는 추론 = 212
      27절 평균 효용의 원칙에 이르는 추론 = 225
      28절 평균 효용의 원칙의 몇 가지 난점 = 232
      29절 정의의 두 원칙에 대한 몇 가지 주요 논거 = 243
      30절 고전적 공리주의, 공평성과 이타심 = 254
      제2부 제도론
      제4장 평등한 자유
      31절 4단계 과정 = 268
      32절 자유의 개념 = 275
      33절 평등한 양심의 자유 = 280
      34절 관용과 공익 = 288
      35절 불관용자에 대한 관용 = 295
      36절 정치적 정의와 헌법 = 301
      37절 참여 원칙의 한계 = 309
      38절 법의 지배 = 318
      39절 자유의 우선성에 대한 정의 = 328
      40절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대한 칸트적 해석 = 338
      제5장 분배의 몫
      41절 정치 경제학에 있어서의 정의의 개념 = 349
      42절 경제 체제에 대한 논의 = 356
      43절 분배적 정의의 배경적 제도 = 368
      44절 세대들 간의 정의 문제 = 379
      45절 시간에 대한 선호 = 390
      46절 우선성에 관한 그 밖의 사례들 = 396
      47절 정의에 대한 신조 = 402
      48절 합법적 기대치와 도덕적 응분 = 409
      49절 절충론과의 비교 = 416
      50절 완전성의 원리 = 427
      제6장 의무와 책무
      51절 자연적 의무의 원칙에 대한 논증 = 438
      52절 공정성의 원칙에 대한 논증 = 449
      53절 부정의한 법을 준수할 의무 = 459
      54절 다수결 원칙의 지위 = 465
      55절 시민 불복종에 대한 정의 = 473
      56절 양심적 거부에 대한 정의 = 480
      57절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 484
      58절 양심적 거부의 정당화 = 491
      59절 시민 불복종의 역할 = 497
      제3부 목적론
      제7장 합리성으로서의 선
      60절 선에 대한 이론의 필요성 = 512
      61절 단순한 경우의 선에 대한 정의 = 516
      62절 의미에 관한 주석 = 523
      63절 인생 계획의 선에 대한 정의 = 527
      64절 숙고된 합리성 = 538
      65절 아리스토텔레스적 원칙 = 548
      66절 인간에 적용되는 선에 대한 정의 = 560
      67절 자존감, 탁월성, 수치심 = 568
      68절 정당성과 선과의 몇 가지 대비 = 576
      제8장 정의감
      69절 질서정연한 사회의 개념 = 584
      70절 권위에 의한 도덕 = 595
      71절 공동체에 의한 도덕 = 601
      72절 원리에 의한 도덕 = 607
      73절 도덕감의 특성 = 615
      74절 도덕적 태도와 자연적 태도의 관계 = 623
      75절 도덕 심리학의 원칙 = 629
      76절 상대적인 안정성의 문제 = 636
      77절 평등의 근거 = 646
      제9장 정의는 선인가
      78절 자율성과 객관성 = 658
      79절 사회적 연합의 관념 = 666
      80절 시기심의 문제 = 678
      81절 시기심과 평등 = 684
      82절 자유의 우선성에 대한 근거 = 692
      83절 행복과 지배적 목적 = 700
      84절 선택 방법으로서의 쾌락주의 = 709
      85절 자아의 통일성 = 716
      86절 정의감은 선인가 = 724
      87절 정당화에 대한 결어 = 737
      옮긴이 부록 : 세기의 정의론자 존 롤즈 = 753
      찾아보기 = 765

      (출처: KERIS, http://www.riss.kr/link?id=M8614671)
      번역하기

      목차 옮긴이의 말 = 7 개정판 서문 = 15 초판 서문 = 25 제1부 원리론 제1장 공정으로서의 정의 1절 정의의 역할 = 36 2절 정의의 주제 = 40 3절 정의론의 요지 = 45 4절 원초적 입장과 정...

      목차
      옮긴이의 말 = 7
      개정판 서문 = 15
      초판 서문 = 25
      제1부 원리론
      제1장 공정으로서의 정의
      1절 정의의 역할 = 36
      2절 정의의 주제 = 40
      3절 정의론의 요지 = 45
      4절 원초적 입장과 정당화 = 52
      5절 고전적 공리주의 = 58
      6절 상호 비교 고찰 = 65
      7절 직관주의 = 72
      8절 우선성 문제 = 81
      9절 도덕이론에 관한 몇 가지 제언 = 87
      제2장 정의의 원칙
      10절 제도와 형식적 정의 = 98
      11절 정의의 두 원칙 = 105
      12절 제2원칙에 대한 해석 = 111
      13절 민주주의적 평등과 차등의 원칙 = 123
      14절 공정한 기회 균등과 순수 절차적 정의 = 133
      15절 기대치의 근거로서의 사회적 기본 가치 = 140
      16절 적합한 사회적 지위 = 145
      17절 평등에로의 경향 = 151
      18절 개인에 대한 원칙 : 공정성의 원칙 = 161
      19절 개인에 대한 원칙 : 자연적 의무 = 167
      제3장 원초적 입장
      20절 정의관에 대한 논의의 성격 = 173
      21절 대안의 제시 = 177
      22절 정의의 여건 = 182
      23절 정당성 개념의 형식적 제한 조건 = 187
      24절 무지의 베일 = 195
      25절 당사자들의 합리성 = 202
      26절 정의의 두 원칙에 이르는 추론 = 212
      27절 평균 효용의 원칙에 이르는 추론 = 225
      28절 평균 효용의 원칙의 몇 가지 난점 = 232
      29절 정의의 두 원칙에 대한 몇 가지 주요 논거 = 243
      30절 고전적 공리주의, 공평성과 이타심 = 254
      제2부 제도론
      제4장 평등한 자유
      31절 4단계 과정 = 268
      32절 자유의 개념 = 275
      33절 평등한 양심의 자유 = 280
      34절 관용과 공익 = 288
      35절 불관용자에 대한 관용 = 295
      36절 정치적 정의와 헌법 = 301
      37절 참여 원칙의 한계 = 309
      38절 법의 지배 = 318
      39절 자유의 우선성에 대한 정의 = 328
      40절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대한 칸트적 해석 = 338
      제5장 분배의 몫
      41절 정치 경제학에 있어서의 정의의 개념 = 349
      42절 경제 체제에 대한 논의 = 356
      43절 분배적 정의의 배경적 제도 = 368
      44절 세대들 간의 정의 문제 = 379
      45절 시간에 대한 선호 = 390
      46절 우선성에 관한 그 밖의 사례들 = 396
      47절 정의에 대한 신조 = 402
      48절 합법적 기대치와 도덕적 응분 = 409
      49절 절충론과의 비교 = 416
      50절 완전성의 원리 = 427
      제6장 의무와 책무
      51절 자연적 의무의 원칙에 대한 논증 = 438
      52절 공정성의 원칙에 대한 논증 = 449
      53절 부정의한 법을 준수할 의무 = 459
      54절 다수결 원칙의 지위 = 465
      55절 시민 불복종에 대한 정의 = 473
      56절 양심적 거부에 대한 정의 = 480
      57절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 484
      58절 양심적 거부의 정당화 = 491
      59절 시민 불복종의 역할 = 497
      제3부 목적론
      제7장 합리성으로서의 선
      60절 선에 대한 이론의 필요성 = 512
      61절 단순한 경우의 선에 대한 정의 = 516
      62절 의미에 관한 주석 = 523
      63절 인생 계획의 선에 대한 정의 = 527
      64절 숙고된 합리성 = 538
      65절 아리스토텔레스적 원칙 = 548
      66절 인간에 적용되는 선에 대한 정의 = 560
      67절 자존감, 탁월성, 수치심 = 568
      68절 정당성과 선과의 몇 가지 대비 = 576
      제8장 정의감
      69절 질서정연한 사회의 개념 = 584
      70절 권위에 의한 도덕 = 595
      71절 공동체에 의한 도덕 = 601
      72절 원리에 의한 도덕 = 607
      73절 도덕감의 특성 = 615
      74절 도덕적 태도와 자연적 태도의 관계 = 623
      75절 도덕 심리학의 원칙 = 629
      76절 상대적인 안정성의 문제 = 636
      77절 평등의 근거 = 646
      제9장 정의는 선인가
      78절 자율성과 객관성 = 658
      79절 사회적 연합의 관념 = 666
      80절 시기심의 문제 = 678
      81절 시기심과 평등 = 684
      82절 자유의 우선성에 대한 근거 = 692
      83절 행복과 지배적 목적 = 700
      84절 선택 방법으로서의 쾌락주의 = 709
      85절 자아의 통일성 = 716
      86절 정의감은 선인가 = 724
      87절 정당화에 대한 결어 = 737
      옮긴이 부록 : 세기의 정의론자 존 롤즈 = 753
      찾아보기 = 765

      (출처: KERIS, http://www.riss.kr/link?id=M86146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