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정 퇴직급여의 사적 연금화 정책의 한계 =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Pensionalization Policy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asking how properly functional the policy switching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over to private pensionalization is, and asking the limitation of the policy in terms of old-age proper income security of laborers facing the transfer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ub-topics: “The Success and limitation of the policy enforcing public pensionalization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in Specific Corporate Pensions System,” “Enforcement and failure of the public pensionalization policy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with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pensionalization policy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The government switched the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prescribed by the Labor Standards Act over to private pension insurance system via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Labor Retirement Benefit Guarantee Act” on January 2005. The primary purpose of the switch is to correct the defects within the existing Employment Retirement Benefit Security, i.e. employers’ inability to pay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recipients’ misusing the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and to reinforce retirement income security. By the way, the government lead Retirement Pension Insurance is compulsory for the insured to sign up, nevertheless it is private pension insurance. In this case, as the pension insurance companies are private businesses pursuing profit, there is not any arbitration possibility surpassing market economy principle(mechanism) when conflicts occur between insurance companies and the insured. Moreover, these private businesses have limitation to improve the insecure attribute of social wage. In order for the public pension insurance system to guarantee the proper old-age incom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dramatically rearrange the insurance fee and insurance payment in terms of social insurance principle surpassing market economy principle. It is assumed, as we are afraid, that the ongoing private pensionalization policy contributes rather to private financing markets than to old-age proper income security.
      번역하기

      This research focuses on asking how properly functional the policy switching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over to private pensionalization is, and asking the limitation of the policy in terms of old-age proper income security of laborers facing the tr...

      This research focuses on asking how properly functional the policy switching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over to private pensionalization is, and asking the limitation of the policy in terms of old-age proper income security of laborers facing the transfer in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ub-topics: “The Success and limitation of the policy enforcing public pensionalization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in Specific Corporate Pensions System,” “Enforcement and failure of the public pensionalization policy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with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pensionalization policy switched over from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The government switched the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prescribed by the Labor Standards Act over to private pension insurance system via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Labor Retirement Benefit Guarantee Act” on January 2005. The primary purpose of the switch is to correct the defects within the existing Employment Retirement Benefit Security, i.e. employers’ inability to pay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recipients’ misusing the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and to reinforce retirement income security. By the way, the government lead Retirement Pension Insurance is compulsory for the insured to sign up, nevertheless it is private pension insurance. In this case, as the pension insurance companies are private businesses pursuing profit, there is not any arbitration possibility surpassing market economy principle(mechanism) when conflicts occur between insurance companies and the insured. Moreover, these private businesses have limitation to improve the insecure attribute of social wage. In order for the public pension insurance system to guarantee the proper old-age incom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dramatically rearrange the insurance fee and insurance payment in terms of social insurance principle surpassing market economy principle. It is assumed, as we are afraid, that the ongoing private pensionalization policy contributes rather to private financing markets than to old-age proper income secu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법정 퇴직급여제도를 사적연금보험제도로 전환하는 정책이 한국의 해당 근로자들의 노후적정소득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얼마나 기능적이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필자들은 “특수직역연금보험체계에서 법정 퇴직급여의 공적 연금화 정책의 성공과 한계,” “국민연금보험체계에서 법정 퇴직급여의 공적 연금화 정책시도와 좌절,” “법정 퇴직급여의 사적 연금화 정책의 한계” 등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정부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한 퇴직급여제도를 2005년 1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제정 및 시행을 통해 사적연금보험제도[퇴직연금보험]로 전환했다. 그 주된 목적은 기존의 퇴직급여제도가 가지고 있는 미비점, 곧 고용주의 지급불능 및 수급자의 전용 가능성 등을 차단하여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기능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추진한 퇴직연금보험은 법으로 가입이 강제되고 있지만 사적연금보험이다. 이 경우 보험자가 영리를 추구하는 사기업들이기 때문에 시장경제 기제를 넘어서는 그 어떤 조정 가능성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공적 법인체가 아니라 사기업체라는 사실은 법정 퇴직급여가 지닌 불완전한 사회적 임금의 성격을 불식시키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공적인 연금보험체계가 근로소득계층의 노후 적정소득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넘어서서 사회보험의 원리에 따라서 보험료와 급여를 역동적으로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사적 연금화 정책은 근로자들의 노후 적정소득보장에 기여하는 측면보다는 사금융시장의 활성화에 그 방점이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글은 법정 퇴직급여제도를 사적연금보험제도로 전환하는 정책이 한국의 해당 근로자들의 노후적정소득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얼마나 기능적이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

      이글은 법정 퇴직급여제도를 사적연금보험제도로 전환하는 정책이 한국의 해당 근로자들의 노후적정소득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얼마나 기능적이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필자들은 “특수직역연금보험체계에서 법정 퇴직급여의 공적 연금화 정책의 성공과 한계,” “국민연금보험체계에서 법정 퇴직급여의 공적 연금화 정책시도와 좌절,” “법정 퇴직급여의 사적 연금화 정책의 한계” 등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정부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한 퇴직급여제도를 2005년 1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의 제정 및 시행을 통해 사적연금보험제도[퇴직연금보험]로 전환했다. 그 주된 목적은 기존의 퇴직급여제도가 가지고 있는 미비점, 곧 고용주의 지급불능 및 수급자의 전용 가능성 등을 차단하여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기능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추진한 퇴직연금보험은 법으로 가입이 강제되고 있지만 사적연금보험이다. 이 경우 보험자가 영리를 추구하는 사기업들이기 때문에 시장경제 기제를 넘어서는 그 어떤 조정 가능성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공적 법인체가 아니라 사기업체라는 사실은 법정 퇴직급여가 지닌 불완전한 사회적 임금의 성격을 불식시키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공적인 연금보험체계가 근로소득계층의 노후 적정소득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시장경제의 원리를 넘어서서 사회보험의 원리에 따라서 보험료와 급여를 역동적으로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시행 중인 사적 연금화 정책은 근로자들의 노후 적정소득보장에 기여하는 측면보다는 사금융시장의 활성화에 그 방점이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2 "한국경제"

      3 문혜영, "한국 국민연금체계의 전환모델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15

      4 "통계청"

      5 "조선비즈"

      6 마르크스, 카를, "자본론 Ⅰ[상]" 비봉출판사 2017

      7 통계청, "일자리행정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분포 분석"

      8 남보라, "월급 300만원일 때 공무원은 171만원, 직장인은 90만원 연금[국민연금 개혁은 어떻게] (상) 공무원연금과 비교"

      9 "예금자보호법 제정·개정이유"

      10 "연합뉴스"

      1 "한국일보"

      2 "한국경제"

      3 문혜영, "한국 국민연금체계의 전환모델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15

      4 "통계청"

      5 "조선비즈"

      6 마르크스, 카를, "자본론 Ⅰ[상]" 비봉출판사 2017

      7 통계청, "일자리행정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분포 분석"

      8 남보라, "월급 300만원일 때 공무원은 171만원, 직장인은 90만원 연금[국민연금 개혁은 어떻게] (상) 공무원연금과 비교"

      9 "예금자보호법 제정·개정이유"

      10 "연합뉴스"

      11 최갑수, "역사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12 "에듀프레스"

      13 국민연금사 편찬위원회, "실록 국민의 연금" 국민연금사편찬위원회 2015

      14 통계청, "소득구간별 가구당 가계수지(도시 2인 이상). 가계동향조사 2014-2016"

      15 원석조, "사회보장론" 양서원 2008

      16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17 "별정우체국법"

      1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19 이영미, "낸 돈 대비 받는 돈… 국민연금 1.7배-공무원연금 2.5배"

      20 통계청, "기대수명(0세 기대여명) 및 유병기간 제외 기대수명(건강수명) 추이. 생명표, 국가승인통계 제101035호"

      21 "금융감독원"

      22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정·개정이유"

      23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24 금융감독원, "근로자 세 명 중 한명만 연금저축 가입"

      25 "근로기준법"

      26 "군인연금법"

      27 "국민일보"

      28 "국민연금관리공단"

      29 문수정, "국민연금, 낸 돈보다 1.2∼4배 더 받는다…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가입자에게 과연 ‘고통’일까 사적연금보다 유리한 근거 5가지"

      30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 통계연보" 2015

      31 대한상공회의소, "국민복지연금재원 기업부담 완화방안 건의"

      32 "국민복지연금법"

      33 차성환, "국립대병원 직원들의 사학연금체계 전환이 갖는 사회 정책적 의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0 (30): 333-368, 2016

      34 "국가기록원"

      35 "공무원연금법 시행령"

      36 "공무원연금법"

      37 "http://www.index.go.kr/potal/main/.."

      38 김유정, "[퇴직연금 150조 시대]⑤ 무늬만 ‘연금’…수령 땐 그냥 ‘퇴직금’"

      39 박현익, "[퇴직연금 150조 시대]③ “차라리 땅 사고 주식 사지”…낮은 수익률에 외면 받는 퇴직연금"

      40 장재훈, "[김화진 사학연금 이사장], ‘10년 후 연금 개혁 또 할 수도 고령화 속도 빨라 더 내고 덜 받는’ 구조조정 불가피 할 듯"

      41 Bund Katholischer Unternehmer e.V., "Grundwahrheiten des Schreiber-Plans: Bedingungen fuer eine ehrliche Sozialpolitik" Druckpunkt GmbH 2004

      42 Schreiber, Wilfrid, "Existenzsicherheit in der industriellen Gesellschaft: unveranderter Nachdruck des ‘Schreiber-Planes’ zur dynamischen Rente aus dem Jahr 1955" Verlag J.P. Bachem 1955

      43 박초롱, "<장기재정전망> 건강보험 10년 내 ‘고갈’…국민연금 2060년 ‘바닥’"

      44 박수진, "99년 가입 月300만원 고소득자, 수익比 1.2배…낸 만큼밖에 못받아"

      45 통계청, "2015년 퇴직연금통계(요약)"

      46 안승섭, "'퇴직연금 10년' 대기업가입률 77%…영세기업은 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