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규모점포 영업시간규제에 의한 고용변화 분석-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mployment Changes by the Regulation on Business Hours of Large Retailing Stores: Focusing on Jeonju City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gulation on large retailing stores is composed of location, business hours and selling items regulations in Korea. This regulation begins for the protection of small retail business primitively. But the effect of this system is causing serious controversy between large and small retailing business.
      This paper will verify the hypothesis that regulation causes the reduction of sales volume and brings the employment cutdown in large retailing stores.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in Jeonju city case especially.
      Directly after the business regulation 2012, sales volume of large retailing stores decreased. However it is unclear that the decrease is caused from the regulation. Maybe it is a combination of economic slump, cannibalization of retailing, introduction of new retail formats and business regulation on large retailing stores.
      Employment types of large retailing stores are regular, cooperative and temporary works. Regulation brings the downsizing of cooperative and temporary workers rather than the regular work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not be generalized to all cases of other city in Korea. But it is indisputable that regulation causes the employment change in large retailing stores. We suggest more detail research on this topic in depth, because the various factors will effect on the sales volume and employment of large retailing stores.
      번역하기

      The Regulation on large retailing stores is composed of location, business hours and selling items regulations in Korea. This regulation begins for the protection of small retail business primitively. But the effect of this system is causing serious c...

      The Regulation on large retailing stores is composed of location, business hours and selling items regulations in Korea. This regulation begins for the protection of small retail business primitively. But the effect of this system is causing serious controversy between large and small retailing business.
      This paper will verify the hypothesis that regulation causes the reduction of sales volume and brings the employment cutdown in large retailing stores.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in Jeonju city case especially.
      Directly after the business regulation 2012, sales volume of large retailing stores decreased. However it is unclear that the decrease is caused from the regulation. Maybe it is a combination of economic slump, cannibalization of retailing, introduction of new retail formats and business regulation on large retailing stores.
      Employment types of large retailing stores are regular, cooperative and temporary works. Regulation brings the downsizing of cooperative and temporary workers rather than the regular work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not be generalized to all cases of other city in Korea. But it is indisputable that regulation causes the employment change in large retailing stores. We suggest more detail research on this topic in depth, because the various factors will effect on the sales volume and employment of large retailing sto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규모점포에 대한 출점, 영업시간, 품목규제가 이뤄지고 있으나, 이를 놓고 규제 효과에 대한 논란이 아직도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점포에 대한 영업시간 규제로 인하여 매출이 감소하여 고용이 감소한다는 대규모점포의 주장이 타당한 지 검증할 필요성이 있어 전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형마트의 영업시간규제가 이루어진 직후, 대형마트의 총매출액은 분명히 감소했지만 이것이 반드시 영업시간규제에 의한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2천 년대 후반부터 지속된 대형마트의 경기 침체, SSM 진출로 인한 상권의 자기잠식, 무점포판매, 복합쇼핑몰, 편의점 등 새로운 업태의 출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대규모점포 규제 이후 전주시 대규모점포의 총고용 인원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형유통업체의 의무휴업이 시행된 2012년에 영업시간규제라는 이벤트적인 사건에 따라 고용인원 감소가 현저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의무휴업이 실시된 2012년 2/4분기 이후 대부분의 대형마트에서 고용인원 감소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업체에서는 고용 증가도 발생했다.
      고용형태별로 변화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직영인력, 협력인력, 임시인력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며, 일반적으로 인력 감소가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협업인력의 고용 감소가 컸다.
      결국, 영업시간규제가 시작 후, 고용인력의 감소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대형마트의 업체 상황에 따라 고용 증가와 감소를 조금씩 달리하고 있다. 매출 감소가 영업시간규제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기에, 본 분석 결과로 판단할 때, 영업시간규제가 고용변화의 결정적 이유라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우리나라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렵겠지만, 영업시간규제가 매출감소를 매개로 하여 어느 정도 직관적인 총고용 인원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으나 매출 감소와 고용변화의 요인에 대해 보다 정교한 연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규모점포에 대한 출점, 영업시간, 품목규제가 이뤄지고 있으나, 이를 놓고 규제 효과에 대한 논란이 아직도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점포에 대한 영업시...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규모점포에 대한 출점, 영업시간, 품목규제가 이뤄지고 있으나, 이를 놓고 규제 효과에 대한 논란이 아직도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점포에 대한 영업시간 규제로 인하여 매출이 감소하여 고용이 감소한다는 대규모점포의 주장이 타당한 지 검증할 필요성이 있어 전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형마트의 영업시간규제가 이루어진 직후, 대형마트의 총매출액은 분명히 감소했지만 이것이 반드시 영업시간규제에 의한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2천 년대 후반부터 지속된 대형마트의 경기 침체, SSM 진출로 인한 상권의 자기잠식, 무점포판매, 복합쇼핑몰, 편의점 등 새로운 업태의 출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대규모점포 규제 이후 전주시 대규모점포의 총고용 인원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형유통업체의 의무휴업이 시행된 2012년에 영업시간규제라는 이벤트적인 사건에 따라 고용인원 감소가 현저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의무휴업이 실시된 2012년 2/4분기 이후 대부분의 대형마트에서 고용인원 감소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업체에서는 고용 증가도 발생했다.
      고용형태별로 변화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직영인력, 협력인력, 임시인력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며, 일반적으로 인력 감소가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협업인력의 고용 감소가 컸다.
      결국, 영업시간규제가 시작 후, 고용인력의 감소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대형마트의 업체 상황에 따라 고용 증가와 감소를 조금씩 달리하고 있다. 매출 감소가 영업시간규제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기에, 본 분석 결과로 판단할 때, 영업시간규제가 고용변화의 결정적 이유라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우리나라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렵겠지만, 영업시간규제가 매출감소를 매개로 하여 어느 정도 직관적인 총고용 인원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으나 매출 감소와 고용변화의 요인에 대해 보다 정교한 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형기, "환경규제정책 순응에 관한 주민 인식 구조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321-349, 2011

      2 정세희, "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해 본 기업형 수퍼마켓(SSM) 규제정책변동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23-52, 2012

      3 박성용, "소비자정책측면에서 규제완화정책의 방향" 한국소비자원 36 : 67-85, 2009

      4 임영균,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 간의 상생협력: 갈등이슈와 규제방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12 (12): 125-151, 2007

      5 류인철,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 상생방안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99-314, 2013

      6 김두순, "대형유통업체 영업시간규제의 고용영향평가" 한국고용정보원 2012

      7 박성재, "대형유통업체 영업시간규제 고용영향평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8 정진욱, "대형소매점 영업제한의 경제적 효과" 2013

      9 김중길, "대형마트・SSM 규제정책형성에 나타난 정책갈등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Kingdon의 정책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61-185, 2014

      10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형마트·SSM 의무휴업에 따른 효과성 분석 및 정책방안 연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4

      1 안형기, "환경규제정책 순응에 관한 주민 인식 구조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321-349, 2011

      2 정세희, "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해 본 기업형 수퍼마켓(SSM) 규제정책변동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23-52, 2012

      3 박성용, "소비자정책측면에서 규제완화정책의 방향" 한국소비자원 36 : 67-85, 2009

      4 임영균,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 간의 상생협력: 갈등이슈와 규제방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12 (12): 125-151, 2007

      5 류인철,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 상생방안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299-314, 2013

      6 김두순, "대형유통업체 영업시간규제의 고용영향평가" 한국고용정보원 2012

      7 박성재, "대형유통업체 영업시간규제 고용영향평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8 정진욱, "대형소매점 영업제한의 경제적 효과" 2013

      9 김중길, "대형마트・SSM 규제정책형성에 나타난 정책갈등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Kingdon의 정책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61-185, 2014

      10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형마트·SSM 의무휴업에 따른 효과성 분석 및 정책방안 연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4

      11 마상열, "대형마트 영업규제 의미와 중소유통업과의 상생발전방안" 경남발전연구원 1-28, 2012

      12 심영규, "기업형수퍼마켓(SSM) 규제에 대한 국제통상법적 고찰 -“기업형수퍼마켓(SSM) 규제법”의 최근 개정 내용과 WTO 「서비스무역일반협정」(GATS) 규정을 중심으로-" 한양법학회 (33) : 437-467, 2011

      13 최승필, "규제완화에 대한 법적 고찰 - 인·허가 및 신고, 등록제도와 네거티브 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17-347, 2011

      14 김선욱, "공공기관과 사기업의 고용차별금지에 관한 규제 순응도 분석" 19 : 47-69, 2002

      15 Basker, 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7 (87): 174-183, 2005

      16 Anderson, H., "Analysis: Wal-Mart's Effects Not All Ba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