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전형적 의문문의 한중 대조 연구 = Contrastive Study on Non-typical Interrogatives in Korean and 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8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비전형적 의문문을 구성하는 문법 요소들을 대조한 연구이다. 비전형적 의문문은 일반적인 의문문과 화행적으로 상이한 성격을 가진 의문문으로, ‘확인의문문’, ‘자문’, ‘수사의문문’이 이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문법 요소 중 ‘-지’, ‘-잖아’, ‘-구나’, ‘-네’, ‘-더라’, ‘-은가’ ‘-을까’를, 중국어의 문법 요소 중 ‘吧’, ‘是不是’, ‘啊’, ‘来着’, ‘呢’를 검토하였다. 유사한 기능을 하는 문법 요소를 짝지어 대조하여 그 세부적인 의미와 제약을 밝혔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비전형적 의문문을 구성하는 문법 요소들을 대조한 연구이다. 비전형적 의문문은 일반적인 의문문과 화행적으로 상이한 성격을 가진 의문문으로, ‘확인의문...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비전형적 의문문을 구성하는 문법 요소들을 대조한 연구이다. 비전형적 의문문은 일반적인 의문문과 화행적으로 상이한 성격을 가진 의문문으로, ‘확인의문문’, ‘자문’, ‘수사의문문’이 이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문법 요소 중 ‘-지’, ‘-잖아’, ‘-구나’, ‘-네’, ‘-더라’, ‘-은가’ ‘-을까’를, 중국어의 문법 요소 중 ‘吧’, ‘是不是’, ‘啊’, ‘来着’, ‘呢’를 검토하였다. 유사한 기능을 하는 문법 요소를 짝지어 대조하여 그 세부적인 의미와 제약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trasted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that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s of non-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those in Chinese. Non-typical interrogatives, including the biased interrogative, the self-question and the rhetorical interrogative, are interrogative setences that have different properties from 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terms of the speech act. We investigated -ji, -janha, -guna, -ne, -deola, -eunka and -eulkka in Korean, and ba(吧), shibushi(是不是), a(啊), laizhe(来着) and ne(呢) in Chinese. We compared grammatical elements that show similar function, in order to discover and describe their meanings and constrai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contrasted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that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s of non-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those in Chinese. Non-typical interrogatives, including the biased interrogative, the self-question an...

      In this study, we contrasted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that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s of non-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those in Chinese. Non-typical interrogatives, including the biased interrogative, the self-question and the rhetorical interrogative, are interrogative setences that have different properties from typic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terms of the speech act. We investigated -ji, -janha, -guna, -ne, -deola, -eunka and -eulkka in Korean, and ba(吧), shibushi(是不是), a(啊), laizhe(来着) and ne(呢) in Chinese. We compared grammatical elements that show similar function, in order to discover and describe their meanings and constrai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은숙, "현대중국어 의문문중의 어기조사 기능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정명숙, "현대중국어 어기조사의 화용론적 의미 분석 : 료, 적, 니, 파, 마, 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재연,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회 (66) : 79-108, 2013

      4 이쌍 ; 권경근,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문문 억양 대조 연구" 우리말학회 (58) : 5-39, 2019

      5 진관초, "한국어 종결어미 ‘-더라’와 중국어 ‘來着’에 대한 대조 연구: 증거성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67 : 217-245, 2015

      6 박재연, "한국어 종결어미 ‘-구나’의 의미론" 한국어의미학회 43 : 219-245, 2014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Xing Xiaofang, "한·중 의문문의 대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9 리, "표준 중국어 문법" 한울아카데미 2013

      10 강려연, "종결어미 ‘-지(요)’와 중국어 어기사의 양태·화행 대조연구" 세종대학교 2017

      1 고은숙, "현대중국어 의문문중의 어기조사 기능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정명숙, "현대중국어 어기조사의 화용론적 의미 분석 : 료, 적, 니, 파, 마, 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재연,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회 (66) : 79-108, 2013

      4 이쌍 ; 권경근,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문문 억양 대조 연구" 우리말학회 (58) : 5-39, 2019

      5 진관초, "한국어 종결어미 ‘-더라’와 중국어 ‘來着’에 대한 대조 연구: 증거성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67 : 217-245, 2015

      6 박재연, "한국어 종결어미 ‘-구나’의 의미론" 한국어의미학회 43 : 219-245, 2014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Xing Xiaofang, "한·중 의문문의 대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9 리, "표준 중국어 문법" 한울아카데미 2013

      10 강려연, "종결어미 ‘-지(요)’와 중국어 어기사의 양태·화행 대조연구" 세종대학교 2017

      11 신우봉, "제주방언 평서문과 의문문에 나타나는 억양 연구: 어말어미 ‘-안/언, -으멘’을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31 : 87-109, 2015

      12 박재연, "인식 양태와 의문문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언어교육원 41 (41): 101-118, 2005

      13 이경희, "의미와 형태의 불일치: 수사의문문의 유형과 기능"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29-47, 2011

      14 이희자,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어미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5 이의종, "비전형적 의문문에 대한 한·중 대조 연구" 국어학회 127-137, 2014

      16 장혜진,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학회 50 : 105-136, 2022

      17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18 朱德熙, "语法讲义" 商务印书馆 1982

      19 张宜生, "论时间助词“来着”:兼论“来着1”与“的”以及“来着2”的区别" 4 : 61-67, 2000

      20 徐盛桓, "疑问句探询功能的迁移" 1 : 3-11, 1999

      21 徐晶凝, "现代汉语话语情态研究" 昆仑出版社 2008

      22 邵敬敏, "现代汉语疑问句研究" 华东师范大学出版社 1996

      23 吕叔湘, "现代汉语八百词" 商务印书馆 1980

      24 刘月华, "实用现代汉语语法"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1983

      25 李未然, "句末语气助词“吗、吧、呢”的语义研究" 北京大学 2012

      26 宋玉柱, "关于时间副词"的"和"来着"" 4 : 271-276, 1981

      27 宋文辉, "也论来着的表达功能 : 与熊仲儒同志商榷" 4 : 58-64, 2004

      28 井上優, "きもちと文末助詞" 2013

      29 박재연, "‘-던가’, ‘-더라’ 의문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학회 (53) : 199-227, 2008

      30 장경희, "{더}의 의미와 그 용법" 한국언어학회 8 (8): 293-313, 1983

      31 Lee, H. S., "Tense, Aspect, and Modality: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UCLA 1991

      32 Searle, John Rogers,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33 Sweetser, Eve,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Metaph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Semantic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34 Li, Charles N., ",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35 陈前瑞, ""来着"补论" 1 : 22-27, 2006

      36 熊仲儒, ""来着"的词汇特征" 2 : 58-65,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