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어 방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미진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어 방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미진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
본 연구는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어 방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미진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조선어 방언 연구 성과를 개관한 논의들과 달리 본 연구는 조선어 방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총 37개의 상관 연구 성과를 찾아냈는데 기타 학과의 연구 성과와 비교해 상당히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7개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 연구, 음운 연구, 문법 연구, 어휘 연구, 담화 연구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조사 대상, 연구 주제, 방언 연구자 등 세 가지 방면으로 향후 조선어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어 방언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한편 앞으로 조선어 방언 연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두는 데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to d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identify the shortcomings in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Un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to d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identify the shortcomings in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Unlike the discussion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olinguistic study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A total of 37 research results on sociolinguistics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have been identified, but compared to research results from other disciplines, the number i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divides 37 research findings into comprehensive research, phonetics research, grammar research, vocabulary research, and discourse research. Based on this, it proposes the future sociolinguistic research tasks for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from three aspect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content, and cultivation of dialect researchers. I hope this study can further confirm the necessity of conducting sociolinguistic research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and open up new possibilities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학석, "훈춘지방말의 어음론적특성" 연변대학교 1981
2 박미혜, "함북 육진 방언의 음운변이 연구" 서울대학교 2022
3 배정호, "함경도방언계칭의 사회언어학적연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 : 9-11, 1990
4 남명옥, "함경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방언학회 (30) : 59-92, 2019
5 소신애,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국어국문학회 (194) : 39-71, 2021
6 조태린, "한국어 방언과 방언 연구의 변화에 대한 소고 :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177-199, 2015
7 임선우, "평안도 방언 연구사 검토" 한국방언학회 (35) : 177-212, 2022
8 박경래, "충북출신 중국 연변 조선족 언어집단의 경어법 혼합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53-82, 2005
9 박경래, "충북 출신 중국 이주민 집단의 언어사용 변화 양상: 정암촌의 충북 방언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7-236, 2023
10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민족출판사 1993
1 전학석, "훈춘지방말의 어음론적특성" 연변대학교 1981
2 박미혜, "함북 육진 방언의 음운변이 연구" 서울대학교 2022
3 배정호, "함경도방언계칭의 사회언어학적연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 : 9-11, 1990
4 남명옥, "함경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방언학회 (30) : 59-92, 2019
5 소신애, "한국어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국어국문학회 (194) : 39-71, 2021
6 조태린, "한국어 방언과 방언 연구의 변화에 대한 소고 :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사회언어학회 23 (23): 177-199, 2015
7 임선우, "평안도 방언 연구사 검토" 한국방언학회 (35) : 177-212, 2022
8 박경래, "충북출신 중국 연변 조선족 언어집단의 경어법 혼합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한국사회언어학회 13 (13): 53-82, 2005
9 박경래, "충북 출신 중국 이주민 집단의 언어사용 변화 양상: 정암촌의 충북 방언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07-236, 2023
10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민족출판사 1993
11 전학석, "중국에서의 우리말 방언의 실태 및 특성" 한국방언학회 (2) : 249-266, 2005
12 최란화, "중국어 영향에 의한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13 오성애, "중국 청도 조선족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역락 2010
14 장혜련, "중국 지린시 지역 조선어의 성조 연구" 전북대학교 2022
15 신천, "중국 조선어의 언어 접촉과 코드 스위칭 연구 -베이징시 조선족 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46 : 47-80, 2020
16 강용택, "중국 조선어 방언 연구 검토"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6) : 5-12, 2017
17 이림, "중국 연변지역어의 상대높임법 뒤섞임 현상 연구" (재)한국연구원 (9) : 195-233, 2021
18 양홍, "중국 연변지역어에서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어와 지칭어 사용 양상" 한국방언학회 (20) : 343-379, 2014
19 양홍, "중국 연변방언의 부부 사이 호칭어와 지칭어의 사용 양상" 한국방언학회 (18) : 195-227, 2013
20 이홍란, "중국 연변 지역어의 청자대우법 사용 양상 연구- 희극 소품, 드라마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3 : 5-38, 2015
21 장승환, "중국 연변 지역 조선어 사용실태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연변대학교 2015
22 박경래, "중국 연변 정암촌 방언의 상대경어법" 이중언어학회 (23) : 43-66, 2003
23 정의향, "중국 무순지역 한국어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77-92, 2011
24 안해련, "중국 내 조선어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변인" 한중인문학회 (80) : 135-160, 2023
25 최경희, "조선족의 친족 호칭어·지칭어 연구-연변 훈춘 지역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177-207, 2006
26 최경희, "조선족의 친족 호칭어·지칭어 연구 : 연변 훈춘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27 송원양, "조선족 언어의 중국어 차용어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인하대학교 2017
28 오성애, "조선족 단체 대화방의 코드 전환과 코드 혼용 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화법학회 (33) : 93-126, 2016
29 김철준, "조선어문법" 연변대학출판사 2011
30 김덕모, "조선말계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연구(2)"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3) : 14-18, 1994
31 김덕모, "조선말계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연구(1)"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 : 13-17, 1994
32 박경래, "재중 동포 언어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2
33 徐香蘭, "용정 지역 조선어의 세대별 상대높임법과 그 변화"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34 임홍연, "연변지역어의 연구사 -한국에서 발표한 중국 학생들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8) : 227-256, 2018
35 허재영, "연변지역말의 낱말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김학철의 장편소설 <격정시대>를 중심으로"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9
36 박성화, "연변지역 호칭어 변화양상 및 원인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37 고홍희, "연변지역 한국어 의문법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4
38 양홍, "연변지역 친족호칭어와 청자대우 등급의 사용 양상 연구" 연변대학교 2014
39 장승환, "연변지역 격조사 사용실태 조사 연구" 한국방언학회 (20) : 173-193, 2014
40 소신애, "연변 훈춘지역 조선어의 진행중인 음변화 연구-구개음화현상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01
41 최란 ; 조경순 ; 김일 ; 윤란, "연변 지역에서 한국어 ‘괜찮다’와 조선어 ‘일없다’의 사용 양상 연구" 인문학연구소 (54) : 273-320, 2019
42 金善姬, "연변 지역어의 친척어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43 김홍매, "연변 지역 종결어미 사용 양상 : 영화에서 나타난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4
44 소신애, "어간 재구조화의 진행 과정(2)- 훈춘 지역 세대별 화자들의 활용 어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5) : 41-68, 2005
45 장성일, "서북방언의 음운론적 연구-중국조선족을 대상으로" 연변대학교 2009
46 허재영,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지역어 연구 실태와 연구 경향" 한국사회언어학회 20 (20): 465-479, 2012
47 오새내,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우리어문학회 (41) : 77-104, 2011
48 김송훼, "두음법칙의 사용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연변지역을 중심으로" 연변대학교 2012
49 오성애 ; 한성우, "단체 대화방에 나타난 조선족 언어의 탈색과 채색" 우리말학회 (46) : 111-142, 2016
50 주은숙, "길림성 왕청현지역의 방언연구" 연변대학교 2007
51 장혜진,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학회 50 : 105-136, 2022
52 소신애, "語幹 再構造化의 진행 과정(1)-琿春地域 世代別 話者들의 활용 어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17-139, 2004
53 박미혜, "咸北 六鎮方言의 母音調和 實現 樣相에 대하여 -세대별 差異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7 (47): 67-87, 2019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비교 분석 - 국제 통용・KSL・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법제처 ‘알기 쉬운 법령 정비 기준’의 일본식 한자어 구성 연구
다문화 배경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육 방안 -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글 단위별 연계적 쓰기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