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년 독일 임대차조절법에 따른 차임인상제동에 관한 연구 ― 도입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 = Die Mietpreisbremse nach dem Mietrechtsanpassungsgesetz (2019) ― Einführungsmöglichkeit in das koreanische Rech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액임차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관련되는 법령들은 반복되는 개정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임대차3법이 폐지될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다. 어떠한 방식이든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된 상태다. 현재 주태임대차에 관한 학계의 연구결과와 사회적 이슈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분명하지만, 국회의 입법과 정부의 정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리 대한민국 헌법 제23조 모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고 있고(동조 제1항),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 사용 및 제한은 법률로써 하며,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동조 제3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전세보증금 및 월세의 인상이 전세계적 물가상승과 맞물려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안정적인 주택시장보호를 관철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독일에서는 2015년 이후 임대료증액에 대한 관심과 언론보도가 증가하고 있고 차임인상제동(Mietpreisbremse)에 관한 법원판결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학계와 실무계가 이를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2015년 독일 임대차수정법(Mietrechtsnovellierungsgesetz)을 통하여 개정된 독일 임대차법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임대차제도의 문제해결에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어 2019년 독일 임대차조절법(Mietrechtsanpassungsgesetz)을 통해 재차 개정된 점도 우리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최근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이 2015년부터 계속적으로 진행된 독일임대차제도의 변화와 문제점에 관한 여러 논의를 종식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에서 임대료 및 보증금 증액에 관한 관심과 분쟁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때마침 독일에서는 임대차법개정을 통해 차임인상제동제도가 시행되었는바, 우리에게 이 제도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도입된 이 제도가 차임증액 및 보증금증액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내용을 중점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번역하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액임차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관련되는 법령들은 반복되는 개정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임대차3법이 폐지될 가능성도 ...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액임차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관련되는 법령들은 반복되는 개정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임대차3법이 폐지될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다. 어떠한 방식이든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된 상태다. 현재 주태임대차에 관한 학계의 연구결과와 사회적 이슈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분명하지만, 국회의 입법과 정부의 정책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리 대한민국 헌법 제23조 모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고 있고(동조 제1항),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 사용 및 제한은 법률로써 하며,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동조 제3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전세보증금 및 월세의 인상이 전세계적 물가상승과 맞물려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안정적인 주택시장보호를 관철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독일에서는 2015년 이후 임대료증액에 대한 관심과 언론보도가 증가하고 있고 차임인상제동(Mietpreisbremse)에 관한 법원판결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학계와 실무계가 이를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2015년 독일 임대차수정법(Mietrechtsnovellierungsgesetz)을 통하여 개정된 독일 임대차법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임대차제도의 문제해결에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어 2019년 독일 임대차조절법(Mietrechtsanpassungsgesetz)을 통해 재차 개정된 점도 우리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최근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이 2015년부터 계속적으로 진행된 독일임대차제도의 변화와 문제점에 관한 여러 논의를 종식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내에서 임대료 및 보증금 증액에 관한 관심과 분쟁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때마침 독일에서는 임대차법개정을 통해 차임인상제동제도가 시행되었는바, 우리에게 이 제도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도입된 이 제도가 차임증액 및 보증금증액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내용을 중점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8

      2 박신욱, "한국과 독일의 임대차임규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491-1536, 2014

      3 송덕수, "채권법각론" 박영사 2019

      4 김용담, "주석민법 채권각칙(3) : §569~§654"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5 홍윤선, "민사법 정비시리즈 I: 독일의 임대차관계에서의 차임액의 규율 및 인상방식의 검토, 국내법상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上)" 한국법학원 2019

      6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22

      7 김세준, "독일의 주택임대차계약상 차임의 규제 – 2015년 4월 21일 독일민법 임대차개정법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8 : 191-215, 2016

      8 이도국, "독일 주택임대차관계에서의 차임에 관한 연구― 최근 독일 개정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6 (36): 181-202, 2019

      9 박신욱, "독일 임대차임 제동수단(Mietpreisbremse)의 성과와 지불 가능한 임대차임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37 (37): 235-262, 2020

      10 김수행, "경제학 고전선 – 애덤 스미스 : 국부론(상)" 비봉출판사 2013

      1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8

      2 박신욱, "한국과 독일의 임대차임규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491-1536, 2014

      3 송덕수, "채권법각론" 박영사 2019

      4 김용담, "주석민법 채권각칙(3) : §569~§654"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5 홍윤선, "민사법 정비시리즈 I: 독일의 임대차관계에서의 차임액의 규율 및 인상방식의 검토, 국내법상 도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上)" 한국법학원 2019

      6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22

      7 김세준, "독일의 주택임대차계약상 차임의 규제 – 2015년 4월 21일 독일민법 임대차개정법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8 : 191-215, 2016

      8 이도국, "독일 주택임대차관계에서의 차임에 관한 연구― 최근 독일 개정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6 (36): 181-202, 2019

      9 박신욱, "독일 임대차임 제동수단(Mietpreisbremse)의 성과와 지불 가능한 임대차임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37 (37): 235-262, 2020

      10 김수행, "경제학 고전선 – 애덤 스미스 : 국부론(상)" 비봉출판사 2013

      11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H23G6WY"

      12 "https://www.lto.de/recht/nachrichten/n/mieten-deckel-mietpreis-berlin-senat-obergrenze-gesetz/? utm_medium=email&utm_source=WKDE_LEG_NSL_LTO_Daily_EM&utm_campaign=wkde_leg_mp_lto_daily_ab13.05.2019"

      13 "https://www.hldcc.or.kr/hp/li/statHldccRetunDetail.do"

      14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630/114213209/1"

      15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20329/112578683/1"

      16 "https://gonggam.korea.kr/newsView.do?newsId=GAJTfYCcUDGJM000"

      17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5588"

      18 Franz Jürgen Säcke,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Beck 2020

      19 Christian Grüneberg, "Grüneberg Bürgerliches Gesetzbuch Kommentar" Beck 2022

      20 "Gesetz über die energetische Modernisierung von vermietetem Wohnraum und über die vereinfachte Durchsetzung (Mietrechtsänderungsgesetz - MietRÄndG) vom 11.03.2013"

      21 "Gesetz zur Verlängerung und Verbesserung der Regelungen über die zulässige Miethöhe bei Mietbeginn vom 19.03.2020"

      22 "Gesetz zur Ergänzung der Regelungen über die zulässige Miethöhe bei Mietbeginn und zur Anpassung der Regelungen über die Modernisierung der Mietsache (Mietrechtsan- passungsgesetz – MietAnpG) vom 18.12.2018"

      23 "Gesetz zur Dämpfung des Mietanstiegs auf angespannten Wohnungsmärkten und zur Stärkung des Bestellerprinzips bei der Wohnungsvermittlung (Mietrechtsnovellierungsgesetz – MietNovG) vom 21.04.2015"

      24 Michael Selk, "Das Mietrechtsanpassungsgesetz" 329-, 2019

      25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und für Verbraucherschutz: Die Regelungen zur zulässigen Miethöhe bei Mietbeginn in Gebieten mit angespannten Wohnungsmärkten („Mietpreisbremse“)"

      26 양창수, "2021년판 독일민법전 – 총칙・채권・물권" 박영사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