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사나 학생이 아닌 2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명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 지역, 직업군, 최종학력)과 교육적 배경(발명교육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4730
2023
Korean
발명 ; 발명교육 ; 일반인 ; 발명태도 ; 발명의식 ; Invention ; Invention education ; General people ; Invention attitude ; Invention recognition
KCI등재
학술저널
1-14(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사나 학생이 아닌 2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명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 지역, 직업군, 최종학력)과 교육적 배경(발명교육 경...
이 연구는 교사나 학생이 아닌 20대 이상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명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일반인의 일반적 배경(성별, 연령, 지역, 직업군, 최종학력)과 교육적 배경(발명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발명에 대한 태도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발명교육 대상의 확대 및 발명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에 응답한 사람들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발명태도 수준을 살펴보면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관심적 태도, 실천적 태도 순으로 나타나 발명에 대한 인지적 태도 수준은 높은 편이나 실제로 발명 활동이 이루어지는 실천적 태도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른 발명태도 수준은 실천적 태도 영역에서 30대가 높은 태도 수준을 갖고 있었다. 거주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관계없이 발명태도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직업(군)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연구, 의료, 교육, 예술적 창작활동 등)가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최종학력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높았다. 둘째, 설문조사에 응답한 사람들의 교육적 배경에 따른 발명태도 수준을 살펴보면, 발명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인의 발명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발명교육 경험자들의 발명태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반인의 발명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향상 및 발명 교육 대상 확대를 위한 발명교육 과정 설계와 교수학습자료 개발 시 참고자료로서의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of the general public in their 20s and older, who were not teachers or students, and discover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age, region, occu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of the general public in their 20s and older, who were not teachers or students, and discover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gender, age, region, occupational group, and educational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experience of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invention attitude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cognitive, emotional, interest, and practical attitudes—with the level of cognitive attitude toward invention being high and that of practical attitude being relatively low. Detailed analysis of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among the general public by gender, and in the field of practical attitude,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by age was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vention attitudes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ith regard to occupation. Further, experts and related workers (in the fields of research, medical care, education,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etc.) showed a high level of invention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vention attitudes of the general public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with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being high for people with graduate degrees or higher. Second, in terms of participants’ educational backgr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level of invention attitude by educational background; the general public’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invention education was high. The study’s findings provide data that can be used as references when designing invention curriculums to expand the subject of invention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nd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아, "초등학생의 환경태도 신장을 위한 엔트리 활용발명교육 프로그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2 김나연,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와 독서성향과의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3 임형규 ; 이춘식,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67-286, 2012
4 왕유진,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9 (39): 247-261, 2014
5 우윤진,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발명에 대한 태도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6 김기열 ; 함형인, "중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및 이미지"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63-73, 2016
7 김정훈, "인공지능과 스마트팜을 이용한 초등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8 이혜지, "역사를 기초로 한 초등발명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9 김기영, "실생활 관련 적정기술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0 박활, "스캠퍼 기법 기반의 발명품 개선 교육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 박현아, "초등학생의 환경태도 신장을 위한 엔트리 활용발명교육 프로그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2 김나연,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와 독서성향과의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3 임형규 ; 이춘식,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67-286, 2012
4 왕유진,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이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9 (39): 247-261, 2014
5 우윤진,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발명에 대한 태도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6 김기열 ; 함형인, "중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및 이미지"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63-73, 2016
7 김정훈, "인공지능과 스마트팜을 이용한 초등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8 이혜지, "역사를 기초로 한 초등발명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9 김기영, "실생활 관련 적정기술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0 박활, "스캠퍼 기법 기반의 발명품 개선 교육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1 김순창, "발명아이디어 교류활동이 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김은숙, "발명문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3 최유현,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문제해결 성향 및 발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3 (13): 271-288, 2007
14 한미영, "발명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기유발이 발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사회과 5학년 역사영역 중 의식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15 고보람, "문제해결학습 모형에 기반한 실과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6 이은정, "‘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 단원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7 신동인, "RSP모형을 적용한 비행기 제작활동 중심의 초등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8 이승원, "RSP기법 중심의 적정기술기반 발명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명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19 특허청, "2020 지식재산통계연보"
대중국악의 교육현황 및 중등음악교사의 인터뷰를 활용한 발전방안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수업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