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이해 = A Biographical Understanding on the Life of a Male Elderly in a Single-Person Househ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4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여, 1인가구의 삶으로 귀결되기까지 어떠한 생애궤적을 거쳐 왔고 또 현재에는 1인가구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삶에 대해 그 자신은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 남성노인 1명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의 삶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자료를 생애사적 사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남성노인의 생애사에서 도출된 주요 경험은 ‘생가와 양가 부모에 대해 보은하는, 이중적 자(子)로서의 삶’, ‘소소하나마 성공을 거둔 직업인으로서의 삶’, ‘오랫동안 별거생활을 감수해온 기러기 남편으로서의 삶’, ‘요양원에서 지내다 고인이 된 아내를 종사자들과 자녀들에게 기대어 돌본 남편으로서의 삶’, ‘사별 전후 홀몸 남편으로서의 우울증이 깊게 자리한 삶 및 자녀들로부터 돌봄을 받는 부모로서의 삶’ 등 자와 직업인, 남편, 부모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경험은 ‘양지와 음지가 혼재된, 다중적 가장으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족 내 역할이 이 남성노인의 삶을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중대한 생애사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고, 그가 가문으로 확장된 가족중심의 삶을 살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결과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복지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여, 1인가구의 삶으로 귀결되기까지 어떠한 생애궤적을 거쳐 왔고 또 현재에는 1인가구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 남성노인의 삶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여, 1인가구의 삶으로 귀결되기까지 어떠한 생애궤적을 거쳐 왔고 또 현재에는 1인가구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삶에 대해 그 자신은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 남성노인 1명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의 삶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자료를 생애사적 사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남성노인의 생애사에서 도출된 주요 경험은 ‘생가와 양가 부모에 대해 보은하는, 이중적 자(子)로서의 삶’, ‘소소하나마 성공을 거둔 직업인으로서의 삶’, ‘오랫동안 별거생활을 감수해온 기러기 남편으로서의 삶’, ‘요양원에서 지내다 고인이 된 아내를 종사자들과 자녀들에게 기대어 돌본 남편으로서의 삶’, ‘사별 전후 홀몸 남편으로서의 우울증이 깊게 자리한 삶 및 자녀들로부터 돌봄을 받는 부모로서의 삶’ 등 자와 직업인, 남편, 부모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경험은 ‘양지와 음지가 혼재된, 다중적 가장으로서의 삶’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족 내 역할이 이 남성노인의 삶을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중대한 생애사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고, 그가 가문으로 확장된 가족중심의 삶을 살아왔음을 보여주고 있는 결과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복지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 621-647, 2000

      2 허소영,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노년학회 30 (30): 241-260, 2010

      3 정여주 ; 김정득,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의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95-322, 2013

      4 송민경, "쪽방노인 생활실태에 따른 정책 제안 연구 : 서울시 종로구 돈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권지성,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31-156, 2008

      6 구병준, "조선총독부의 인구관리와 영아사망률 통계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24 (24): 301-334, 2020

      7 양승애,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일생생활 체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심문숙,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21 (21): 171-181, 2007

      9 백학영,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1) : 5-39, 2006

      10 조미경, "저소득 남성노인의 홀로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7-34, 2013

      1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 621-647, 2000

      2 허소영,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노년학회 30 (30): 241-260, 2010

      3 정여주 ; 김정득,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의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95-322, 2013

      4 송민경, "쪽방노인 생활실태에 따른 정책 제안 연구 : 서울시 종로구 돈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권지성,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31-156, 2008

      6 구병준, "조선총독부의 인구관리와 영아사망률 통계 문제" 역사문제연구소 24 (24): 301-334, 2020

      7 양승애, "저소득층 독거 여성노인의 일생생활 체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8 심문숙,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21 (21): 171-181, 2007

      9 백학영,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1) : 5-39, 2006

      10 조미경, "저소득 남성노인의 홀로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7-34, 2013

      11 양영자, "재독 한인여성의 생애체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노동이주여성 - 되기’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141-168, 2016

      12 통계청, "인구총조사.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 -시군구"

      13 김주성, "영세 독거노인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11 (11): 227-239, 1999

      14 김효진, "영등포 쪽방촌 주민들의 삶과 도시빈민공간으로서의 기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5 원미라 ; 이광자,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 25 (25): 195-206, 2016

      16 김춘미 ; 고문희 ; 김문정 ; 김주현 ; 김희자 ; 문진하 ; 백경선 ; 손행미 ; 오상은 ; 이영애 ; 최정숙, "여성 독거노인의 삶" 한국간호과학회 38 (38): 739-747, 2008

      17 박아청, "에릭슨의 인간이해" 교육과학사 2010

      1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노인 1인가구 사회적 관계망 강화방안" 서울연구원 2018

      19 박기남, "생애구술을 통해 본 독거여성노인의 삶" 4 (4): 149-194, 2004

      20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21 송기호, "무당과 점쟁이" 57 (57): 54-65, 2009

      22 양영자, "노부모 돌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2 (12): 5-37, 2018

      23 양영자,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 -재독한인노동이주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71-298, 2013

      24 석희정, "남성독거노인의 홀로 살아가는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9-53, 2014

      25 안기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생애사 연구: 사회적 배제와 행위주체성(agency)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 (32): 447-465, 2012

      26 길리건, "가부장 무너뜨리기" 심플 라이프 2019

      27 장정태, "『명심보감』 속 효행 편내용 연구" 33 : 91-113, 2019

      28 Fennell, G., "The invisible man? Older men in modern society" 28 (28): 315-325, 2003

      29 Russel, C., "Single older men in disadvantaged households. Narratives of meaning around everyday life" 28 (28): 359-371, 2003

      30 Baltes, M., "Produktives Leben im Alter" Campus Verlag 1996

      31 Thompson, E. H., "Older men’s lives" SAGE 1994

      32 White, M.,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W. W. Norton and Company 1990

      33 Tews, H. P., "Lebenslagen im Strukturwandel des Alters" Westdeuscher Verlag 15-42, 1993

      34 Rosenthal, G., "Interpretative Sozialforschung. Eine Einführung" Juventa Verlag 2015

      35 Völter, B., "Fallverstehen und Fallstudien. Interdisziplinäre Beiträge zur rekonstruktiven Sozialarbeitsforschung. Bd. Ⅰ. Rekonstruktive Forschung in der sozialen Arbeit" Verlag Barbara Budrich 193-204, 2007

      36 Rosenthal, G., "Erlebte und erzählte Lebensgeschichte. Gestalt und Struktur biographischer Selbstbeschreibungen" Campus Verlag 1995

      37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81

      38 Rosenmayr, L., "Der alte Mensch in der Gesellschaft" Rowohlt 1972

      39 Hanses, A., "Biographie und soziale Arbeit. Institutionelle und biographische Konstruktionen von Wirklichkeit" Schneider Verlag 2004

      40 Dausien, B., "Biographie und Geschlecht. Zur biographischen Konstruktion sozialer Wirklichkeit in Frauenlebensgeschichten" Donat Verlag 1996

      41 Miethe, I., "Biografiearbeit. Lehrund Handbuch für Studium und Praxis" Juventa 2011

      42 통계청, "2020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