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키오스크 사용 상황에서 기술적 역량과 시각적 주의의 관계:기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technical capability on visual attention in kiosk use situa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y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4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건비 증가와 기술 발전과 같은 요인에 의한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키오스크 시 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것에 비해, 키오스크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의 디지털 소외 역시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이 키오스크의 실제 사용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를 기술 자기효능감이 매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다양한 연령층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술적 역량과 시각적 주의의 관계에 대해 기술 자기효능감이 이를 매개하는 영향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 자기효능감이 키오스크의 실제 사용에 중요한 심리적 요인임을 밝히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키오스크를 직접적으로 교육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기저제품을 교육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자기효능감에 따라 새로운 기술의 사용 또한 효율적이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인건비 증가와 기술 발전과 같은 요인에 의한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키오스크 시 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것에 비해, 키오스크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의 디지털 소외 역시 ...

      인건비 증가와 기술 발전과 같은 요인에 의한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키오스크 시 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것에 비해, 키오스크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의 디지털 소외 역시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이 키오스크의 실제 사용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를 기술 자기효능감이 매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다양한 연령층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술적 역량과 시각적 주의의 관계에 대해 기술 자기효능감이 이를 매개하는 영향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 자기효능감이 키오스크의 실제 사용에 중요한 심리적 요인임을 밝히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키오스크를 직접적으로 교육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기저제품을 교육시키는 것으로 생기는 자기효능감에 따라 새로운 기술의 사용 또한 효율적이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영,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043-1050, 2018

      2 모준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 비대면 영화관 키오스크 영역에 대한 고령사용자 경험 연구" 22 (22): 297-300, 2020

      3 황성원 ; 김현석, "패스트푸드점의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491-1501, 2019

      4 김희수,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개선 방안 연구: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제안을 중심으로" 1191-1195, 2020

      5 김동범 ; 남궁영, "키오스크의 지각된 편리성과 기술수용의 어려움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5 (25): 99-111, 2019

      6 유혜미 ; 권오성, "키오스크 User Interface 디자인 연구-영화관 무인티켓 발매기 UI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306-319, 2013

      7 최숙영,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25-35, 2018

      8 김민경, "외식기업의 키오스크(Kiosk) 품질 특성이 경험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71-86, 2019

      9 이수범 ; 이희복 ; 신명희,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2 (22): 99-125, 2011

      10 서상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65-171, 2019

      1 박은영,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043-1050, 2018

      2 모준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 비대면 영화관 키오스크 영역에 대한 고령사용자 경험 연구" 22 (22): 297-300, 2020

      3 황성원 ; 김현석, "패스트푸드점의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1491-1501, 2019

      4 김희수,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개선 방안 연구: 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제안을 중심으로" 1191-1195, 2020

      5 김동범 ; 남궁영, "키오스크의 지각된 편리성과 기술수용의 어려움이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5 (25): 99-111, 2019

      6 유혜미 ; 권오성, "키오스크 User Interface 디자인 연구-영화관 무인티켓 발매기 UI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306-319, 2013

      7 최숙영,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25-35, 2018

      8 김민경, "외식기업의 키오스크(Kiosk) 품질 특성이 경험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71-86, 2019

      9 이수범 ; 이희복 ; 신명희,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2 (22): 99-125, 2011

      10 서상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65-171, 2019

      11 전서영 ; 송지성, "병원 키오스크 UI 디자인에 대한 시니어 세대의 사용성 평가 연구 -서울 H 대학병원 키오스크 UI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411-421, 2020

      12 성윤정 ; 이원우 ; 서가현 ; 임진서 ; 전성원 ; 양영애, "만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키오스크(KIOSK) 사용능력의 상관관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1 (11): 135-142, 2019

      13 윤정윤 ; 이성한,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 자본으로써의 서비스 디자인 필요성 -노년층 인터넷 사용과 소외를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191-198, 2011

      14 김민하 ; 안미리,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59-192, 2003

      15 박주현,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9 (49): 267-300, 2018

      16 김학실 ; 심준섭,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17 이은용 ; 황정현 ; 이수범, "교육훈련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75-294, 2011

      18 김연지,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 2031-2033, 2019

      19 김태선, "고령자집단과 청장년 집단 간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기능사용의 지각된 용이성 차이" 한국상품학회 38 (38): 153-160, 2020

      20 홍승윤 ; 최종훈,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UI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56-563, 2019

      21 Stephen, C., "Young children playing and learning in a digital age: A cultural and critical perspective" Routledge 2017

      22 Mackworth, N. H., "Visual noise causes tunnel vision" 3 (3): 67-68, 1965

      23 Eriksen, C. W., "Visual attention within and around the field of focal attention : A zoom lens model" 40 (40): 225-240, 1986

      24 Teuber, H. L., "Visual Field Defects after Penetrating Missile Wounds of the Brai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25 Romano, J. C., "Using eye tracking to examine age-related differences in web site performance" SAGE Publications 54 (54): 1360-1364, 2010

      26 Dabholkar, P. A., "Understanding consumer motivation and behavior related to selfscanning in retailing : Implications for strategy and research on technology-based self-service" 14 (14): 59-95, 2003

      27 Baldwin, T. T., "Transfer of training :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41 (41): 63-105, 1988

      28 Maboe, M. J., "The role of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222-228, 2018

      29 Koltay, T.,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33 (33): 211-221, 2011

      30 Meuter, M. L.,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56 (56): 899-906, 2003

      31 Simunich, B., "The impact of findability on stud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online course quality" 29 (29): 174-185, 2015

      32 Igbaria, 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computer usage" 23 (23): 587-605, 1995

      33 Easterbrook, J. A., "The effect of emotion on cue util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66 (66): 183-, 1959

      34 Rogers, E. M., "The digital divide" 7 (7): 96-111, 2001

      35 Venkatesh, V., "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 39 (39): 273-315, 2008

      36 Compeau, D., "Social cognitive theory and individual reactions to computing technology: A longitudinal study" 145-158, 1999

      37 Curran, J. M., "Selfservice technology adoption: comparing three technologies" 2005

      38 Meuter, M. L., "Self-service technologies : understand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64 (64): 50-64, 2000

      39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37): 122-, 1982

      40 Kulviwat, S., "Self-efficacy as an antecedent of cognition and affect in technology acceptance" 2014

      4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42 서진우 ; 이자윤, "SST에 기반한 키오스크의 서비스 기술품질이 감정적 가치, 만족,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22 (22): 159-172, 2020

      43 Chen, F., "Robust Multimodal Cognitive Load Measurement" Springer 185-194, 2016

      44 Zhao, X.,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37 (37): 197-206, 2010

      45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19 (19): 313-332, 2005

      46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319-340, 1989

      47 Seeman, M., "On the meaning of alienation" 783-791, 1959

      48 Spada, M. M., "Metacognition,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emotion" 44 (44): 1172-1181, 2008

      49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 2002

      50 Steinfeld, N, "Measuring Digital Literacy with Eye Tracking: An examination of skills and performance based on user gaze" 21-28, 2021

      51 Eachus, P., "Internet self-efficacy and visual search strategies:The use of eye tracking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resources" 2008

      52 YOICHI, W., "Interferences of visual noises with the peripheral matching of letters" 36 (36): 101-110, 1977

      53 Ghobadi, S., "How access gaps interact and shape digital divide : a cognitive investigation" 34 (34): 330-340, 2015

      54 Bodenhausen, G. V., "Happiness and stereotypic thinking in social judgment" 66 (66): 621-, 1994

      55 Clore, G. L., "Handbook of affect and social cognition" 121-144, 2001

      56 Bandura, A., "Fearful expectations and avoidant actions as coeffects of perceived self-inefficacy"

      57 Chiou, G. L., "Exploring how students interact with guidance in a physics simulation:Evidence from eye-movement and log data analyses" 1-14, 2019

      58 Zhang, B., "Effects of load on the guidance of visual attention from working memory" 51 (51): 2356-2361, 2011

      59 Sung, B., "Does interest broaden or narrow attentional scope?" 30 (30): 1485-1494, 2016

      60 Gilster, P., "Digital literacy" John Wiley & Sons, Inc 1997

      61 Tzafilkou, K., "Diagnosing user perception and acceptance using eye tracking in web-based end-user development" 72 : 23-37, 2017

      62 Limbu, Y. B., "Credit card literacy and financi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efficacy and credit card number" 2019

      63 Yeo, V. C. S., "Consumer experience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online food delivery(OFD)services" 35 : 150-162, 2017

      64 Compeau, D. R., "Computer self-efficacy: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189-211, 1995

      65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0 (10): 1977

      66 Prior, D. D., "Attitude, digital literacy and self efficacy : Flow-on effects for online learning behavior" 29 : 91-97, 2016

      67 Gasper, K., "Attending to the big picture : Mood and global versus local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13 (13): 34-40, 2002

      68 Wegbreit, E., "Anxious mood narrows attention in feature space" 29 (29): 668-677, 2015

      69 Gelbrich, K., "Anxiety, crowding, and time pressure in public self-service technology acceptance" 2014

      70 Eysenck, M. W., "Anxiety and performance : The processing efficiency theory" 6 (6): 409-434, 1992

      71 Dabholkar, P. A., "An attitudinal model of technology-based self-service :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traits and situational factors" 30 (30): 184-201, 2002

      72 Golant, S. M., "A theoretical model to explain the smart technology adoption behaviors of elder consumers(Elderadopt)" 42 : 56-73, 2017

      73 Davis, F. 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5

      74 Sun, J. C. Y., "A smart eye-tracking feedback scaffolding approach to improving students' learn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a C programming course" 95 : 66-72, 2019

      75 Subramaniam, K., "A brain mechanism for facilitation of insight by positive affect" 21 (21): 415-432, 2009

      76 한정선, "21세기 지식 정보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 및 하위 영역 규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77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