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인시조의 프로조디와 가락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0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앙리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음적·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프로조디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음성과 의미를 분리하여 이해해 온 관점과 전적으로 대립되는 정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 프로조디는 결코 부수적인 무엇이 아니라 의미작용에 기여하는 개념적인 위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이러한 프로조디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조디가 무인시조의 가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물이다. 프로조디 분석을 통한 가락은 정형시로서의 시조가 갖는 가락과는 다른 층위의 것으로, 작품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무인들이 창작한 275수의 시조 작품들을 살펴, 그 가운데서 무인으로서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는, 이른다 무인시조를 73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대표적인 작가 5인을 선정하고, 그들 시조의 프로조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인이나 기녀, 중인가객 등이 지은 시조와는 달리 무인시조의 경우에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프로조디들이 계열을 이루어 출현하는 빈도가 높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비중이 높아서 강인한 장부의 기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데 기여하거나, 변방에서 느끼는 무인의 고뇌와 시름의 깊이를 형상화하는데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흔히 강호가도류의 작품이나 기녀시조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무인시조로부터 받게 되는 원인이 바로 무인시조의 독특한 프로조디의 출현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비정형적인 가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앙리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음적·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프로조디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음성과 의미를 분리하여 이해해 온 관점과 ...

      앙리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음적·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프로조디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음성과 의미를 분리하여 이해해 온 관점과 전적으로 대립되는 정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 프로조디는 결코 부수적인 무엇이 아니라 의미작용에 기여하는 개념적인 위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이러한 프로조디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조디가 무인시조의 가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물이다. 프로조디 분석을 통한 가락은 정형시로서의 시조가 갖는 가락과는 다른 층위의 것으로, 작품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무인들이 창작한 275수의 시조 작품들을 살펴, 그 가운데서 무인으로서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는, 이른다 무인시조를 73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대표적인 작가 5인을 선정하고, 그들 시조의 프로조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인이나 기녀, 중인가객 등이 지은 시조와는 달리 무인시조의 경우에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프로조디들이 계열을 이루어 출현하는 빈도가 높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비중이 높아서 강인한 장부의 기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데 기여하거나, 변방에서 느끼는 무인의 고뇌와 시름의 깊이를 형상화하는데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흔히 강호가도류의 작품이나 기녀시조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무인시조로부터 받게 되는 원인이 바로 무인시조의 독특한 프로조디의 출현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비정형적인 가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 Meschonnics newly proposed prosody is a definition that dictates the consonant and vowel organization of language and its affiliates, which is entirely at odds with the views traditionally understood by separating speech and meaning. Thus, in literature, Prosody has a conceptual status that contributes to the semantic process rather than something incidental. This study utilizes these prosody analysis methodologies to examine how prosody influences the tunes of unmanned prosody. The melody through prosody analysis is at a different level from that of sijo as an orthodox poem, which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a clearer shape of the theme of the work or to create an atmosphere. In the original book, the number of poems created by the fighters was reviewed and the number of poem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as a warrior was set at 73 among them. They selected five leading writers and analyzed the prosody of their sijo. As a result, unlike the sijo built by writers, ginyeo, and middle-aged guests, prosodies, which have the properties of rupture, parchal, and friction, often appear in a series, especially in high proportion of strong sounds and strong sounds, or in shape. The reason why we often get a completely different feeling from Gang-ho-Ga-dos works or ginyeo is the appearance of the unique prosody of unmanned prosody and the amorphous tunes formed by it.
      번역하기

      H. Meschonnics newly proposed prosody is a definition that dictates the consonant and vowel organization of language and its affiliates, which is entirely at odds with the views traditionally understood by separating speech and meaning. Thus, in liter...

      H. Meschonnics newly proposed prosody is a definition that dictates the consonant and vowel organization of language and its affiliates, which is entirely at odds with the views traditionally understood by separating speech and meaning. Thus, in literature, Prosody has a conceptual status that contributes to the semantic process rather than something incidental. This study utilizes these prosody analysis methodologies to examine how prosody influences the tunes of unmanned prosody. The melody through prosody analysis is at a different level from that of sijo as an orthodox poem, which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a clearer shape of the theme of the work or to create an atmosphere. In the original book, the number of poems created by the fighters was reviewed and the number of poem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as a warrior was set at 73 among them. They selected five leading writers and analyzed the prosody of their sijo. As a result, unlike the sijo built by writers, ginyeo, and middle-aged guests, prosodies, which have the properties of rupture, parchal, and friction, often appear in a series, especially in high proportion of strong sounds and strong sounds, or in shape. The reason why we often get a completely different feeling from Gang-ho-Ga-dos works or ginyeo is the appearance of the unique prosody of unmanned prosody and the amorphous tunes formed by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들어가며
      • 2. 무인시조의 개념과 범위
      • 3. 무인시조의 프로조디와 가락
      • 4. 나오며
      • Abstract
      • 1. 들어가며
      • 2. 무인시조의 개념과 범위
      • 3. 무인시조의 프로조디와 가락
      • 4. 나오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신중, "李舜臣 <閑山島歌>의 전승과 성격" 한국언어문학회 (57) : 111-128, 2006

      2 권혁웅, "현대시의 리듬 체계"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11-36, 2014

      3 권혁웅, "현대시에 나타난 리듬의 변주" 한국문학연구학회 (56) : 335-367, 2015

      4 민재원, "현대시 리듬 인식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 박인기, "한국현대시와 자유 리듬" 한국시학회 (1) : 134-155, 1998

      6 권혁웅, "한국 현대시의 리듬 연구" 우리어문학회 (46) : 265-289, 2013

      7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8 최석화, "한국 현대시 리듬론 재고" 한국근대문학회 (30) : 289-322, 2014

      9 박슬기, "한국 근대시의 새로운 리듬론, 리듬 음성중심주의를 넘어서 — 주요한의 「불노리」에서의 내면과 언어의 관계" 한국시학회 (36) : 9-33, 2013

      10 최현식, "한국 근대시와 리듬의 문제" 한국학연구소 (30) : 387-418, 2013

      1 김신중, "李舜臣 <閑山島歌>의 전승과 성격" 한국언어문학회 (57) : 111-128, 2006

      2 권혁웅, "현대시의 리듬 체계"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11-36, 2014

      3 권혁웅, "현대시에 나타난 리듬의 변주" 한국문학연구학회 (56) : 335-367, 2015

      4 민재원, "현대시 리듬 인식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5 박인기, "한국현대시와 자유 리듬" 한국시학회 (1) : 134-155, 1998

      6 권혁웅, "한국 현대시의 리듬 연구" 우리어문학회 (46) : 265-289, 2013

      7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8 최석화, "한국 현대시 리듬론 재고" 한국근대문학회 (30) : 289-322, 2014

      9 박슬기, "한국 근대시의 새로운 리듬론, 리듬 음성중심주의를 넘어서 — 주요한의 「불노리」에서의 내면과 언어의 관계" 한국시학회 (36) : 9-33, 2013

      10 최현식, "한국 근대시와 리듬의 문제" 한국학연구소 (30) : 387-418, 2013

      11 김성문, "프로조디(prosodie) 분석을 통한 시조의 가락 고찰 試論 - 尹善道의 <五友歌>를 대상으로 -" 한국시조학회 (43) : 41-66, 2015

      12 김성문, "프로조디 분석을 통한 기녀 시조의 가락 고찰" 국제어문학회 (87) : 31-51, 2020

      13 장철환, "정지용 시의 리듬 연구 — 음가의 반복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6) : 61-96, 2013

      14 권혁웅, "정지용 시의 리듬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9) : 231-254, 2014

      15 권혁웅, "이육사 시의 리듬 연구" 한국시학회 (39) : 89-110, 2014

      16 장철환, "이상 시의 리듬 연구" 한국학연구소 (41) : 133-174, 2016

      17 조재룡, "의미의 자리" 민음사 2018

      18 박슬기, "율격론의 지평을 넘어선 새로운 리듬론을 위하여: 장철환,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소명출판, 2011" 민족문학사연구소 (48) : 371-380, 2012

      19 루시 부라사, "앙리 메쇼닉: 리듬의 시학을 위하여" 인간사랑 2007

      20 앙리 메쇼닉, "시학을 위하여 1" 새물결 2004

      21 장석원, "백석 시의 통사와 리듬" 한국학연구소 (51) : 339-360, 2018

      22 장석원, "백석 시의 템포와 프로조디" 한국근대문학회 (24) : 455-483, 2011

      23 변승구, "무인시조의 실체와 정서 표출 양상" 인문과학연구소 55 (55): 193-221, 2016

      24 조재룡, "메쇼닉(H. Meschonnic)에 있어서 ‘리듬’의 개념ㅡ 『리듬비평Critique du rythme』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54) : 630-661, 2003

      25 조재룡, "리듬은 ‘그’ 리듬이 아니다" 한국문연 1 : 17-26, 2009

      26 조재룡, "리듬과 의미 — 프랑스어 리듬의 전제 조건에 비추어본 한국어 리듬의 문제들" 한국시학회 (36) : 97-142, 2013

      27 장철환, "김억 시의 리듬 연구 ‒ ‘음절률’과 ‘호흡률’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0) : 257-288, 2011

      28 장석원, "김수영 시의 통사와 리듬" 국제어문학회 (77) : 281-302, 2018

      29 권혁웅, "김소월 시의 리듬 연구 ― 소리–뜻(프로조디)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7) : 161-179, 2013

      30 장철환, "김기림 시의 리듬 분석 -문명의 ‘속도’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2) : 371-412, 2010

      31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32 김성문, "時調의 形式美 考察 -構造와 律格을 中心으로-" 한국시조학회 (39) : 73-97, 2013

      33 조재룡, "文의 學 : 디스쿠르의 시학 - 문학과 언어의 불가분성에 관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78) : 213-262, 2009

      34 장석원, "‘프로조디, 템포, 억양’을 통한 새로운 리듬 논의의 확대 -김수영의「사랑의 변주곡(變奏曲)」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2) : 231-25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