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의류학 연구-한국의류학회지와 CTRJ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Clothing and Textile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nd CTRJ-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42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of subject-matter emphasis in CTRJ and Journal of the Korean<br/>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ere included clothing and textiles relat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professio...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of subject-matter emphasis in CTRJ and Journal of the Korean<br/>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data were included clothing and textiles relat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professional journals from 1977 to 2003. The identified 2106 articl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subject-matter emphasis were categorized in six areas: textile. clothing construction. design and aesthetics. history of custom. social?<br/>
      psychology of clothing and fashion merchandising.<b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r/>
      1. Since 1977.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as well as in QUality and Quantity. 2. The number of each area research was ranked follows:<br/>
      1)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541) 2) textile(504) 3) fashion merchandising(337) 4) clothing construction(314)<br/>
      5) design and aesthetics(236) 6) history of custom( 103) and others(71).<br/>
      3. In the area of fashion merchandising, there has been continuous increase in number of research from the late 19805. 4. The most outstanding fact of fashion merchandising is the number of increased researches which are about<br/>
      customers way of decision and actual buying patterns(95. 28.2%).<b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결과 및 분석
      • Ⅳ. 결론 및 제언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Ⅲ. 연구결과 및 분석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및 인용된 참고문헌 분석" 18 (18): 692-703, 1994

      2 "한국의류학의 연구경향분석" 8 (8): 853-863, 2000

      3 "한국의류학 연구의 현황과 재조명" 15 (15): 28-37, 1991

      4 "한국 가정학의 미래발전을 위한 검토" 22 (22): 181-196, 1984

      5 "Textiles and Clothing in Higher Education p.30. In kaiser Critical Linkages in textile and clothing subject mat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11991

      6 "Journal of Home Economics" 35-39, 1975

      7 "Changing focus of textiles and clothing within home economics An analysis of two professional journals" 1983 15-1984 18,

      8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07-213, 1983

      9 "90년대(1990-1998)한국 의류학 연구의 현황-한국의류학회지와 한국복식학회지를 중심으로" (46) : 133-142, 1999

      1 "한국의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및 인용된 참고문헌 분석" 18 (18): 692-703, 1994

      2 "한국의류학의 연구경향분석" 8 (8): 853-863, 2000

      3 "한국의류학 연구의 현황과 재조명" 15 (15): 28-37, 1991

      4 "한국 가정학의 미래발전을 위한 검토" 22 (22): 181-196, 1984

      5 "Textiles and Clothing in Higher Education p.30. In kaiser Critical Linkages in textile and clothing subject mat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11991

      6 "Journal of Home Economics" 35-39, 1975

      7 "Changing focus of textiles and clothing within home economics An analysis of two professional journals" 1983 15-1984 18,

      8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07-213, 1983

      9 "90년대(1990-1998)한국 의류학 연구의 현황-한국의류학회지와 한국복식학회지를 중심으로" (46) : 133-14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4-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 0.67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