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여름철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 및 어메니티 관리 연구 = A Study on the Thermal Comfort and Amenity Managemen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in Summ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악환경의 기상 특징과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파악하고 열쾌적성이 높은 활동 시간 정보, 활동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분석을 위해 여름철 도심 기온, 국립공원 방재기상관측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 탐방로인 숲길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계룡산 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 4개 구간의 미기후 요소와 수관울폐도 측정을 위해 총 240개 지점을 조사 후 열쾌적성을 파악 하였다. 도심과 국립공원AWS, 탐방로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을 때, 도심, 갑사AWS, 동학사AWS, 갑사 탐방로, 동학사 탐방로 순으로 평균 기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탐방객이 직접 체감하는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 탐방로 4개 구간 조사 결과, 평균 수관울폐도는 동학사~남매탑 구간, 동학사~관음봉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순으로 높았다. PMV(예상평균온열감)는 활동량이 2.8MET 일 때,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동학사~남매탑, 동학사~관음봉구간 순으로 높았다. 조사를 통하여, 열쾌적성이 높은 시간 정보,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특성을 파악하여, 탐방로의 어메니티를 높일 수 있는 숲길 관리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산악환경의 기상 특징과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파악하고 열쾌적성이 높은 활동 시간 정보, 활동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탐방로의 열...

      본 연구는 산악환경의 기상 특징과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파악하고 열쾌적성이 높은 활동 시간 정보, 활동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분석을 위해 여름철 도심 기온, 국립공원 방재기상관측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 탐방로인 숲길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계룡산 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 4개 구간의 미기후 요소와 수관울폐도 측정을 위해 총 240개 지점을 조사 후 열쾌적성을 파악 하였다. 도심과 국립공원AWS, 탐방로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을 때, 도심, 갑사AWS, 동학사AWS, 갑사 탐방로, 동학사 탐방로 순으로 평균 기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탐방객이 직접 체감하는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 탐방로 4개 구간 조사 결과, 평균 수관울폐도는 동학사~남매탑 구간, 동학사~관음봉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순으로 높았다. PMV(예상평균온열감)는 활동량이 2.8MET 일 때,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동학사~남매탑, 동학사~관음봉구간 순으로 높았다. 조사를 통하여, 열쾌적성이 높은 시간 정보,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특성을 파악하여, 탐방로의 어메니티를 높일 수 있는 숲길 관리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environment and the thermal comfor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ivity time, activity space, and activity amount. For the analysis of the thermal comfort of the trail, th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in summ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National Park Disaster Prevention Weather System (AWS), and the trail. Also, Microclimate elements and canopy closure were also measured in four major trail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After investigating a total of 240 points, thermal comfort was identified. When compar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National Park AWS, and trail,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city center, Gabsa AWS, Donghaksa AWS, Gabsa Trail, and Donghaksa Trail. As a result, it means that the thermal pleasure experienced by visitor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a survey of four major trails, the average canopy closure is Donghaksa~nammaetop route was high in the order of Donghaksa~Gwaneumbong route, Gabsa~Yeoncheonbong route and Gabsa~Geumjandigogae route. When PMV(Predicted Mean Vote) is 2.8MET, The PMV was highter in the order of Gabsa~Geumjandigogae route, Gabsa~ Yeoncheonbong route, Donghaksa~nammaetop route, Donghaksa~Gwaneumbong route. Through the survey, time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with high thermal comfort could be presented. By grasping the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we inte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orest trail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amenity of the trail.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environment and the thermal comfor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ivity time, activity space, and activity amount. For the analys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environment and the thermal comfor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ivity time, activity space, and activity amount. For the analysis of the thermal comfort of the trail, th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in summ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National Park Disaster Prevention Weather System (AWS), and the trail. Also, Microclimate elements and canopy closure were also measured in four major trail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After investigating a total of 240 points, thermal comfort was identified. When compar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National Park AWS, and trail,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city center, Gabsa AWS, Donghaksa AWS, Gabsa Trail, and Donghaksa Trail. As a result, it means that the thermal pleasure experienced by visitor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a survey of four major trails, the average canopy closure is Donghaksa~nammaetop route was high in the order of Donghaksa~Gwaneumbong route, Gabsa~Yeoncheonbong route and Gabsa~Geumjandigogae route. When PMV(Predicted Mean Vote) is 2.8MET, The PMV was highter in the order of Gabsa~Geumjandigogae route, Gabsa~ Yeoncheonbong route, Donghaksa~nammaetop route, Donghaksa~Gwaneumbong route. Through the survey, time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with high thermal comfort could be presented. By grasping the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we inte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orest trail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amenity of the tra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사사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사사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