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활용한 정량 분석의 유용성 = Usefulnes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using the functional parameter index from dynamic salivary glands scinti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03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타액선 신티그라피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지표...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타액선 신티그라피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지표를 측정하고 구강건조증 환자 그룹과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내원하여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 그룹 30명과 건강한 Control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방법은 370 MBq의 $^{99m}Tc$-과산화테크네슘을 정맥으로 순간 주사 후 약 30분간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연속 촬영하였으며, 주사 후 20분째에 최타 자극제로 비타민C 파우더를 이용하였다. 정량분석은 이하선과 악하선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통해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하였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인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각각 측정하였다.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간의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 비교에서는 최소 방사능 시간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량도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변화량이 크게 측정 되었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타액선 기능을 평가하는데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patients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by acquiring a variety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from time-activity curves of salivary gland scintigraphy using $^{99m}Tc$. Mat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patients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by acquiring a variety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from time-activity curves of salivary gland scintigraphy using $^{99m}Tc$.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with the targets of 30 patients in the patient group who presented themselves with xerostomia and underwent the salivary gland scan and 10 people in healthy control group, approximately 30 minutes of dynamic Scan was carried out after the intravenous bolus injection of 370 MBq of $^{99m}TcO_4{^-}$ and per os stimulation with Vitamin C powder 2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was as follows, the time-activity curve was drawn after the parotid gland and submandible gland were prescribed as a region of interest, a variety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was obtained in each position of the curve, and the patient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Results As for the methods applied in comparison and measurement, uptake ratio (UR), time at maximum counts (Tmax), time at minimum counts (Tmin), maximum accumulation (MA), accumulation velocity, maximum secretion (MS), 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and secretion velocity (SV) were used. In the comparison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of patient group and normal group, the healthy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tient group in all indices except for the minimum radioactivity time (Tmin), and also in terms of variation over time the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tient group (p<0.05). Conclusion Consequen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that used a variety of functional parameters index would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salivary glands of the patients with xerostomia as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inform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