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하 전시 경성공립공업학교의 설립과 운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6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education in the era of wartime colonial Korea by analyzing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京城公立工業學校), the largest technical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e technical educati...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education in the era of wartime colonial Korea by analyzing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京城公立工業學校), the largest technical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e technical education of colonial Korea had not been formed until 1930s. After the Sino-Japanese War, seven technical institutions of the secondary level were cursorily established in colonial Korea. This rapid and hasty beginning of technical education was attributed to the sharply rising demand for technical professionals in the munitions industry. At this time, colonial Korea lagged behind colonial Taiwan by a decade in training technical professionals.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established in 1899, had been in stagnant for a long time. However, by the need for technical education, Government-General started to reform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and construct new buildings in Yeongdeungpo- Gu linked with the Kyungsung-Incheon industrial district, one of the representative industrial areas gathering the small and medium-sized machine industry in Korea.
      Despite severely ethnic discrimination,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was encouraged to select Korean students by Government-General. Consequentially, the rate of Korean students in the school increased from 30% to 50%, fostered by the urgent need for technical manpower during the wartime.
      Although the curriculum of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was based on that of the general schools, the education in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was actually focusing on practical courses related to a job,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ning engineering. While the training program was at a high level in the initial stage, the program could scarcely function after 1943.
      Because Kyungsung technical public school had tried to select high-quality students from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alumni were extremely proud of having entered the school. After the independence, however, many alumni cannot help but build their careers in the military industry or education field, not in the same field they had learned. Arguably, this means that the continuity of training technical professional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ost-independence Korea would be underm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경성공립공업학교의 설립 경과
      • Ⅲ. 학교운영 실태와 학생현황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경성공립공업학교의 설립 경과
      • Ⅲ. 학교운영 실태와 학생현황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호, "태평양전쟁기 조선공업연구" 신서원 1998

      2 "조선일보"

      3 李元浩, "조선기술교육사" 문음사 1991

      4 "조○문 (1937년생, 광산과 1949년 입학), 2012년 4월 11일 영등포 동창회 사무실에서 면담"

      5 "정○영(1927년생, 건축과 1939년 입학), 2012년 4월 28일 상계동 자택에서 면담"

      6 허수열, "일제하 조선에 있어서 식민지적 공업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7 이병례, "일제하 전시 기술인력 양성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8 정인경, "일제하 경성고등공업학교의 설립과 운영" 16 : 1994

      9 안창모, "일제하 경성고등공업학교와 건축교육" 14 (14): 1998

      10 정재정, "일제침략과 조선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 김인호, "태평양전쟁기 조선공업연구" 신서원 1998

      2 "조선일보"

      3 李元浩, "조선기술교육사" 문음사 1991

      4 "조○문 (1937년생, 광산과 1949년 입학), 2012년 4월 11일 영등포 동창회 사무실에서 면담"

      5 "정○영(1927년생, 건축과 1939년 입학), 2012년 4월 28일 상계동 자택에서 면담"

      6 허수열, "일제하 조선에 있어서 식민지적 공업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7 이병례, "일제하 전시 기술인력 양성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8 정인경, "일제하 경성고등공업학교의 설립과 운영" 16 : 1994

      9 안창모, "일제하 경성고등공업학교와 건축교육" 14 (14): 1998

      10 정재정, "일제침략과 조선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1 김은정, "일제의 한국 석탄산업 침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권영배, "일제말 전시체제하 중등학교의 동원과 저항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40) : 355-389, 2008

      13 손종현, "일제 제3차 조선교육령기하 학교교육의 식민지배관행"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4

      14 "이○회(1930년생, 기계과 1944년 입학), 2012년 7월 7일 춘천시 찻집에서 면담"

      15 "이○수(1930년생, 광산과 1945년 입학), 2012년 6월 2일 종로구 찻집에서 면담"

      16 "원○희(1925년생, 토목과 1939년 입학), 2012년 4월 15일 광명시 자택에서 면담"

      17 방기중, "식민지파시즘의 유산과 극복의 과제" 혜안 2006

      18 박순원, "식민지 공업성장과 조선 노동계급의 등장, In 조선의 식민지근대성" 삼인 2006

      19 서울공업고등학교동창회, "서울공고백년사" 1999

      20 서울공업고등학교동창회, "서울공고90사" 1989

      21 "매일신보"

      22 "동아일보"

      23 "곽○현(1932년생, 기계과 1945년 입학), 2012년 5월 29일 여의도 찻집에서 면담"

      24 "경성일보"

      25 "강○성(1927년생, 토목과 1943년 입학), 2012년 5월 3일 홍은동 자택에서 면담"

      26 京畿道, "道立工業學校新設計劃"

      27 臺灣總督府 文敎局, "臺灣の學校敎育"

      28 科學動員協會, "科學技術年鑑" 1942

      29 國立臺北科技大學, "百年風華, 北科校史" 2008

      30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諸學校一覽" 1941

      31 京畿道, "昭和9年度 第一部特別經濟各府關係書類"

      32 京畿道, "昭和13年度 道に關する綴"

      33 權田保之, "日本敎育統計" 巖松堂書店 1938

      34 金根培, "日帝時期 朝鮮人 과학기술인력의 성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5 金秉觀, "日帝下 朝鮮人技術者의 形成過程과 存在樣態"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6

      36 배성준, "日帝下 京城地域 工業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7 朝鮮總督府學務局, "1943 現行朝鮮敎育法規"

      38 臺中州立臺中工業學校, "1939∼1942 臺中州立臺中工業學校一覽"

      39 臺北州立臺北工業學校, "1938∼1943 臺北州立臺北工業學校一覽" 1926

      40 朝鮮電氣協會, "1938∼1942 朝鮮電氣雜誌"

      41 京城府, "1938∼1942 京城彙報"

      42 朝鮮鑛業協會, "1937∼1940 鑛業朝鮮"

      43 朝鮮總督府, "1935∼1945 官報"

      44 朝鮮工業協會, "1931∼1941 朝鮮工業協會報"

      45 朝鮮敎育會, "1931~1941 文敎の朝鮮"

      46 朴基炷, "1930년대 朝鮮山金政策에 관한 연구" 12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