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데올로기적 재생산 기제 비판 = Critical analysis on the ideological reprod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3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culture to which it belongs. Owing to the tradition of ‘jus sanguinis,’ the right of blood, Korean culture has reproduced its own identity through the lens of ‘purity of blood.’ It ...

      Multicultural education has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culture to which it belongs. Owing to the tradition of ‘jus sanguinis,’ the right of blood, Korean culture has reproduced its own identity through the lens of ‘purity of blood.’ It helps to create ‘we-ness’, which could inspire extraordinary self-sacrifice among Koreans for achieving common national goals.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regarded as a conceptual invasion weakening the power of we-ness by blurring the boundaries of ‘we.’ Howeve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proliferated in the last few years through pan-governmental political investmen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an overarching concept that holds the potential of changing the stereotype of ‘pure Koreaness.’This study examines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interview and literature analysis.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statements, and curricula reveals the ways in which the potent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a limited mean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For example, our analysis of multicultural policies shows that the term ‘multiculture family’ is used as a dismissive term for ‘family of immigra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coded ethnic discourse have reduced immigrants as objects without desire. At the same time, Korea’s longing toward ‘advanced nation’ status provides paradoxical impetus for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hind the rapid success of Korea’s multiculturalism, one finds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excessive zeal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democratic desire, and a drive for educational equ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교육은 그 지시태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국가별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우리나라와 같이 ‘단일혈통’을 국가정체성으로 삼아온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급속한 성장과 확산은 그 자...

      다문화교육은 그 지시태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국가별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우리나라와 같이 ‘단일혈통’을 국가정체성으로 삼아온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급속한 성장과 확산은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의 정책 및 현황관련 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이 타자화를 수용하는 적극적 교육개혁운동으로서의 본질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외국이주민들의 적응과 통합을 위한 복지지원정책으로 수용하게끔 하는 일종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교육적 본질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왜곡되는 과정을 다문화교육의 주형틀, 문화정서적 특성, 행위자의 동인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념적 주형틀은 제도-정책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제시되어왔으며, 그 내용상 다문화라는 개념이 ‘결혼이주여성이나 외국인노동자라는 대상’을 가리키는 배타적 용어로 축소되어 이후 논의의 경계를 축소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은 우리민족의 정서적 특징인 순수혈통주의와 결합, ‘욕구없는 존재’로서의 대상화 과정을 통해 소외된 방식의 ‘타자성에 기초한 교육’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다문화교육의 확장의 기반에는 역설적이게도 다문화주의와 상반된 ‘선진국화’에 대한 지향이 자리잡고 있다.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본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런 이데올로기적 왜곡의 각 지점들에서 시작되는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arrain, J., "현대사회이론과 이데올로기" 한울 1984

      2 Kymlicka, W., "현대 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6

      3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민족화와 다문화열풍의 위기" 7 : 192-208, 2009

      4 김이선,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5 장태한, "한국대학생의 인종 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14 : 99-113, 2001

      6 김지현,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대한철학회 106 : 29-52, 2008

      7 이재분, "학교에서의 다문화가족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9

      8 이찬석, "탈식민지론과 아시아 신학- 피에리스와 호미바바를 중심으로-" 한국신학연구소 141 (141): 79-112, 2008

      9 권오현, "초중등교사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박상준, "초등학생의 인권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 인권판단력의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3 (3): 39-58, 2010

      1 Larrain, J., "현대사회이론과 이데올로기" 한울 1984

      2 Kymlicka, W., "현대 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6

      3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민족화와 다문화열풍의 위기" 7 : 192-208, 2009

      4 김이선,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5 장태한, "한국대학생의 인종 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14 : 99-113, 2001

      6 김지현,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대한철학회 106 : 29-52, 2008

      7 이재분, "학교에서의 다문화가족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9

      8 이찬석, "탈식민지론과 아시아 신학- 피에리스와 호미바바를 중심으로-" 한국신학연구소 141 (141): 79-112, 2008

      9 권오현, "초중등교사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박상준, "초등학생의 인권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 인권판단력의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3 (3): 39-58, 2010

      11 이기상, "지구 살림살이를 위한 녹색성장-녹색성장의 생명학적 토대 구축 시도" 한국환경철학회 (11) : 1-38, 2011

      12 황재기, "중학교 사회 1" 교학사 2002

      13 김덕영, "주체, 의미, 문화" 나남출판 2001

      14 Walzer, M., "정의와 다원적 평등" 철학과 현실사 1999

      15 박성혁,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 추진현황, 과제 및 성과분석연구" 서울대 교육종합연구원 72 : 19-60, 2008

      16 설동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출신국가와 거주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09-134, 2008

      17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여성결혼이민자 정보화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 2005

      18 김남국, "심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 39 (39): 87-108, 2005

      19 조상식,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의 한계" 한국교육철학학회 44 (44): 139-155, 2009

      20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8

      21 나병철,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22 김한종,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8 (8): 229-261, 2008

      23 이상길, "다문화주의와 미디어/문화연구: 국내 연구동향의 검토와 새로운 전망의 모색" 한국언론학회 51 (51): 58-83, 2007

      24 황정미, "다문화시민 없는 다문화교육 - 한국의 다문화교육 아젠다에 대한 고찰 -" 한국사회역사학회 13 (13): 93-123, 2010

      25 법무부, "다문화사회기반구축을 위한 사회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2007

      26 설동훈, "다문화교육의 방향" (196) : 4-7, 2009

      27 김상돈,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8 조용환,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1-29, 2011

      29 오은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방안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30 김명정,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31 전재영,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35): 29-54, 2011

      32 최병두, "다문화공간과 지구-지방적 윤리: 초국적 자본주의의 문화공간에서 인정투쟁의 공간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635-654, 2009

      33 이재분,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합적 교육지원방안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0

      34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자녀 교육지원대책" 2006

      35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또하나의문화 2005

      36 설동훈, "국민 민족 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동북아 다문화시대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2006

      37 Bourdieu, P., "구별짓기" 새물결 2005

      38 김이선,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7

      39 정보화진흥원, "결혼이민자 정보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2005

      40 Maturana, H.R., "The tree of knowledge: The biological roots of human understanding. 2nd Edition" Shambhala 1998

      41 Taylor, C.,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n Multicultur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42 Geertz, C.,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1973

      43 Adams, M., "Teaching for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Routledge 2007

      44 Tatum, B., "Talking about race, learning about racism: the application of racial identity development theory in the classroom" 62 : 1-24, 1992

      45 Kaufmann, J., "Reading counter-hegemonic practices through a postmodern lens" 19 (19): 430-447, 2000

      46 Grant. L, "Race and schooling of young girls, In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Falmer Press 1993

      47 Benedict, R., "Patterns of culture" Houghton Mifflin 1934

      48 Mohanty, C., "On race and voice, In Between borders" Routledge 1994

      49 Kelly, P., "Multiculturalism reconsidered : Culture and equality and its critics" polity press 2002

      50 Wallace, M., "Multiculturalism and oppositionality, In Between borders" Routledge 1994

      51 Sleeter, C., "Multicultural education, critical pedagog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52 Kymlicka, W.,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Oxford Political Theory" Clarendon Press 1995

      53 Soysal, Y., "Limits of citizenship : Migrants and postnational membership in Europ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54 Young, I. M., "Justice &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55 Cashmore, E, "Introduction to race relations" Routledge 1990

      56 Green, T., "Education and pluralism : Ideal and reality" Syracuse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1966

      57 Nieto, S., "Affirming diversity :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Routledge 1992

      58 Mezirow, J., "A critical theory of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In Selected writings on philosophy and adult education" Robert Krieger 1984

      59 행정안전부,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조사 결과" 2009

      60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계획" 2009

      61 교육인적자원부, "2007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개정자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