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3~4학년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 Oral Reading Fluency in School-aged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or Language Disorders: An Error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창한 읽기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것을 넘어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인지적 처리 과정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 3, 4학년 일반아동, 읽기장애위험군아동, 언어장애위험군아동의 세 집단이 보이는 읽기유창성 특성과 오류를 속도 및 정확도 측면에서뿐 아니라 형태구문, 의미, 음운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총 44명의 아동에게 문단읽기유창성 과제를 실시하였고 언어영역별로 첨가, 대치, 생략, 반복, 자기수정의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은 일반아동과 유의하게 다른 읽기유창성 속도 및 정확도를 보였고, 문법형태소의 대치, 단어의 반복, 음절 및 음운의 첨가에서도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읽기장애위험군 아동은 음절 및 음운을 생략하는 오류를, 언어장애위험군 아동은 문법형태소를 첨가하는 오류를 유의하게 더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 집단의 인지언어적 특성을 반영하며, 읽기유창성 평가 및 지도 시 장애에 따른 차별적인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유창한 읽기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것을 넘어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인지적 처리 과정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 3, 4학년 일반아동, 읽기장애위...

      유창한 읽기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것을 넘어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인지적 처리 과정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 3, 4학년 일반아동, 읽기장애위험군아동, 언어장애위험군아동의 세 집단이 보이는 읽기유창성 특성과 오류를 속도 및 정확도 측면에서뿐 아니라 형태구문, 의미, 음운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총 44명의 아동에게 문단읽기유창성 과제를 실시하였고 언어영역별로 첨가, 대치, 생략, 반복, 자기수정의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은 일반아동과 유의하게 다른 읽기유창성 속도 및 정확도를 보였고, 문법형태소의 대치, 단어의 반복, 음절 및 음운의 첨가에서도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읽기장애위험군 아동은 음절 및 음운을 생략하는 오류를, 언어장애위험군 아동은 문법형태소를 첨가하는 오류를 유의하게 더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 집단의 인지언어적 특성을 반영하며, 읽기유창성 평가 및 지도 시 장애에 따른 차별적인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애화 ; 박성희 ; 김주현,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연구: 읽기유창성 발달 패턴 및 오류 유형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43-55, 2010

      2 김애화 ; 박성희,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읽기 유창성 특성 및 오류 유형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23-344, 2010

      3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조사 오류 수정"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69-86, 2010

      4 김가은 ; 정부자, "초등학교 1-2학년 읽기부진아동의 연결어미 형태인식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6 (26): 77-88, 2017

      5 김미배 ; 배소영,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565-581, 2012

      6 한효정 ; 김미배,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간의 상관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347-359, 2018

      7 채시화 ; 김미배,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의미/음운 오류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387-401, 2019

      8 우정한 ; 김상선,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97-218, 2012

      9 우정한,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 특성 비교 및 읽기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91-312, 2012

      10 정부자 ; 김영태 ; 윤효진, "읽기이해검사의 형식에 따른 관련 요인 탐색: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66-75, 2017

      1 김애화 ; 박성희 ; 김주현, "초등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연구: 읽기유창성 발달 패턴 및 오류 유형 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43-55, 2010

      2 김애화 ; 박성희,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읽기 유창성 특성 및 오류 유형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23-344, 2010

      3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조사 오류 수정"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69-86, 2010

      4 김가은 ; 정부자, "초등학교 1-2학년 읽기부진아동의 연결어미 형태인식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6 (26): 77-88, 2017

      5 김미배 ; 배소영, "초등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565-581, 2012

      6 한효정 ; 김미배,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간의 상관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347-359, 2018

      7 채시화 ; 김미배,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의미/음운 오류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387-401, 2019

      8 우정한 ; 김상선,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97-218, 2012

      9 우정한,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 특성 비교 및 읽기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91-312, 2012

      10 정부자 ; 김영태 ; 윤효진, "읽기이해검사의 형식에 따른 관련 요인 탐색: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66-75, 2017

      11 김동일 ; 김희주, "읽기부진 및 난독증 위험 학생 대상 난독증 전문치료프로그램 사례 및 경험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09-133, 2019

      12 박송이 ; 정경희, "음독과 묵독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발달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3 (23): 947-958, 2018

      13 LaBerge, D., "Toward a theory of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 in reading" 6 (6): 293-323, 1974

      14 Hoover, W.,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90, 1990

      15 Clemens, N. H., "The prevalence of reading fluency and vocabulary difficulties among adolescents struggling with reading comprehension" 35 (35): 785-798, 2017

      16 Farmer, M. E., "The evidence for a temporal processing deficit linked to dyslexia : A review" 2 : 460-493, 1995

      17 Stevens, E. A.,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o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A synthesis of the research from 2001 to 2014" 50 (50): 576-590, 2017

      18 Hudson, R. F., "The complex nature of reading fluency : A multidimensional view" 25 : 4-32, 2009

      19 Burns, M. K., "The Fluency Construct" Springer 123-140, 2016

      20 National Reading Panel,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Read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 Nation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2000

      21 Chall, J., "Stage of reading development" McGraw Hill 1983

      22 Kim, Y. S., "Relation among oral reading fluency, silent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 A latent variable study of first-grade readers" 15 : 338-362, 2011

      23 Kim, Y. 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24 Frith, U., "Reading for meaning and reading for sound in autistic and dyslexic children" 1 : 329-342, 1983

      25 Wolf, M., "Reading fluency and its intervention" 5 : 211-239, 2001

      26 Katzir, T., "Reading fluency : The whole is more than the parts" 56 (56): 51-82, 2006

      27 Goodman, Y. M., "Reading Miscue Inventory" Richard C. Owen Publishers 2005

      28 Adlof, S. M., "Promoting reading achieve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What can we learn from research o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dyslexia?" 63 (63): 3277-3292, 2020

      29 Leonard, L. B., "Production Operations and the Use of Nonfinite Verbs by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45 (45): 744-758, 2002

      30 Ehri, L., "Phase of development in learning to read words by sight" 18 (18): 116-125, 1995

      31 Fuchs, L. S., "Oral reading fluency as an indicator of reading competence : A theoretical, empirical, and historical analysis" 5 : 239-259, 2001

      32 Coulter, G., "Oral reading fluency : Accuracy of assessing errors and classification of readers using a 1-min. timed reading sample" 54 (54): 71-76, 2009

      33 Gillam, R., "Oral reading and story retelling of student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28 : 30-42, 1997

      34 Laing, S. P., "Miscue analysis in school-age children" 11 : 407-416, 2002

      35 Park, H., "Korean version of 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second edition(K-CTONI-2)" Mindpress 2014

      36 Pae, S., "Korean 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Hakjisa 2015

      37 Adlof, A. M.,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language impairment or dyslexia with group=administered measures" 60 : 3507-3522, 2017

      38 Hendricks, A. E.,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using a brief, whole-classroom screen" 62 (62): 896-908, 2018

      39 Stayter, F., "Fluency and the understanding of texts" 30 (30): 14-148, 1991

      40 Gough, P.,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7 (7): 6-10, 1986

      41 Perfetti, C. A., "Cognitive research can inform reading education" 18 (18): 106-115, 1995

      42 Kim, H., "Characteristics of spelling of students with comorbidities of reading/writing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slow learners, learning disabilities" Seoul University 2021

      43 Kim, D.,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BASA): Reading" Hakjisa 2000

      44 Kim, Y. T., "Assessment and Treatment of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Hakjisa 2014

      45 Tompson, G. B., "Are nonword and other phonological deficits indicative of a failed reading process" 12 : 63-97, 2000

      46 Rice, M. L., "Advances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Research and Intervention:An Overview of Five Research Symposium Papers" 63 (63): 3219-3223, 2020

      47 Kucer, S. B., "Accuracy, miscues, and the comprehension of complex literacy and scientific texts" 37 : 1076-1095, 2016

      48 Jenkins, J. R., "Accuracy and fluency in list and context reading of skilled and RD groups : Absolute and relative performance levels" 18 : 237-245, 2003

      49 Park, H. S., "A study of informal assessment through error analyses in reading disabilities" 3 (3): 20-39, 1999

      50 Speece, D. L.,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oral reading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failure" 38 (38): 387-399, 2005

      51 Lovett, M. W., "A developmental approach to reading diability: Accuracy and speech criteria of normal and delicient reading skill" 58 : 234-260,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