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주도의 원스톱 문화 체제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8075
2022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363-397(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주도의 원스톱 문화 체제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이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주도의 원스톱 문화 체제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연수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가진 유관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FGI를 사용한 절차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들은 평소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전공과, 대학, 장애인복지관에서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을 담당해 오면서 평생교육의 관점이나 고용 서비스의 수준과의 연계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제한점에 대해 문제 인식을 형성해 온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내용은 외부 유관 전문가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원스톱 문화 체제의 발달장애인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 운영에 대해 요구하는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조직적 차원, 교육과정 차원, 전문인력의 자격 차원의 총 세 가지 범주에서 최종 분석되었다. 조직적 차원에서는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 고용서비스 성과와 연계된 직업훈련 업무 효율화, 동등한 존중과 배려로 결성된 협의체 구성이 요구되었다.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평생교육 교육과정의 중점 영역 및 수준 확립, 평생교육 및 고용서비스 간 순환 모델 운영, 개별화 원스톱 재활 및 고용 계획 로드맵 구성이 요구되었다. 전문인력 자격의 차원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 전문가 연수기관으로의 지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으로의 융합, 유관기관별 전문가 자격 간 교류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다른 유관기관들이 상호 협력하여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에 대한 공동 성과를 달성해 나갈 수 있는 방향성이 제고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중심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원스톱 문화 체제와 리더십은 상생과 협력 차원에서 고도화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으로 역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진 ; 문상호, "한국 장애인 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 위계선형모형(HLM)을 적용한 횡단면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1-32, 2016
2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6, 2015
3 이지연 ; 김재희,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진로교육 발전 방안 -OECD 진로지도 서비스 정책 권고사항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6 (26): 29-60, 2020
4 김영준 ; 정연수, "특수교육, 재활, 평생교육 간 실천적 통합 모델화 : 장애인 평생교육사의 양성 방향성 정립"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87-111, 2018
5 서덕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교육 양상의 다양성과 그 의미" 한국교육사회학회 32 (32): 99-141, 2022
6 민자영 ; 김영표, "직업체험 인턴쉽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적응행동 및 직업준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36 (36): 99-122, 2020
7 김원호,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에 대한 의미와 지원방안 탐색: 특수교사와 교과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41-170, 2020
8 김영준 ; 박재국, "지적장애자녀의 학교 졸업 이후 성인기 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29-255, 2014
9 김영준 ; 김진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9-54, 2011
10 김진호 ; 김영준 ; 차재경,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1 임동진 ; 문상호, "한국 장애인 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 위계선형모형(HLM)을 적용한 횡단면 분석 -" 한국정책학회 25 (25): 1-32, 2016
2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37-166, 2015
3 이지연 ; 김재희,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진로교육 발전 방안 -OECD 진로지도 서비스 정책 권고사항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6 (26): 29-60, 2020
4 김영준 ; 정연수, "특수교육, 재활, 평생교육 간 실천적 통합 모델화 : 장애인 평생교육사의 양성 방향성 정립"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87-111, 2018
5 서덕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교육 양상의 다양성과 그 의미" 한국교육사회학회 32 (32): 99-141, 2022
6 민자영 ; 김영표, "직업체험 인턴쉽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적응행동 및 직업준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36 (36): 99-122, 2020
7 김원호,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에 대한 의미와 지원방안 탐색: 특수교사와 교과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41-170, 2020
8 김영준 ; 박재국, "지적장애자녀의 학교 졸업 이후 성인기 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학부모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29-255, 2014
9 김영준 ; 김진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9-54, 2011
10 김진호 ; 김영준 ; 차재경,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11 김진호 ; 김영준,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사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19-148, 2010
12 김영준 ; 강경숙,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73-101, 2012
13 김영준 ; 김진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91-516, 2010
14 김진호 ; 김영준, "지역사회 직업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중․고등부 지적장애학생 부모들의 인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47-73, 2009
15 김영준 ; 도명애, "지역사회 사업체 참조 직업훈련이 비고용 발달장애인의 직무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15-237, 2014
16 이효성 ; 김언아 ; 김선규, "중증장애인 직업영역 개발사업 동향분석 - 1994년~2007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47-72, 2008
17 김진호 ; 김영준, "중․고등부 지적장애학생들의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44, 2010
18 김영준 ; 강경숙,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71-101, 2013
19 김주영 ; 강경숙 ; 강옥화, "전공과 정체성 모색을 통한 운영의 방향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3 (33): 107-134, 2017
20 최동선 ; 노선옥 ; 김민영 ; 윤형한 ; 전종호,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유관기관간 협력체제 구축에 관한 델파이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49-71, 2011
21 김영준 ; 김주영, "장애인의 평생교육(직업)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1-359, 2018
22 김영준,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원 조직 및 교육과정체계 구축방안"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3 (13): 89-124, 2017
23 김용욱 ; 우정한 ; 박종화,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교육 중심의 평생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37-256, 2011
24 이곤수, "장애인고용정책의 문화이론적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49-70, 2006
25 이지수, "장애인 평생교육의 쟁점과 현장의 목소리" 한국평생교육학회 25 (25): 55-83, 2019
26 정은주 ; 유수진 ; 문채영, "시각중복발달장애인 진로직업교육 프로그램 평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중복발달장애인 특별과정 중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2 (32): 133-157, 2022
27 김영준 ; 강영심, "스마트폰 어머니 모델링 중재패키지가 지적장애학생의 라면조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89-110, 2013
28 강동선 ; 신진숙, "성인발달장애인 직업중심 평생교육 모델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2, 2015
29 김영준 ; 강경숙, "사회교과 통합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식당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36, 2012
30 김영준, "사업장 부설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운영방안" 교육발전연구소 27 (27): 173-198, 2017
31 김원호 ; 박다원 ; 이주영 ; 박지석, "범부처 장애인 취업지원사업의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역할 및 방향성 탐색: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2 (32): 107-131, 2022
32 김원호 ; 박다원 ; 이주영, "범부처 연계를 통한 장애인 취업지원 전달체계 개편 방안 탐색: 특수교육 대상자 데이터연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17-45, 2021
33 김영준 ; 도명애,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직업교육 측면에서 본 직무기술과 자기관리기술의 통합적 교수 접근에 관한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91-330, 2014
34 김영준 ; 도명애, "발달장애학생의 미래 성인기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학 연구과제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39-68, 2014
35 김원호 ; 박다원, "발달장애인훈련센터의 운영 성과와 개선 방향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55-186, 2020
36 한경근 ; 김원호 ; 주교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의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35-157, 2020
37 김영준 ; 권량희,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한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 요구 분석"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3 (13): 119-163, 2022
38 권인탁 ; 임영희, "미국 평생직업교육체제의 분석과 시사점" 교육종합연구원 10 (10): 251-279, 2012
39 김영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기반의 장애인 직업코디네이터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9-42, 2017
40 김영준 ; 도명애,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계 개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61-100, 2017
41 김영준, "대학교 특수교육과의「장애인 평생교육사 양성」협동과정 개설을 위한 교육과정체계 모색" (사)한국직업자격학회 7 (7): 187-213, 2018
42 김동일 ; 김은삼 ; 이미지 ; 안예지, "국내 장애인 전환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 이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9 (19): 85-115, 2020
43 김영준 ; 김진호 ; 김덕규,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33-159, 2009
44 김영준 ; 김진호,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본 유아특수교육교사와의 협력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75-310, 2009
45 Wehman, P.,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for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25 (25): 30-40, 2014
46 김영준, "The Challenges of University-Based “Special Creative Converg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8 (38): 63-94, 2022
47 김영준, "Qualitative Analysis of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Regional Base University for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Daegu University’s Vision Case"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8 (18): 167-196, 2022
48 O’Brien, J., "Pathfinders :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allies building communities that work better for everybody" Inclusion Press 2015
49 김영준, "Exploring the Plan of Linkages Between Regional Relevant Institutions for a Cycle Model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Majoring Courses, Training Center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Universities (MC-TCIDD-U)"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2 (32): 5-47, 2022
50 Trainor, A. A., "Evaluating rigor in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dissemination" 35 (35): 267-274, 2014
51 Sitlington, P. L., "Assess for success: A practitioner’s handbook on transition assessment" Corwin Press 2007
52 최종철 ; 김동주 ; 류정진, "AHP를 이용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사업우선 순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13-137, 2012
초등 3~4학년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양육자 교육이 유아-양육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 메타분석
뇌졸중 후 우울증 환자의 증상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 질적 예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