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미카와만의 연안 모니터링 부이에서 연속 관측한 수온 및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성층의 시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성층은 뚜렷하고 우세한 1년 주기의 변화 양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8226
2010
Korean
시간적 변동 ; 관측부이 ; 밀도차이 ; 성층 ; 발생빈도 ; 오차범위 ; temporal variation ; monitoring buoy ; density difference ; stratification ; error bound
KCI등재
학술저널
171-180(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미카와만의 연안 모니터링 부이에서 연속 관측한 수온 및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성층의 시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성층은 뚜렷하고 우세한 1년 주기의 변화 양상...
일본 미카와만의 연안 모니터링 부이에서 연속 관측한 수온 및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성층의 시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성층은 뚜렷하고 우세한 1년 주기의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표층과 저층의 밀도차이로 정의되는 성층강도는 강도가 증가할수록 발생빈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성층강도의 발생빈도 분포는 정규분포 형태와는 다른 대수 정규분포 또는 지수분포 형태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온과 염분의 분산도 분석결과, 저층은 직선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표층은 곡선 또는 고리(loop) 형태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성층강도 추정오차를 분석한 결과, 월 4회 관측빈도의 자료를 이용한 오차범위는 본 연구에서와 같이 관측부이의 1일 연속자료를 이용한 오차범위보다 4.4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alysis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stratific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tinuou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observed in the coastal monitoring buoy in Mikawa Bay, Japa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ratificat...
Analysis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stratific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tinuou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observed in the coastal monitoring buoy in Mikawa Bay, Japa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ratification pattern have an obvious and dominant 1-year period variation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days) are exponentially decreased as the stratification intensity (SI) defined as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s linearly increas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SI is presumably close to the log-normal function type or exponential function type. From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catter diagram analysis, the line and loop type patterns are shown in the bottom and surface laye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I estimation show that the error bound in case of using the weekly-monitoring data is about 4.45 times greater than that in case of using the continuous (daily) monitoring dat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일, "한국 서해에서 수온 및 염분에 미치는 기상 인자의 영향" 해양환경안전학회 13 (13): 29-37, 2007
2 이충일(Chung Il Lee), "한국 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 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 13 (13): 119-125, 2007
3 조흥연, "진해·마산만의 성층화 및 DO 농도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4 (14): 295-307, 2002
4 日本 土交通省,象, "조위관측정보 및 조석관측자료"
5 김종규, "실시간 수온 모니터링 및 위성영상에 의한 광양만 표층수온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27-232, 2005
6 조홍연, "시화호.인천연안 환경자료의 오차범위 분석" 한국해양연구원 30 (30): 149-158, 2008
7 김태인,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28 (28): 339-352, 2006
8 Fujiwara,T, "The Role of Circ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oxia in Ise Bay,Japan,Estuarine" 54 : 19-31, 2002
9 Agresti,A, "Statistics,The Art and Science of Learning from Data,Appendix A" Pearson & Prentice-Hall 2007
10 Cloern,J.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outh San Francisco Bay(USA).II.Temporal Changes in Salinity,Suspended Sediments,an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over Tidal Time Scales,Estuarine" 28 : 599-613, 1989
1 이충일, "한국 서해에서 수온 및 염분에 미치는 기상 인자의 영향" 해양환경안전학회 13 (13): 29-37, 2007
2 이충일(Chung Il Lee), "한국 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 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 13 (13): 119-125, 2007
3 조흥연, "진해·마산만의 성층화 및 DO 농도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4 (14): 295-307, 2002
4 日本 土交通省,象, "조위관측정보 및 조석관측자료"
5 김종규, "실시간 수온 모니터링 및 위성영상에 의한 광양만 표층수온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27-232, 2005
6 조홍연, "시화호.인천연안 환경자료의 오차범위 분석" 한국해양연구원 30 (30): 149-158, 2008
7 김태인,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한국해양연구원 28 (28): 339-352, 2006
8 Fujiwara,T, "The Role of Circ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oxia in Ise Bay,Japan,Estuarine" 54 : 19-31, 2002
9 Agresti,A, "Statistics,The Art and Science of Learning from Data,Appendix A" Pearson & Prentice-Hall 2007
10 Cloern,J.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outh San Francisco Bay(USA).II.Temporal Changes in Salinity,Suspended Sediments,an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over Tidal Time Scales,Estuarine" 28 : 599-613, 1989
11 Powell,T.M,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outh San Francisco Bay(USA).I.Horizontal Distributions of Salinity,Suspended Sediments,an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Estuarine" 28 : 583-597, 1989
12 Williams,J, "Introduction to Marine Pollution Control,Chapter 1" John Wiley & Sons 1979
13 Emery,W.J, "Data Analysis Methods in Physical Oceanography,Second and Revised Edition,Chapter 1" Elsevier 2004
14 Lalli,C.M, "Biological Oceanography,An Introduction,Chapter 2,Second Edition" Butterworth-Heinemann 1997
15 UNESCO, "Algorithms for computation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seawater" UNESCO 1983
16 이용화, "2006년 하계 경북 연안의 수온변화와 우렁쉥이 폐사" 해양환경안전학회 13 (13): 15-19, 2007
경사식 방파제의 비용 최적화에 기초한 부분안전계수 및 목표파괴확률 산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7 | 0.608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