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말민국기 호남 장사부의 농업 생산과 상품 유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goods at Hunan Changshafu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and the Republic.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farming society of Hunan Changshafu during that period had changed.
      In terms of rice production, rice market did not lose its vigor due to the increased import of rice. Farming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weather and there must be up and down in the production of rice. It was found that until 1930, the population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 and the Republic had increased by 4 millions and Changshafu played as an important place for rice export. The area of rice farming extended to Liling, Youxian, Liuyang, and Chaling.
      The farming of minor grains extended i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They grew corns and sweet potatoes, in particular. Farming minor grains like corns and sweet potatoes was called "the 2nd food revolution" and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period of Qing.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the population of Changshafu doubled. But farming those grains enabled the country to feed its people and export rice to the area of the lower Yangtse river.
      The productivity of farming increased.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increased from 1.68 Shi in 1738 to 5.0 Shi in 1868 at Xiangtanxian. Also, it increased 1.97 Shi during the former term of Qing, 3-4 Shi during Tongzhi, and 5.5 Shi during the Republic.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evidently increased at the end of Qing when compared to Changshafu 11Districts. Regarding farming techniques, the documents about farming tools in the regional documents show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ools. In the Liling Hsien Zhi are listed about 60 kinds of farming tools. The old farming tools improved and they were introduced to Changshafu. Grain seeds were part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The economic farm products such as cotton, tea, oil, were sensitive to the international markets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naturally increased. This is understood more as a process of adapting to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than the phenomenon of imperialistic manipulation of market economy. The decrease of demand at the international markets was not due to the political pressure of imperialism; rather, it was due to the problem of quality of goods. The increase of farm products, the sale of goods, and the increase of circulation of goods are understood as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The overflowing of foreign commodity was considered as economic invasion of imperialism and led to the collapse and bankruptcy of traditional handiwork. However, the import of foreign commodity stimulated the appearance of domestic western commodity and the improvement of domestic handiwork. The production of rice was also high in the area where foreign commodity was used extensively and purchasing power was growing up.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commodity meant that the economy and the level of life elevated.
      The statistics about the price of rice and that of other goods lacks. The analysis of price list in Liling District shows that the price of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western cotton, oil, and so on. The living standard of farmers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leveled up. They had contact with diverse goods of new period (new civilization) such as electricity, watch, glasses, medicines, in addition to foreign money.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in the rural area of Huna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periodand the Republic. The growth was slow and some farmers went bankrupt. But it would not be right to say that it was due totally to imperialism, although it was partially true. A great deal of causes should be investigated from the inside of the society.
      번역하기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goods at Hunan Changshafu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and the Republic.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farming society of Hunan Changshafu dur...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goods at Hunan Changshafu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and the Republic.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farming society of Hunan Changshafu during that period had changed.
      In terms of rice production, rice market did not lose its vigor due to the increased import of rice. Farming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weather and there must be up and down in the production of rice. It was found that until 1930, the population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 and the Republic had increased by 4 millions and Changshafu played as an important place for rice export. The area of rice farming extended to Liling, Youxian, Liuyang, and Chaling.
      The farming of minor grains extended i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They grew corns and sweet potatoes, in particular. Farming minor grains like corns and sweet potatoes was called "the 2nd food revolution" and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period of Qing.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the population of Changshafu doubled. But farming those grains enabled the country to feed its people and export rice to the area of the lower Yangtse river.
      The productivity of farming increased.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increased from 1.68 Shi in 1738 to 5.0 Shi in 1868 at Xiangtanxian. Also, it increased 1.97 Shi during the former term of Qing, 3-4 Shi during Tongzhi, and 5.5 Shi during the Republic.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evidently increased at the end of Qing when compared to Changshafu 11Districts. Regarding farming techniques, the documents about farming tools in the regional documents show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ools. In the Liling Hsien Zhi are listed about 60 kinds of farming tools. The old farming tools improved and they were introduced to Changshafu. Grain seeds were part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The economic farm products such as cotton, tea, oil, were sensitive to the international markets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naturally increased. This is understood more as a process of adapting to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than the phenomenon of imperialistic manipulation of market economy. The decrease of demand at the international markets was not due to the political pressure of imperialism; rather, it was due to the problem of quality of goods. The increase of farm products, the sale of goods, and the increase of circulation of goods are understood as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The overflowing of foreign commodity was considered as economic invasion of imperialism and led to the collapse and bankruptcy of traditional handiwork. However, the import of foreign commodity stimulated the appearance of domestic western commodity and the improvement of domestic handiwork. The production of rice was also high in the area where foreign commodity was used extensively and purchasing power was growing up.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commodity meant that the economy and the level of life elevated.
      The statistics about the price of rice and that of other goods lacks. The analysis of price list in Liling District shows that the price of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western cotton, oil, and so on. The living standard of farmers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leveled up. They had contact with diverse goods of new period (new civilization) such as electricity, watch, glasses, medicines, in addition to foreign money.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in the rural area of Huna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periodand the Republic. The growth was slow and some farmers went bankrupt. But it would not be right to say that it was due totally to imperialism, although it was partially true. A great deal of causes should be investigated from the inside of the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淸末民國期 특히 1930년대 이전까지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을 살펴보았다. 서언에서 밝힌 대로 本考의 문제의식은 半植民地半封建社會로 규정되어 있는 이 시기의 湖南 長沙府 농촌 사회가 구체적 실제적으로 어떻게 변모하고 있었는 가이다.
      米穀생산 부분에서 보면 洋米 수입 증가로 湖南米시장이 상실됨으로써 미곡유통이 활기를 잃은 것은 아니었다. 또 인구의 중가로서 米穀은 自給에 그쳐서 수출이 중단된 것도 아니었다. 농업생산은 기후 조건의 영향을 받아 풍흉의 변동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확량으로 만 보면 매년은 하나의 파동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長沙府는 가경시기에 비해 민국전반에 거의 인구가 400만 정도 증가하였으나 1930년대 전반까지 米穀수출지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전에 주요 미곡 수출지가 아니었던 醴陵, 攸縣, 瀏陽, 茶陵 등지 까지 米穀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雜糧의 재배도 주요 米穀생산지대인 長沙府에서 淸末民國期에 집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옥수수, 고구마 특히 고구마 재배가 활발하다. 관련 지방지 史料 가운데 잡량으로 半年식량을 한다거나 잡량을 전부 먹고 米穀을 상품화 한다는 기재가 빈번하다. 이 잡량재배를 ‘제2차 식량혁명’이라 할 정도로 기여한 바가 컸다. 청말민국기에 長沙府의 인구가 갑절로 증가하였는데도 늘어난 인구의 부양뿐 아니라 揚子江하류 지역으로 미곡수출이 가능하게 한 힘의 상당부분은 이 잡량재배가 원인이었다.
      농업생산성은 분명히 향상되고 있다. 畝당 産量은 湘潭縣 경우 1738년 1.68石에서 同治7년(1868)에는 畝당 5.0石으로 증가하고 있다. 瀏陽縣도 淸전기의 1.97石에서 同治년간 3~4石 단계를 거쳐 민국시기 5.5石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長沙府 11縣을 검토해 보아도 畝당 생산량은 청말민국기에 분명히 높아지고 있다. 농사기술면에서도 민국기 지방지에는 農具항목이 신설되어 자세한 기록과 관심이 표현되고 있다. 民國예릉현지에 60여종의 農具가 摘示되어 있다. 구식 농기구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미미하지만 長沙府에도 신식 농기구 도입과 품종개량이 시도된다. 외국 종자의 수입도 일부 시행된다. 施肥개량과 새로운 농법인 區田法도 실행되고 있다. 民國시기의 예릉현지에는 同治刊 현지보다 稻 품종이 4배나 늘어난 것도 발전적 측면이다.
      경제작물 생산에는 면화, 차, 桐油, 烟草 등이 국제 시장의 수요증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것이 제국주의의 시장지배와 조종의 현상으로 이해되기 보다는 농업의 상품화가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여겨진다. 국제시장 수요의 감소는 품질 경쟁의 문제이지 제국주의의 정치적 억압 때문은 아니다. 생산의 증대와 상품판매,교역량 증대는 경제성장과 시장경제 강화로 이해된다.
      洋貨의 범람은 제국주의 침략의 경제적 표현으로 이해되고 전통수공업의 몰락, 파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洋貨의 수입은 국산洋貨의 등장을 촉진하고 국내 수공업의 개량을 자극한 것이 사실이다. 洋貨 유통이 넓은 지역은 미곡생산이 풍부하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이었다. 洋貨소비의 급증은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이었다.
      米價와 물가는 비교 가능한 정확한 통계가 부족하다. 넓은 범위에서 다룰수록 도량형, 화폐의 상이로 인해 비교자체가 곤란하다. 여기서 예릉현의 물가표를 분석
      번역하기

      淸末民國期 특히 1930년대 이전까지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을 살펴보았다. 서언에서 밝힌 대로 本考의 문제의식은 半植民地半封建社會로 규정되어 있는 ...

      淸末民國期 특히 1930년대 이전까지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을 살펴보았다. 서언에서 밝힌 대로 本考의 문제의식은 半植民地半封建社會로 규정되어 있는 이 시기의 湖南 長沙府 농촌 사회가 구체적 실제적으로 어떻게 변모하고 있었는 가이다.
      米穀생산 부분에서 보면 洋米 수입 증가로 湖南米시장이 상실됨으로써 미곡유통이 활기를 잃은 것은 아니었다. 또 인구의 중가로서 米穀은 自給에 그쳐서 수출이 중단된 것도 아니었다. 농업생산은 기후 조건의 영향을 받아 풍흉의 변동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확량으로 만 보면 매년은 하나의 파동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長沙府는 가경시기에 비해 민국전반에 거의 인구가 400만 정도 증가하였으나 1930년대 전반까지 米穀수출지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전에 주요 미곡 수출지가 아니었던 醴陵, 攸縣, 瀏陽, 茶陵 등지 까지 米穀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雜糧의 재배도 주요 米穀생산지대인 長沙府에서 淸末民國期에 집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옥수수, 고구마 특히 고구마 재배가 활발하다. 관련 지방지 史料 가운데 잡량으로 半年식량을 한다거나 잡량을 전부 먹고 米穀을 상품화 한다는 기재가 빈번하다. 이 잡량재배를 ‘제2차 식량혁명’이라 할 정도로 기여한 바가 컸다. 청말민국기에 長沙府의 인구가 갑절로 증가하였는데도 늘어난 인구의 부양뿐 아니라 揚子江하류 지역으로 미곡수출이 가능하게 한 힘의 상당부분은 이 잡량재배가 원인이었다.
      농업생산성은 분명히 향상되고 있다. 畝당 産量은 湘潭縣 경우 1738년 1.68石에서 同治7년(1868)에는 畝당 5.0石으로 증가하고 있다. 瀏陽縣도 淸전기의 1.97石에서 同治년간 3~4石 단계를 거쳐 민국시기 5.5石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長沙府 11縣을 검토해 보아도 畝당 생산량은 청말민국기에 분명히 높아지고 있다. 농사기술면에서도 민국기 지방지에는 農具항목이 신설되어 자세한 기록과 관심이 표현되고 있다. 民國예릉현지에 60여종의 農具가 摘示되어 있다. 구식 농기구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미미하지만 長沙府에도 신식 농기구 도입과 품종개량이 시도된다. 외국 종자의 수입도 일부 시행된다. 施肥개량과 새로운 농법인 區田法도 실행되고 있다. 民國시기의 예릉현지에는 同治刊 현지보다 稻 품종이 4배나 늘어난 것도 발전적 측면이다.
      경제작물 생산에는 면화, 차, 桐油, 烟草 등이 국제 시장의 수요증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것이 제국주의의 시장지배와 조종의 현상으로 이해되기 보다는 농업의 상품화가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여겨진다. 국제시장 수요의 감소는 품질 경쟁의 문제이지 제국주의의 정치적 억압 때문은 아니다. 생산의 증대와 상품판매,교역량 증대는 경제성장과 시장경제 강화로 이해된다.
      洋貨의 범람은 제국주의 침략의 경제적 표현으로 이해되고 전통수공업의 몰락, 파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洋貨의 수입은 국산洋貨의 등장을 촉진하고 국내 수공업의 개량을 자극한 것이 사실이다. 洋貨 유통이 넓은 지역은 미곡생산이 풍부하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이었다. 洋貨소비의 급증은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이었다.
      米價와 물가는 비교 가능한 정확한 통계가 부족하다. 넓은 범위에서 다룰수록 도량형, 화폐의 상이로 인해 비교자체가 곤란하다. 여기서 예릉현의 물가표를 분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