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영화에 음악이 함께한 영화장면의 분석을 통해 영상과 음악이 리듬으로 상호간에 조합되는 영화의 시청각적 리듬 특성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리듬은 시간적 리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영화에 음악이 함께한 영화장면의 분석을 통해 영상과 음악이 리듬으로 상호간에 조합되는 영화의 시청각적 리듬 특성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리듬은 시간적 리듬...
본 논문에서는 영화에 음악이 함께한 영화장면의 분석을 통해 영상과 음악이 리듬으로 상호간에 조합되는 영화의 시청각적 리듬 특성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리듬은 시간적 리듬과 더불어 공간적 리듬을 함께 가지고 있다. 반면에 음악의 리듬은 시간적 리듬만을 가지고 있으며 박절적이다. 작품을 분석해본 바에 의하면 영상과 음악이 함께하는 장면에서 영상의 편집리듬이 음악의 박절 구조처럼 구성될 때는 영상의 시간적 리듬이 음악의 시간적 리듬에 의존적이게 된다. 또한 영상과 음악의 템포가 일치할 경우 대사와 음향효과와 같은 리듬적 동기화가 상호간에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의 시간적 리듬과 영상의 움직이는 사물에서의 리듬이 같은 맥락으로 구성될 때 이것은 영상의 고정된 사물에서의 리듬과도 연관되어 총체적인 시청각적 리듬의 관계를 같은 맥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상과 음악 모두가 반복을 통한 규칙적인 리듬일 때도 리듬적 일치가 발생하는데, 이후 영상이 반복적인 리듬에서 벗어나게 되면 시퀀스의 변환과 같은 스토리의 전환을 가져다준다. 분석에 따른 이러한 결과는 영화의 제작에 있어서 특히 영상편집과 음악 제작 등과 관련하여 충분하게 고려되어야할 사항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auditory rhythms formed from combination of image and music rhythms were researched through analyses of film scenes including both image and music. Generally, the rhythm of image has both temporal rhyth...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auditory rhythms formed from combination of image and music rhythms were researched through analyses of film scenes including both image and music. Generally, the rhythm of image has both temporal rhythm and spatial rhythm. On the other hand, the rhythm of music has only temporal rhythm and has the periodical repetition of fixed meter.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film scene, the temporal rhythm of image depends on the temporal rhythm of music when the rhythm of image editing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rhythm of the periodical repetition of fixed meter of music. Rhythmic synchronization can occur between image and music when the tempos of image and music coincide each other. When the temporal rhythm of music and the rhythm of moving image in a scene are configured in the same context, they also relate to the rhythm of fixed image in a scene. Therefore, the overall visual-auditory rhythms can be formed in the same context. And the rhythms of image and music coincide each other when both the image and music rhythms have regular rhythms including repetition. But if the rhythm of image deviates from this repetitive rhythm, a change of story can occur at the point such as the translation of one sequence to another. According to tne results of these rhythm analyses in film sce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auditory rhythms formed from combination of image and music must be considered sufficiently for the process of film production, specially such as film editing and film music produ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버나드 로즈 감독, "장편영화 '캔디맨'(Candyman)"
2 진가신 감독, "장편영화 '첨밀밀'(Comrades: Almost a love story)"
3 봉준호 감독, "장편영화 '살인의 추억'"
4 "인터넷 네이버 사전"
5 Giannetti, Louis,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6
6 김성훈, "영화의 시간 이미지" 14 : 317-339, 1998
7 서정남,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14 : 357-405, 1998
8 Ken Dancyger, "영화 편집: 기술, 역사, 이론,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9 Vanoya, Francis, "영화 분석 입문" 한나래 2009
10 이지행,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125-133, 2007
1 버나드 로즈 감독, "장편영화 '캔디맨'(Candyman)"
2 진가신 감독, "장편영화 '첨밀밀'(Comrades: Almost a love story)"
3 봉준호 감독, "장편영화 '살인의 추억'"
4 "인터넷 네이버 사전"
5 Giannetti, Louis,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6
6 김성훈, "영화의 시간 이미지" 14 : 317-339, 1998
7 서정남,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14 : 357-405, 1998
8 Ken Dancyger, "영화 편집: 기술, 역사, 이론,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9 Vanoya, Francis, "영화 분석 입문" 한나래 2009
10 이지행,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125-133, 2007
11 Bruce Block, "비주얼 스토리: 영상 구조의 연출-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디지털 미디어를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2 Pinel, Vincent, "몽타주: 영화의 시간과 공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3 Creston, Paul, "리듬원리" 세광음악출판사 1991
14 Thaut, Michael H, "리듬, 음악 그리고 뇌: 과학적 근거와 임상 적용" 학지사 2009
15 "구로자와 기요시 감독. 장편영화 '큐어'(Cure)"
16 Winters, Ben, "The non-diegetic fallacy: film, music, and narrative space" 91 (91): 224-244, 2010
17 Sonnenschein, David, "Sound Design: The expressive power of music, voice, and sound effects in cinema" Michael wiese production 2001
18 Barham, Jeremy, "Scoring Incredible Futures: Science-Fiction Screen Music, and "Postmodernism" as Romantic Epiphany" 240-274, 2008
19 Gorbman, Claudia, "Narrative Film Music" 60 (60): 183-203, 1980
20 Evans, Brian, "Foundation of Visual Music" 29 (29): 11-24, 2005
21 Merck, Mandy, "Composing for the Films, Screen" 40-54, 1984
22 Littlefield, Richard, "Book Reviews: Claudia Gorbman, Unheard Melodies: Narrative Film Music" 11 : 165-173, 1990
23 Davison, Annette, "Beyond the Soundtrack: Representing Music in Cinema" 90 (90): 113-116, 2008
24 Chion, Michel, "Audio-Vision: Sound on Scre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25 이희경, "20세기 현대음악과 시간의 문제" 한국미학회 (32) : 331-363, 2002
중등음악 교육에서의 음악극 활동에 대한 연구: 협동학습에 의한 창의적 음악 활동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10-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 ![]() |
2008-10-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0.785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