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니코드의 한글 인코딩 표준안 = Hangul Encoding Standard based on Uni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94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유니코드에서 한글 텍스트의 인코딩 기법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과 주로 옛한글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자모 조합형 한글’로 나뉘고 있다. 그러나 정규화 변환과 유니코드의 ...

      현재 유니코드에서 한글 텍스트의 인코딩 기법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과 주로 옛한글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자모 조합형 한글’로 나뉘고 있다. 그러나 정규화 변환과 유니코드의 한글자모 조합 규정에서 자모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을 다시 조합하여 한글음절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했기 때문에, 구현하는 사람마다 각기 서로 다르게 한글 인코딩을 하고 있다. 이는 인코딩과 정규화 형식을 처음 작성할 당시 옛한글의 확장 사용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성된 데 따른 결과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한 개의 한글음절에 대한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이 존재함으로써 한글 문자열의 검색, 비교, 정렬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인코딩 방법을 중심으로 정규화에 의한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들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단일 한글 인코딩 표준 방안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Unicode, two types of Hangul encoding schemes are currently in use, namely, the “precomposed modern Hangul syllables” model and the “conjoining Hangul characters” model. The current Unicode Hangul conjoining rules allow a precomposed Hangul...

      In Unicode, two types of Hangul encoding schemes are currently in use, namely, the “precomposed modern Hangul syllables” model and the “conjoining Hangul characters” model. The current Unicode Hangul conjoining rules allow a precomposed Hangul syllable to be a member of a syllable which includes conjoining Hangul characters; this has resulted in a number of different Hangul encoding implementations. This unfortunate problem stems from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Hangul writing system when the normalization and encoding schemes were originally designed. In particular, the extended use of old Hangul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t ways to represent Hangul syllables, and this cause problem in the processing of Hangul text, for instance in searching, comparison and sorting function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roblems with the normalization of current Hangul encodings, and suggest a single efficient rule to correctly process the Hangul encoding in Unico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 연구
      • 3. 기존 한글 인코딩 기법의 문제점 분석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 연구
      • 3. 기존 한글 인코딩 기법의 문제점 분석
      • 4. 효율적인 한글 인코딩 방안
      •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코드와 자판에 대한 기초 연구" 문화부 1992-,

      2 "한글코드에 관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5

      3 "정보 교환용 부호계(한글 및 한자) KS X 1001" 한국표준협회 2004

      4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올바른 한글 정규화를 위한 수정 방안" 34 (34): 169-177, 2007

      5 "문자코드 표준화 연구" 국립국어원 11-19, 2004

      6 "마이크로소프트 워드2002에서의 옛한글 구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2001

      7 "단일문자 표준 연구" 한국전산원 1993.

      8 "국제문자부호계 KS규격의 국제규격부합화 연구" 한국표준협회 2000

      9 "국제 문자 부호 계 KS X 1005" 한국표준협회 2002

      10 "Unicode Standard Annex #28 - Unicode 3.2" 2002

      1 "한글코드와 자판에 대한 기초 연구" 문화부 1992-,

      2 "한글코드에 관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5

      3 "정보 교환용 부호계(한글 및 한자) KS X 1001" 한국표준협회 2004

      4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올바른 한글 정규화를 위한 수정 방안" 34 (34): 169-177, 2007

      5 "문자코드 표준화 연구" 국립국어원 11-19, 2004

      6 "마이크로소프트 워드2002에서의 옛한글 구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2001

      7 "단일문자 표준 연구" 한국전산원 1993.

      8 "국제문자부호계 KS규격의 국제규격부합화 연구" 한국표준협회 2000

      9 "국제 문자 부호 계 KS X 1005" 한국표준협회 2002

      10 "Unicode Standard Annex #28 - Unicode 3.2" 2002

      11 "Unicode Normalization Forms 5.0.0 - UAX #15" 2006

      12 "The Unicode Standard 5.0" Addison-Wesley 2006

      13 "Resolutions of WG 2 meeting 50" 2007

      14 "Internationalizing Domain Names in Applications (IDNA) - RFC 3490" Security Considerations 2003

      15 "ISO/IEC SC2, ISO/IEC 10646: 2003/PDAM 5 Ballot" 2007

      16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1.0" Definitions for Character Normalization 2006

      17 "Draft Unicode Technical Report #15, Revision 11" Hangul Composition 1999

      18 "Creating and Supporting OpenType fonts for Old Hangul" Microsoft Corp 2000

      19 "Character Model for the World Wide Web 1.0: Normalization" 2005

      20 "A Proposal to add new Hangul Jamo extended characters to BMP of UC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9-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3-04-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br>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Software and Application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br>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Software and Application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