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여탁, "현대시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27 (27): 215-260, 2011
2 민용성,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4 Eisner, E. W., "인지와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4
5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28): 193-222, 2009
6 김미혜, "문학교육에서 지식의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19 (19): 155-184, 2006
7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회 25 (25): 75-104, 2006
8 김동환,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1-118, 2011
9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10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1 윤여탁, "현대시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27 (27): 215-260, 2011
2 민용성,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4 Eisner, E. W., "인지와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4
5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28): 193-222, 2009
6 김미혜, "문학교육에서 지식의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19 (19): 155-184, 2006
7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회 25 (25): 75-104, 2006
8 김동환,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1-118, 2011
9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10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11 송현정,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2 박인기,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교육의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1 : 1-25, 2000
13 류수열,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문학의 위상 설정"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31, 2011
14 김정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정의교육 범주에 대한 연구 : 내용 체계 및 위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2 (12): 11-40, 2003
15 최지현,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교육과정" 한국문학교육학회 18 (18): 217-257, 2005
16 이인제,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18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19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20 윤현진, "교육과정에서의 성취 기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1 문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22 김창원, "‘문학 능력’의 관점에서 본학습자 중심 문학교육학의 철학과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40 (40): 31-56, 2013
23 민현식,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4 김성진,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변화상과 이후의 과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50): 103-126, 2012
25 김상욱,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속 문학 영역의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학회 128 (128): 47-7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