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 연구 = A Study on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8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hecking out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composed of ‘knowledge, acceptance and production, attitude’ and at detecting the way of organic content selection in the mutual rela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As a result of discus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determined educational content didn’t have confined direction because ‘content system’ of literature educational curriculum didn’t reflect on ‘objective, that educational content classification standard was a description,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 character, and that educational content focused on knowledge, most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t, this study presented the plan of category organization such as ‘aim’ centered on ‘ability and value, attitude’, ‘content system’ divided by ‘objective’, and content factor centered on ‘response-comprehension-evalu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checking out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composed of ‘knowledge, acceptance and production, attitude’ and at detecting the way of organic content selection in the mutual relation with educational content...

      This study focuses on checking out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composed of ‘knowledge, acceptance and production, attitude’ and at detecting the way of organic content selection in the mutual rela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As a result of discus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determined educational content didn’t have confined direction because ‘content system’ of literature educational curriculum didn’t reflect on ‘objective, that educational content classification standard was a description,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 character, and that educational content focused on knowledge, most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t, this study presented the plan of category organization such as ‘aim’ centered on ‘ability and value, attitude’, ‘content system’ divided by ‘objective’, and content factor centered on ‘response-comprehension-eval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을 고찰하기 위해, ‘내용 체계’와 ‘목표’의 관계 및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범주인가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 ‘목표’에서는 활동의 연계를 통해 능력이나 가치에 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데 비해, ‘내용 체계’는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범주가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목표’와 ‘내용 체계’가 서로 다른 체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체계’의 각 범주가 변별성을 지녔는가와 관련하여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은 수용과 생산 활동과 독립적으로 제시되기 어렵고, 수용과 생산 활동 역시 활동의 나열될 뿐 활동의 지향점이 드러나지 않으며, 태도 범주 역시 단기간에 도달할 수 없는 교육 내용을 지식의 형태도 제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 내용이 지식과 유사한 형태도 기술되고 있는 점은 내용 범주의 준거가 교육 내용이 아니고 서술어에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내용 선정 방식을 체계화하려면, 목표, 내용 체계, 내용 요소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을 고찰하기 위해, ‘내용 체계’와 ‘목표’의 관계 및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범주인가에 대해 ...

      이 논문은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을 고찰하기 위해, ‘내용 체계’와 ‘목표’의 관계 및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범주인가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 ‘목표’에서는 활동의 연계를 통해 능력이나 가치에 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데 비해, ‘내용 체계’는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범주가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목표’와 ‘내용 체계’가 서로 다른 체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체계’의 각 범주가 변별성을 지녔는가와 관련하여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은 수용과 생산 활동과 독립적으로 제시되기 어렵고, 수용과 생산 활동 역시 활동의 나열될 뿐 활동의 지향점이 드러나지 않으며, 태도 범주 역시 단기간에 도달할 수 없는 교육 내용을 지식의 형태도 제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 내용이 지식과 유사한 형태도 기술되고 있는 점은 내용 범주의 준거가 교육 내용이 아니고 서술어에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내용 선정 방식을 체계화하려면, 목표, 내용 체계, 내용 요소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여탁, "현대시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27 (27): 215-260, 2011

      2 민용성,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4 Eisner, E. W., "인지와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4

      5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28): 193-222, 2009

      6 김미혜, "문학교육에서 지식의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19 (19): 155-184, 2006

      7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회 25 (25): 75-104, 2006

      8 김동환,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1-118, 2011

      9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10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1 윤여탁, "현대시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27 (27): 215-260, 2011

      2 민용성,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3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국어, 도덕, 사회"

      4 Eisner, E. W., "인지와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94

      5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28): 193-222, 2009

      6 김미혜, "문학교육에서 지식의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19 (19): 155-184, 2006

      7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회 25 (25): 75-104, 2006

      8 김동환,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1-118, 2011

      9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7-37, 2002

      10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11 송현정,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2 박인기,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교육의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1 : 1-25, 2000

      13 류수열,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문학의 위상 설정" 한국문학교육학회 35 (35): 9-31, 2011

      14 김정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정의교육 범주에 대한 연구 : 내용 체계 및 위계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2 (12): 11-40, 2003

      15 최지현,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교육과정" 한국문학교육학회 18 (18): 217-257, 2005

      16 이인제,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1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18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19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4호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20 윤현진, "교육과정에서의 성취 기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1 문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22 김창원, "‘문학 능력’의 관점에서 본학습자 중심 문학교육학의 철학과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40 (40): 31-56, 2013

      23 민현식,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4 김성진,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변화상과 이후의 과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50): 103-126, 2012

      25 김상욱,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속 문학 영역의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학회 128 (128): 47-7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