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영향요인을 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81803
충주 :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512.8 판사항(6)
충청북도
Influence of Nurses’ Advance Directive Knowledge, Good Death Awaren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ir Attitude of Life-Sustaining Withdrawal
ix, 113 p. : 삽화, 표 ; 26cm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연하
참고문헌: p.73-85.
I804:43010-2000002940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영향요인을 규...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북지역에 소재한 300~500병상 4개 종합병원에서 재직하고 있는 1년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임상간호사이며,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에 동의한 임상간호사 200명을 설문조사하여 불충분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194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사전연명의료향서 지식 측정도구,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도구를 정현숙(2010)이 수정 ․ 보완한 좋은죽음 인식 측정도구,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박계선(2000)이 개발하고 변은경 등(2003)이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이수정이 다시 수정 ․ 보완 하여 사용한 연명의료중단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간호전문직관,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Kolmogorov-Smirnov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식,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간호전문직관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좋은죽음 인 식,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차이는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l Wallis H test로 분석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 effe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
서 지식, 간호전문직관, 좋은죽음 인식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 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결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88.7%로 대부분을 차치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은 26~30세가 49.5%, 미혼이 64.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총 임상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45.4%, 직위에서는 일반 간호사가 91.8%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생명윤리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61.3%로 나타났으며, 간호수행 시 임종간호를 경험한 대상자는 88.7%, 연명의료 결정 과정에서 참여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7.9%로 나타났다.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평균 8.07±1.39점(9점 만점)으로 대상자의 지식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 인식의 전체 평균은 전체평균(4점 만점)은 2.74±0.29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생의마감은 2.99± 0.38점 임상증상은 2.54±0.37점, 통제감은 2.33±0.54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전체 평균은 3.49±0.45점(5점 만점)이었다. 하위 영역별 평균은 간호의 전문성이 3.73±0.55점, 간호 실무역할이 3.69±0.59점, 전문직 자아개념이 3.69±0.47점, 사회적 인식이 2.99±0.64점, 간호의 독자성이 3.60±0.78점 이었다.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평균 3.47± 0.45(5점 만점)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결혼상태(χ2 =5.07,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타나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은 근무부서(χ2=12.56, p=.006), 생명윤리교육 이수 경험(z=-2.31, p=.020), 간호수행 시 임종간호 경험(z=-2.11, 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 하위 영역의 임상증상은 연령(χ2=19. 75, p<.001), 결혼상태(χ2=4.51, p=.034), 근무경력(χ2=13.57, p<.001), 근무부서(χ2=14.74, p=.002), 생명윤리 교육 유무(z=-2.14, p=.032), 윤리적 가치관(χ2=10.25, p=.017), 간호수행시 임종간호경험(z=-2.79,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의 하위 영역 생의마감에서는 연명의료 결정과정의 간호사가 참여 의향(z=-3.12, 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좋은죽음 인식 하위영역 통제감 에서는 직위(z=4.09,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성별(t=-2.48, p=.014), 근무경력(F=3.37, p=.036), 연명의료 결정과정의 간호사 참여 의향(t=2.27,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중단 태도는 근무부서(χ2=15.8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연명의료중단 태도와 좋은죽음 인식의 하위영역인 생의마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6, p=.026)를 나타났으며, 생의마감과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9, p=.00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죽음인식 하위영인 생의마감과 간호전문직관 하위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r=.85, p<.001), 사회적 인식(r=.75, p<.001), 간호의 전문성(r=.76, p<.001), 간호 실무역할(r=.80,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의 독자성(r=.-51, p<.001)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좋은죽음 인식 하위 영역의 생의마감 (β=22, p=.008)과, 중환자실(β=-.18, p=.044)과, 외과계 병동인 경우(β=.24 p=.012), 간호전문직관의 하위 영역 간호의 전문성(β=-.25, p=.00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β=.16, p=.046)의 변인이 확인되었으며,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1.5%였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간호의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즉,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자에게 직관력을 가지고 간호전문 지식과 기술을 발휘하는 것보다 대상자가 임종 시까지 의식을 유지하고 존엄성을 유지하도록 간호하는 것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연명의료중단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의마감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제공이 필요하겠다. 또한 부서별 특성을 고려한 연명의료중단 태도의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가 연명의료 중단과 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 불안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