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탐색 -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 - =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nalysis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nclusive Educ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6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통합교육을 하지 않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학생 257명이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회수한 설문지로부터 도출된 핵심어들 가운데 상위 빈도에 해당하는 장애인 인식 관련 핵심어 30개씩을 선정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제시한 핵심어는 ‘힘듦, 돌봄, 관심’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중앙성 분석 결과로는 ‘도움, 돌봄’의 핵심어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제시한 핵심어는 ‘도움, 불편, 아픔’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중앙성 분석 결과는 ‘이해, 불편, 아픔’의 핵심어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이 장애인식 개선에 미친 영향과 장애인식 개선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통합교육을 ...

      본 연구는 통합교육 실시 여부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통합교육을 하지 않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학생 257명이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회수한 설문지로부터 도출된 핵심어들 가운데 상위 빈도에 해당하는 장애인 인식 관련 핵심어 30개씩을 선정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제시한 핵심어는 ‘힘듦, 돌봄, 관심’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중앙성 분석 결과로는 ‘도움, 돌봄’의 핵심어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합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초등학교의 학생들이 제시한 핵심어는 ‘도움, 불편, 아픔’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중앙성 분석 결과는 ‘이해, 불편, 아픔’의 핵심어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이 장애인식 개선에 미친 영향과 장애인식 개선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in their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whether inclusion was conducted or no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7 senior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where inclusive education is provided or not provided. The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disabled people.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amine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 key words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30 key words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frequency were selected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key words sugges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frequent in the order of hardness, care, and interest . And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key words of help, care were high in common. The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s that do not provide inclusive education were frequent in the order of ‘help, inconvenience, and pain’ and the centrality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high in common with the key words of ‘understanding, discomfort, and pai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act of inclusion on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and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al progra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in their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whether inclusion was conducted or no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7 senior students atte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in their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whether inclusion was conducted or no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7 senior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where inclusive education is provided or not provided. The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disabled people.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amine perce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 key words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 30 key words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frequency were selected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key words sugges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inclusive education were frequent in the order of hardness, care, and interest . And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key words of help, care were high in common. The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s that do not provide inclusive education were frequent in the order of ‘help, inconvenience, and pain’ and the centrality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high in common with the key words of ‘understanding, discomfort, and pai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act of inclusion on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and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al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식,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도서출판 홍릉 2002

      2 이대식,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분석" 교육연구소 3 (3): 1-26, 2002

      3 최정희,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지체장애아동에 대한 태도-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93-116, 2008

      4 손상희,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45-168, 2005

      5 김기흥,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일반 초 중등교사들의 태도"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69-97, 2017

      6 방명애,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298-313, 2002

      7 최성규,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내적·외적요인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5-50, 2015

      8 김보영, "초등학생의 장애이해프로그램 연구에 관한 국내 문헌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47-171, 2019

      9 김보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조사" 9 (9): 1-9, 2011

      10 조수진, "청각건강신념과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93-312, 2020

      1 강승식,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도서출판 홍릉 2002

      2 이대식,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의 분석" 교육연구소 3 (3): 1-26, 2002

      3 최정희,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지체장애아동에 대한 태도-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93-116, 2008

      4 손상희,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45-168, 2005

      5 김기흥,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일반 초 중등교사들의 태도"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69-97, 2017

      6 방명애,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분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298-313, 2002

      7 최성규, "초등학생의 장애학생 인식에 대한 내적·외적요인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5-50, 2015

      8 김보영, "초등학생의 장애이해프로그램 연구에 관한 국내 문헌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47-171, 2019

      9 김보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조사" 9 (9): 1-9, 2011

      10 조수진, "청각건강신념과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93-312, 2020

      11 오강섭,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불안 및 불안장애"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4 (24): 45-51, 2017

      12 송연주,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207-231, 2015

      13 오욱찬, "장애인의 차별인식 실태와 실천적 과제"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4 김정임, "장애인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5 홍문영,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른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 태도 변화"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황을숙, "장애인식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17 (17): 199-216, 2002

      17 심태영, "장애인스포츠대회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대학생의 장애인 인식 및 수용태도, 체육활동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7 (17): 1463-1474, 2019

      18 정혜경, "장애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0 (20): 69-89, 2016

      19 서석진, "장애인 인식에 대한 연구: 복지계열과 재활계열 대학생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27-736, 2018

      20 김민경, "장애인 ‘짝지’에 관한 초등학생의 메타포(metaphor)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8 (28): 91-113, 2018

      21 이정희,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인식 및 태도" 18 : 125-144, 2019

      22 송민애,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155-172, 2015

      23 변찬석, "일반학급에서의 경도장애아의 사회적 수용도" 5 (5): 69-84, 1998

      24 이한우, "일반인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471-492, 2004

      25 강승지,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41-168, 2018

      26 서희정, "신문사설을 통해 살펴본 장애인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2013 (2013): 48-90, 2013

      27 강예원, "시각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Hear me later’ VR 콘텐츠 제작 연구"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6 (26): 99-109, 2020

      28 남찬섭, "사회적 모델의 실현을 위한 장애정의 고찰: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장애정의의 수정을 위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61-187, 2009

      29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30 최현주,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601-627, 2016

      31 정진자,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10년(2010-2019) 국내 연구동향 및 단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3-41, 2020

      32 최유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경험이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미치는 영향" 21 : 101-115, 2017

      33 지은,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과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05-225, 2015

      34 조용태, "또래거부 된 정신지체아동의 행동특성" 17 (17): 103-120, 1996

      35 이정민, "대학생이 인식한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비교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3 (43): 61-98, 2019

      36 전미영,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중소기업융합학회 7 (7): 1-13, 2017

      37 권말숙,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667-3674, 2014

      38 김소영,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35-544, 2018

      39 김미희, "대학생의 신체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연구"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10 (10): 5-14, 2006

      40 이한우, "대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67-85, 2003

      41 김수연,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63-391, 2011

      42 추종희, "교과활동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교 비장애 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19 : 69-90, 2010

      43 김혜숙, "고정관념 및 편견과 인간관계" 9 : 83-101, 2002

      44 권정민, "게임화된 장애체험활동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19 (19): 45-54, 2019

      45 WHO, "World report on disability" WHO 2011

      46 Scott, J., "The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Publications Ltd 2014

      47 Lamichhane, K.,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a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 : A case from Nepal" 21 (21): 1-13, 2017

      48 Thomas, C., "Sociologies of disability and illness: Contested ideas in disability studies and medical sociology" Palgrave Macmillan 2007

      49 Impecoven-Lind, L. 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owa State University 2004

      50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Bloomsbury 2000

      51 Winter, E., "Literature review of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relating to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National Council for Special Education 2010

      52 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A manual of classification relating to the consequences of disease"

      53 McDougall, J., "High school-aged youths' attitudes toward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The role of school and student interpersonal factors" 51 : 287-313, 2004

      54 Newman, M. E. J., "Finding and evaluating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69 (69): 1-15, 2004

      55 Fine-Davis, M., "Equality and diversity in the classroom : A comparison of students’and teachers’ attitudes in six european countries" 19 (19): 1319-1334, 2014

      56 Schneider, C., "Equal is not enough-Current issues in inclusive education in the eyes of children" 1 (1): 1-14, 2009

      57 Cuzzocrea, A., "Edge betweenness centrality : A novel algorithm for QoS-based topology control over wireless sensor networks" 35 (35): 1210-1217, 2012

      58 Milsom, A., "Creating positive school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10 (10): 66-72, 2006

      59 Rimmerman, A., "Contact and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mong students tuto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5 (25): 13-18, 2000

      60 Girvan, M.,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and biological networks" 99 (99): 7821-7826, 2002

      61 Kugelmass, J. W., "Collaboration and compromise in creating and sustaining an inclusive school" 5 (5): 47-65, 2001

      62 김차명,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13-333, 2012

      63 Hogg, M. A., "A tale of two theories : A critical comparison of identity theory with social identity theory" 58 (58): 255-269, 1995

      64 Nowicki, E. A., "A meta-analysis of school-age children's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physical or intellectual disabilities" 49 (49): 243-26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