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의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중요하며, 발달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6589
2021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37-159(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발달장애인의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중요하며, 발달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효...
발달장애인의 실질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사회 주민들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중요하며, 발달장애인과의 접촉경험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거론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접촉경험과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발달장애인친화 마을공동체 사업을 수행한 의왕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통합방법론을 활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주민 256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발달장애인 접촉경험과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수준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 경험을 지닌 15인의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FGI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과의 접촉을 통해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발달장애인과 교류하면서 이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이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노력과 함께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가족도 사회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지닐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practical social integr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led is considered as an effec...
For the practical social integr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led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ntegrated methodology was us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residents of Uiwang City who carried out community project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256 local resident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the subje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GI analysis conducted on 15 community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in community project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accept them naturally while interacting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contact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parties and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have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ociety as well as efforts to actively accept them in the community for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stitu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지적 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85-205, 2008
2 김미옥, "지원생활모델(Supported Living model)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의 자립 -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함의 -"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257-283, 2017
3 이민화, "정신장애인과 대학생의 접촉경험이 반낙인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4 이지수,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 : 117-148, 2002
5 이성규, "장애 인식 지표 개발 및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인식에관한 척도 개발 연구" 장애인직업안정연구원 2009
6 보건복지부,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
7 이중섭,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4 (14): 87-117, 2013
8 양정민, "비장애 또래교육을 연계한 협력적 보드게임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149-170, 2021
9 이성아,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 직무 환경에서 사회적 통합의 의미와 사회적 통합 증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71-206, 2020
10 송정원,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생활에 관한 주민의 태도에 공동체의식이 미치는 영향 - 배타성의 매개효과 및 접촉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3 (43): 157-180, 2019
1 최성규, "지적 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85-205, 2008
2 김미옥, "지원생활모델(Supported Living model)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의 자립 - 한국 장애인복지에의 함의 -"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257-283, 2017
3 이민화, "정신장애인과 대학생의 접촉경험이 반낙인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4 이지수,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 : 117-148, 2002
5 이성규, "장애 인식 지표 개발 및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인식에관한 척도 개발 연구" 장애인직업안정연구원 2009
6 보건복지부, "어르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
7 이중섭,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4 (14): 87-117, 2013
8 양정민, "비장애 또래교육을 연계한 협력적 보드게임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149-170, 2021
9 이성아,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 직무 환경에서 사회적 통합의 의미와 사회적 통합 증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0 (30): 171-206, 2020
10 송정원,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생활에 관한 주민의 태도에 공동체의식이 미치는 영향 - 배타성의 매개효과 및 접촉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3 (43): 157-180, 2019
11 하웅용,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돌봄사업 참여자 대상 진행과정과 성과에 대한 FGI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4 (24): 53-75, 2020
12 최재우, "매체접촉경험이 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태도에 미치는 학습자 특성 변인과의 상호작용 -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9-114, 2015
13 김유희, "고등학생의 가정의 가치지향성 및 장애접촉 경험유형과 장애인식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Keith, M.,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and attitudes reducing prejudice towar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47 : 14-26, 2015
15 Henry, D., "The community living attitudes scale, mental retardation form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34 (34): 149-158, 1996
16 Schwartz, C., "Students’ attitudes to the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16 : 403-413, 2001
17 Fisher, K. R., "Policies to change attitud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19 (19): 161-174, 2017
18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19 Collins, J., "From hospital to home : The drive to suppor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61 (61): 76-82, 2015
20 Cameron, L., "Extended contact through story reading in school : Reducing children’s prejudice toward the disabled" 62 : 469-488, 2006
21 McManus, J. L., "Contact and knowledge as predictors of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8 : 579-590, 2011
22 Yazbeck, M.,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5 : 97-111, 2004
23 Jones, J., "Attitudes of community developmental agency staff towards issues of inclusion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5 : 219-226, 2008
장애인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탐색 -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사회연결망 분석 -
COVID-19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스트레스 인식유형
유튜브(YouTube)에 나타난 성인 ADHD 당사자의 인식 분석 - Mad Studies 관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98 | 1.17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