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변동 분석 = An Analysis of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Change: Based on the Policy Stream Framework(PS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0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책변동 분석 모형 중의 하나인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어떠한 요인과 형성 과정을 거쳐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본 연구는 정책변동 분석 모형 중의 하나인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어떠한 요인과 형성 과정을 거쳐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정책결정과정과 변동요인을 명료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기본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정책의제로 설정되고 변동되는 과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정치의 흐름이었고, 정치의 흐름 중 행정부의 교체(정권의 변화 등)는 변화의 점화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이 형성ㆍ채택ㆍ집행되는 과정과 변화에 있어서 참여자와 이익집단의 활동, 정책활동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형성과정은 근무성적평정의 개선과 공교육 내실화, 교사의 책무성 제고라는 정책변동의 맥락내에서 발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changed, on the basis of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PS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stream is the most importa...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changed, on the basis of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PS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strea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has an effect on the policy stream. Second, the role of interest groups, such as participants and policy entrepreneurs,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olicy. Thir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three characteristics: (1)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of the improvement about performance rating (2)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3)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for the enhancement about teachers accoun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분석틀 Ⅳ. 교원능력개발제 정책의 변동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분석틀 Ⅳ. 교원능력개발제 정책의 변동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경, "한국장학재단설립등에관한법률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의 흐름 모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 강인수,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2, 2003

      3 김보엽, "한국 사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 분석 : 국민의 정부 및 참여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 조흥순, "한국 교원평가정책의 변동 분석 : 옹호연합과정모형(ACPF)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윤정일, "한국 공교육의 진단" 집문당 2003

      6 권대봉,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 집문당 2003

      7 윤지희, "학생․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교원평가방안" 국회의원 이주호․ 교육과 시민사회․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2005

      8 정수현, "학교현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교원평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9 강인수,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평가방안" 18 (18): 2005

      10 황의수,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1 이제경, "한국장학재단설립등에관한법률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의 흐름 모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 강인수,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2, 2003

      3 김보엽, "한국 사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 분석 : 국민의 정부 및 참여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 조흥순, "한국 교원평가정책의 변동 분석 : 옹호연합과정모형(ACPF)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윤정일, "한국 공교육의 진단" 집문당 2003

      6 권대봉,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 집문당 2003

      7 윤지희, "학생․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교원평가방안" 국회의원 이주호․ 교육과 시민사회․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2005

      8 정수현, "학교현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교원평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9 강인수,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평가방안" 18 (18): 2005

      10 황의수,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11 박하영, "참여정부의 문화예술교육정책 형성과정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12 중앙일보, "중앙일보(2004. 5.16)"

      13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4

      1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8

      15 강은숙, "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 그린벨트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6 신순우, "정책변동 요인과 과정에 관한 연구 : 산림조합 정책변동사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0

      17 이상성, "정책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고교평준화 정책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18 김정한, "전문성 신장 중심의 교사평가 방안" 133-154, 2000

      19 "연합뉴스(2005.6.20)"

      20 "세계일보(2004)"

      21 "서울신문(2004.2.3)"

      22 문화일보, "빠를수록 좋은 교사평가제"

      23 신현석, "부적격 교원 판별 문제에 대한 교원들의 저항원인 분석과 해소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261-286, 2007

      24 "매일경제(1996.4.16)"

      25 "동아일보(1995.3.17)"

      26 양승일, "교육정책형성과정의 동태성 분석: 참여정부의 사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53-78, 2007

      27 박상준, "교원평가제의 목적과 기본방향(정의교육시민연합)" 2004

      28 김병주, "교원평가제에 대한 신문의 보도태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49-371, 2006

      29 교육부, "교원평가제 입법예고"

      30 동아일보, "교원평가제 더 미룰 수 없다"

      31 신현석, "교원평가의 정치학: 쟁점에 대한 이해관계 집단들의 입장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9-61, 2008

      32 신상명, "교원평가의 쟁점과 발전 방향" 17 (17): 2004

      33 이종재, "교원평가의 방향과 과제" 17 (17): 2004

      34 김명수, "교원평가시스템의 개혁방향과 과제" 조전혁 의원실 2009

      35 전제상, "교원평가,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한국교육개발원 2004

      3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원평가 전면전환 촉구 학부모․교사선언 기자회견"

      37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원평가 전면실시, 법적기반 취약 실효성 “우려”"

      38 공병영, "교원정년정책 변동과정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39 김이경, "교원 자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 2008

      40 이천만, "교원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과 대책" 교장선출보직제와 학교자치 실현 연대 2003

      41 진옥경, "교사평가제 도입의 당위성과 과제.교사와 학부모, 함께 교원평가를 말하다" 좋은교사운동․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2004

      42 전제상, "교사평가의 준거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43 한겨례신문, "교사평가, “‘근평제‘ 아류론 안 돼”"

      44 김장중, "교사와 학부모, 함께 교원평가를 말하다" 좋은교사운동․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2004

      45 신현석, "교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평가방안 연구" 안암교육학회 11 (11): 157-180, 2005

      46 김기수, "공교육 정상화의 첫걸음은 교원평가제 도입이다" 한국교육연구소 48-51, 2007

      47 교육부,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2004

      48 박도순, "공교육 내실화 및 학교교육력제고를 위한 교원평가제도 개선 평가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5

      49 "경향신문(1998.2.12)"

      50 이진숙, "건강가정기본법의 정책결정과정 분석: 킹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3) : 159-181, 2005

      51 李秉吉, "政策變動의 要因과 過程에 관한 연구 : 放送政策(1980 - 1990) 變動事例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52 프레시안, "‘새 교원평가제’시범운영, 교육계-교육부 격돌"

      53 Erik, N. C., "The Politics of Determining Merit Aid Eligibility Criteria : An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81 (81): 33-60, 2010

      54 Sabatier, P. A., "The Need for Better Therories, In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3-17, 2007

      55 Zahariadis, N.,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Structure, Limitations, Prospects, In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Press 2007

      56 Barrie, H., "The Changing Status of School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Explaining Policy Change" 11 (11): 73-92, 2006

      57 Stout, K. E., "The Case of the Failed Diversity Rule : Multiple Streams Analysis" 22 (22): 341-355, 2000

      58 McLendon, M. K., "Setting the Governmental Agenda for State Decent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74 (74): 479-515, 2003

      59 Anderson, J. E., "Public Policy Making" Holt 1984

      60 Sabatier, P. A., "Policy change and learning: an Advocacy coalition approach" Westview Press 1993

      61 이순남,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정책변동 연구" 18 (18): 261-283, 2004

      62 이광수, "Kingdon 모형을 적용한 교장공모제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133-155, 2010

      63 Thomas, C. S., "Interest Group in the States"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1996

      64 christopher, P. B., "Examining the Streams of a Retention Policy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High Stakes Reform" 15 (15): 1-26, 2007

      65 Birkland, T.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 M. E. Sharpe, Inc 2001

      66 Zahariadis, N., "Ambiguity and choice in public policy: political decisionmaking in modern democraci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3

      67 Bailey, G. M., "Allocating State Funds for Public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 Case Study of Education Policymaking in Maryland" University of Maryland 2007

      68 Kingdon, J.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2003

      69 Kingdon, J.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1995

      70 교육과학기술부, "2010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매뉴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