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 문제에 주목하여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습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34294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01-209(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 문제에 주목하여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습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 · 청소년들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 문제에 주목하여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습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이들이 지니는 조절효과에 대해 남녀집단을 구분하여 검증 하였다. 2018년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 ·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삶의 질,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 특성에 대해 남녀집단을 구분하여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들의 삶의 질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아침식사 결식율이 높고, 수면시간이 적고, 신체활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아침식사와 수면, 여학생의 경우 아침식사와 신체활동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아동 ·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아침식사 결식율을 낮추고,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하며, 신체활동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and stress issu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reviewed the effects of lifestyle habits such as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ir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
This study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and stress issu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reviewed the effects of lifestyle habits such as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ir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 effect was to be verified by dividing the male and female grou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2018 child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data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male and female groups with respect to stress, quality of life,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emale students had lower quality of life, higher stress levels, higher rate of skipping breakfast, less time sleep and less physical activity.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men and women. For boys, breakfast and sleep, and for girls, breakfast and physical activity have been prove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practical measures to lower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secure sufficient sleep time, and increase physical activ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계승희,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3-1281, 2019
2 권현진,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수면 만족감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4 (54): 119-131, 2015
3 장근영, "한국 청소년의 생활시간 국제비교와 라이프스타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39-155, 2009
4 신승배,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5-217, 2018
5 염유식,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조사결과보고서" 재단법인 한국방정환재단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6 염유식, "한국 아동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재단법인 한국방정환재단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7 장정윤, "초기 코로나19 위기 동안 청소년의 성별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와 심리적 상태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 29 (29): 181-187, 2021
8 손선옥,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 및 성별 차이" 대한스트레스학회 27 (27): 158-165, 2019
9 강석임, "청소년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1, 2020
10 김한나,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014년 제 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56-7666, 2015
1 계승희,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63-1281, 2019
2 권현진,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수면 만족감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 54 (54): 119-131, 2015
3 장근영, "한국 청소년의 생활시간 국제비교와 라이프스타일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39-155, 2009
4 신승배,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5-217, 2018
5 염유식,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조사결과보고서" 재단법인 한국방정환재단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6 염유식, "한국 아동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재단법인 한국방정환재단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9
7 장정윤, "초기 코로나19 위기 동안 청소년의 성별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와 심리적 상태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 29 (29): 181-187, 2021
8 손선옥,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 및 성별 차이" 대한스트레스학회 27 (27): 158-165, 2019
9 강석임, "청소년이 지각하는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1, 2020
10 김한나,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014년 제 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56-7666, 2015
11 송지원,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03-129, 2018
12 이학권, "청소년의 신체활동 수준과 정신건강 변인들의 관련성" 한국체육과학회 29 (29): 411-421, 2020
13 이상훈,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조절효과- 청소년기 추적조사 자료(중2~고3)를 활용한 종단연구 -"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93-407, 2017
14 유영아,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비교"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05-319, 2018
15 최경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기보호능력을 매개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125-147, 2012
16 신은희,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대한불안의학회 14 (14): 21-27, 2018
17 조수경,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5-32, 2020
18 박민정,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 지지, 생리적 지수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35-344, 2019
19 조윤정, "청소년의 규칙적 아침식사를 위한 수면 관련 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 30 (30): 317-324, 2017
20 김태형, "청소년의 건강과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790-797, 2020
21 정윤주, "청소년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1215-1225, 2018
22 이봉주, "지표를통해 본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세이브더칠드런 ‧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2015
23 김현숙,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아침식사 여부에 따른 식생활 상태 평가 : 2013 ~ 2015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2 (52): 217-226, 2019
24 이진혁, "여가시간과 아동·청소년 삶의 만족도 관계에 관한 종단 연구: 고정효과모형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23-351, 2021
25 박기영, "아침식사와 청소년 건강"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4 (14): 340-349, 2011
26 채명옥,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기반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43-355, 2017
27 이수진, "대규모 조사 자료를 통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생활실태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95-111, 2021
28 김평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25-53, 2020
29 김선아,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161-169, 2020
30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20주년 기념식 및 제7기 3차년도 결과 발표회 자료집"
31 박재홍, "가구유형별 청소년의 아침식사 행태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8 (28): 329-340, 2017
32 Silberg, J., "The influence of genetic factors and life stress on depression among adolescence girls" 56 : 225-232, 1999
33 Freitas, Jr. I. F., "The association between skipping breakfast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sedentar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161 (161): 871-874, 2012
34 Frazier, P. A., "Testing moder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51 (51): 115-134, 2004
35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36 Alhola, P., "Sleep deprivation : impact on cognitive performance" 3 (3): 553-620, 2007
37 Tanaka, M.,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habits and the prevalence of fatigue in medical students" 24 : 985-989, 2008
38 Hirshkowitz, M., "National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1 (1): 40-43, 2015
39 Olds, T., "How do school-day activity patterns differ with age and gender across adolescence?" 44 (44): 64-72, 2009
40 Guthold, R., "Global trends in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 a pooled analysis of 298 population-based surveys with 1. 6 million participants" 4 : 23-25, 2020
41 Rudolph, K. D.,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responses to interpersonal stress during adolescence" 30 (30): 3-13, 2002
42 Cain, N., "Electronic media use and sleep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review" 11 (11): 735-742, 2010
43 Vaisman, N., "Effect of breakfast timing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0 : 1089-1092, 1996
44 Schnettler, B., "Eating habit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ypology of students in Chilean State University" 89 : 203-214, 2015
45 Chan, S. M., "Daily hassle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anxiety in children" 11 (11): 238-250, 2016
46 Perron-Gelinas, A., "Can sports mi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gation on peer rejection" 50 : 26-35, 2017
47 Reeves, S., "Breakfast habits, beliefs and measures of health and wellbeing in a rationally representative UK sample" 60 : 51-57, 2013
48 보건복지부, "2019 국민건강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
49 류정희,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19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및 행복과의 구조적 관계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이미지의 관계: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체형, 비만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