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체형, 비만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4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학년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 체형, 비만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2곳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s, ANOVA, 카이제곱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비만스트레스(r=-.299, p<.001), 주관적 체형(r=-.299, p<.001), 체형만족도(r=-.263, p<.001), 평균학점(r=.174,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주요 영향요인은 비만스트레스(β=-.22, p=.002), 주관적 체형(β=-.12, p=.024), 평균학점(β=-.14, p=.03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본 연구 모형의 설명력은 12.9% 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인식 향상을 통한 건강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체형인식과 비만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성적향상 및 건강생활 유지를 위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4학년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 체형, 비만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생활 실...

      본 연구의 목적은 4학년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 체형, 비만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2곳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s, ANOVA, 카이제곱 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비만스트레스(r=-.299, p<.001), 주관적 체형(r=-.299, p<.001), 체형만족도(r=-.263, p<.001), 평균학점(r=.174,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주요 영향요인은 비만스트레스(β=-.22, p=.002), 주관적 체형(β=-.12, p=.024), 평균학점(β=-.14, p=.03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본 연구 모형의 설명력은 12.9% 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인식 향상을 통한 건강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체형인식과 비만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성적향상 및 건강생활 유지를 위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figure, subjective body shape, obesity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living program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performed to 232,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f two college in one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s, ANOVA,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oftware. This study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r=-.299, p<.001), body shape satisfaction(r=-.263, p<.001), academic achievement(r=.174, p<.01).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β=-.12, p=.024) and academic achievement(β=-.14, p=.031). This model explained 12.9% in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rograms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to teach the right knowledge about body shape, to reduce the obesity stres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and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figure, subjective body shape, obesity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figure, subjective body shape, obesity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living program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performed to 232, 4th grad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f two college in one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s, ANOVA,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oftware. This study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r=-.299, p<.001), body shape satisfaction(r=-.263, p<.001), academic achievement(r=.174, p<.01).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obesity stress(β=-.22, p=.002), subjective body shape(β=-.12, p=.024) and academic achievement(β=-.14, p=.031). This model explained 12.9% in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rograms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to teach the right knowledge about body shape, to reduce the obesity stress, to improve the academic ability and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I. 서론
      • II. 연구방법
      • III. 연구결과
      • Ⅳ. 논의
      • V.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신, "한국 청소년에서 실제 비만도 및 주관적인 체형 인식과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5 (15): 129-135, 2015

      2 조양래, "학령기 아동의 비만스트레스와 우울"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3 장세균, "체형지수(A Body Shape Index)와 주관적 불건강 상태(Poor Self-Rated Health)와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09-128, 2018

      4 박미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 년도 자료(2013-2016) 활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45-753, 2018

      5 박지현,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93-202, 2017

      6 서인주,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행위, 건강문제 및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69-382, 2013

      7 최부영, "여대생의 체형인식과 비만지식 및 비만스트레스 조사" 한국미용학회 14 (14): 1052-1064, 2008

      8 장제현, "여대생의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체형 인식, 식습관 및 비만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1 (21): 131-137, 2015

      9 이채경,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인식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건강증진실천 비교연구" 12 (12): 115-130, 2017

      10 김원기, "여대생의 BMI에 따른 체형인식이 체형만족도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66) : 671-678, 2016

      1 김혜신, "한국 청소년에서 실제 비만도 및 주관적인 체형 인식과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5 (15): 129-135, 2015

      2 조양래, "학령기 아동의 비만스트레스와 우울"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3 장세균, "체형지수(A Body Shape Index)와 주관적 불건강 상태(Poor Self-Rated Health)와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09-128, 2018

      4 박미라,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 년도 자료(2013-2016) 활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45-753, 2018

      5 박지현,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93-202, 2017

      6 서인주,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행위, 건강문제 및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69-382, 2013

      7 최부영, "여대생의 체형인식과 비만지식 및 비만스트레스 조사" 한국미용학회 14 (14): 1052-1064, 2008

      8 장제현, "여대생의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체형 인식, 식습관 및 비만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21 (21): 131-137, 2015

      9 이채경,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인식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건강증진실천 비교연구" 12 (12): 115-130, 2017

      10 김원기, "여대생의 BMI에 따른 체형인식이 체형만족도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66) : 671-678, 2016

      11 안진상, "아동․청소년의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205-231, 2013

      12 곽호경, "서울지역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체형인식,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습관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72-682, 2011

      13 김미진, "비만인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의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 30 (30): 336-343, 2017

      14 정영미, "비만도에 따른 여대생의 건강습관, 체성분 및 신체상 비교"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87-102, 2005

      15 장인순, "대학생의 체형 인식과 비만 정도 및 운동과 식습관 변화단계 영향요인: 범이론적 모형 적용"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2 (22): 167-176, 2015

      16 이종복, "대학생의 건강지각이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경영학회 19 (19): 129-135, 2021

      17 김영복, "대학생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캠퍼스 기반의 건강증진전략: 건강목표, 건강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4 (34): 69-82, 2017

      18 조범영, "대학생들의 건강관련 행태, 비만, 그리고주관적 건강상태" 5 (5): 58-63, 2012

      19 김수희, "다수준 생존분석을 이용한 신규 간호사 이직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6 (46): 733-743, 2016

      20 이현주, "기숙사 남녀 대학생의 주관적 체형인식, 비만도, 체중조절 행태가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73-583, 2013

      21 김원표, "기본통계분석" 공동체출판사 2019

      22 이영옥, "국내 병원간호사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30 (30): 1-17, 2018

      23 김기봉,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요인" 대한산업경영학회 18 (18): 1-7, 2020

      24 김상욱,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의 불일치: 한국의 사례" 통계청 22 (22): 92-120, 2017

      25 강기선, "간호학생의 체질량지수와 체형인식도 및 체중조절행위"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3492-3499, 2012

      26 손영주,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345-351, 2010

      27 문미영,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161-170, 2018

      28 정향진,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도와 비만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4 (14): 145-154, 2019

      29 김정숙,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421-430, 2020

      30 Whitaker, A., "The struggle to be thin : a survey of anorexic and bulimic symptoms in a non-referred adolescent population" 19 (19): 143-163, 1989

      31 Segovia, J., "The association between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individual health practices" 80 (80): 32-37, 1989

      32 김동식, "The Effects of Actual and Perceived Body Weight on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Depressed Mood among Adult Women in Seoul, Korea" 대한예방의학회 41 (41): 323-330, 2008

      33 Idler, E. L.,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the NHANES-1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80 (80): 446-452, 1990

      34 Idler, E. L.,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38 (38): 21-37, 1997

      35 Boardman, J. D., "Self rated health among U.S. adolescents" 38 : 401-408, 2006

      36 Wang, Y., "Measured body mass index, body weight perception, dissatisfaction and control practices in urban, low-Income African American adoslescents" 9 : 183-, 2009

      37 Baruth, M., "Health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of African American adults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tatus" 24 (24): 97-103, 2014

      38 한정원, "Effect of Job Demands and Resources by Nurses on Health Problem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Burnout and Engagement"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03-112, 2016

      39 Cabrera, E. O. G., "Comparison of yukon women by weight loss effort and body mass index : self-reported nutrition and exercise practices and beliefs and self-rated health" 59 (59): 67-74, 1998

      40 Fallon, A.,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The Guilford Press 80-109, 1990

      41 Liechty, J. M., "Body image distortion and three types of weight loss behaviors among non-overweight girls in the United States" 47 (47): 176-182, 2010

      42 Wardle, J.,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30 : 644-65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