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정주의 초기 시와 언어 미학적 태도 =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Seo, Jeong-ju got outstanding poetic sensitivity from the western modern poetry, such as Baudelaire and Rimbaud in which he was absorbed of the times. I...

      This article reviewed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Seo, Jeong-ju got outstanding poetic sensitivity from the western modern poetry, such as Baudelaire and Rimbaud in which he was absorbed of the times. Ironically, this can make him to find national sensitivity that is complete opposite of western modern poetry.
      Seo, Jeong-ju cannot help falling in national sensitivity and also gives up all his poetic desire. Non other than mother tongue gives not perfectly all but flawed to him. Mother tongue is almost the identification which could not help avoiding, Seo, Jeong-ju gets through to the poetry. Seo, Jeong-ju perceives intuitively the possibility of mother tongue which assaults without warning to him in the name of modern destiny. It could almost allow him to take a long chance to imagine the world of national poetry which mother tongue only can do complete.
      It is very important to explain concretely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most delicate attitude in his 1930~1940’s poetry.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1930~1940’s poetry are not distinct different from his aesthetic principle in the early Poetry. If he rediscover nation language from dialect and colloquial style in that process, we have to profound study why this disposition of language creates effect in his po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 제기
      • Ⅱ. 비극적 현실과 조선어로부터의 탈출
      • Ⅲ. 모어의 신원증명과 작시의 고민
      • Ⅳ. 들뜬 언어와 국민시가의 헛된 희망
      • Ⅴ. 시적 발견으로의 길
      • Ⅰ. 문제 제기
      • Ⅱ. 비극적 현실과 조선어로부터의 탈출
      • Ⅲ. 모어의 신원증명과 작시의 고민
      • Ⅳ. 들뜬 언어와 국민시가의 헛된 희망
      • Ⅴ. 시적 발견으로의 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걸, "친일문학작품선집 2" 실천문학사 1986

      2 "조선일보, 매일신보"

      3 김재용, "전도된 오리엔탈리즘으로서의 친일문학: 서정주의 친일문학에 대하여" (여름) : 2002

      4 김춘식, "자족적인 ‘시의 왕국’과 ‘국민시인’의 상관성 -서정주의 ‘현재의 순간성’과 ‘영원한 미래, 과거’" 한국문학연구소 (37) : 335-367, 2009

      5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임화 문학예술 전집 2" 소명출판 2009

      6 김승구, "일제 말기 서정주의 자전적 기록에 나타난 행동의 논리와 상황" 대동문화연구원 (65) : 461-485, 2009

      7 유종호, "유나와 수나와 김동석"

      8 이광호, "영원의 시간, 봉인된 시간, In 미당연구" 민음사 1994

      9 서정주, "시창작법" 선문사 1949

      10 이숭원, "서정주의 친일과 시정신 재론" (49) : 2011

      1 김병걸, "친일문학작품선집 2" 실천문학사 1986

      2 "조선일보, 매일신보"

      3 김재용, "전도된 오리엔탈리즘으로서의 친일문학: 서정주의 친일문학에 대하여" (여름) : 2002

      4 김춘식, "자족적인 ‘시의 왕국’과 ‘국민시인’의 상관성 -서정주의 ‘현재의 순간성’과 ‘영원한 미래, 과거’" 한국문학연구소 (37) : 335-367, 2009

      5 임화문학예술전집 편찬위원회, "임화 문학예술 전집 2" 소명출판 2009

      6 김승구, "일제 말기 서정주의 자전적 기록에 나타난 행동의 논리와 상황" 대동문화연구원 (65) : 461-485, 2009

      7 유종호, "유나와 수나와 김동석"

      8 이광호, "영원의 시간, 봉인된 시간, In 미당연구" 민음사 1994

      9 서정주, "시창작법" 선문사 1949

      10 이숭원, "서정주의 친일과 시정신 재론" (49) : 2011

      11 황현산, "서정주의 시세계, In 말과 시간의 깊이" 문학과지성사 2002

      12 남기혁, "서정주의 동양 인식과 친일의 논리" 국제어문학회 (37) : 91-125, 2006

      13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14 박현수, "서정주와 미학적 기획으로서의 신라정신-사소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4) : 89-119, 2006

      15 황현산, "서정주, 농경 사회의 모더니즘, In 미당 연구" 민음사 1994

      16 최현식, "서정주 시의 근대와 반근대" 소명출판 2003

      17 이숭원,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한국시학회 (29) : 89-115, 2010

      18 허윤회, "서정주 시 연구" 성균관대 2000

      19 서정주, "서정주 문학전집 1~5" 일지사 1972

      20 김윤식, "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서울대출판부 2002

      21 서정주, "미당 시전집 1" 민음사 1994

      22 박수연, "근대 한국 서정시의 두 얼굴: 미당 문학에 대하여" (봄) : 2002

      23 서정주, "花蛇集" 남만서고 1941

      24 서정주, "歸蜀道" 선문사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