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공주의가 한국사회에서 제도적 장치와 개인의 내면적 심리기제로서 구축되는 양상과 한국문학이 반공주의의 사회․문화적 자장 속에서 굴절을 겪으면서도 심화되는 과정을 고찰함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4176
-
2006년
Korean
반공주의 ; 공산주의 ; 주인 기표 ; 지배이데올로기 ; 국가 만들기 ; 국민 만들기 ; 문화정책 ; 구조화된 구조 ; 구조화하는 구조 ; 욕망의 기계적 배치 ; 기억의 문화 ; 문학제도 ; 문학권력 ; 지형도 ; 정전화 ; 문학교육 ; 반공·호국 문학 ; 검열 장치 ; 필화 ; 도덕주의 ; 탈냉전 ; 다원성 ; 문학주의 ; 표상체계 ; 심상지리 ; 공포증 ; 가부장적 권력 ; 개작 ; 반미주의 ; 진보주의 ; 냉전논리 ; 순수문학 ; 규율장치 ; 성장주의 ; 민중문학 ; 민족주의 ; 국가주의 ; 문학의 장 ; 국어교과서 ; Anti-Communism ; Communism ; Master-Signifier ; Dominating-Ideology ; Government Making ; Cultural Policy ; Culture of Memory ; Topographical map ; Canon ; System of Sensory ; Morality ; Post-Cold War ; A Trouble brought by a slip of the pen ; System of Representation ; Phobia ; Reformation ; Anti-Americanism ; Logic of Cold War ; Racialism ; Nationalism ; Charmp of Literature ; Text-book of Korean Literature & Language.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반공주의가 한국사회에서 제도적 장치와 개인의 내면적 심리기제로서 구축되는 양상과 한국문학이 반공주의의 사회․문화적 자장 속에서 굴절을 겪으면서도 심화되는 과정을 고찰함으...
반공주의가 한국사회에서 제도적 장치와 개인의 내면적 심리기제로서 구축되는 양상과 한국문학이 반공주의의 사회․문화적 자장 속에서 굴절을 겪으면서도 심화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사회와 한국문학을 추동해온 근대적 동학으로서의 반공주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던 본 과제의 1차년 연구수행은 다섯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⑴ 문단 정립과 문단권력의 형성 부문 : 문학잡지들이 반공의식을 공고히 하면서 순수문학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과 ‘예술원’ 성립 과정에서 파생된 반공 문예 조직의 강화와 분열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문학문단 형성기에 반공주의와 한국 아동문단 형성의 상관성을 밝혀 문학과 정치 이념과의 영향관계와 문단의 형성과정을 밝혔다. ⑵ 문학교육과 문학텍스트의 정전화 부문 : 반공의 이념으로 통일된 현실에서 여성 종군작가들의 문학과 국가와의 유착관계를 살펴보았고 교육권력 중심으로 교육장을 고찰하면서 반공주의의 관점에서 교과서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⑶ 반공・호국문학의 양상 부문 : 전쟁 중에 육군에서 발간된 『전선문학』 이하 해・공군에서 발간된 『해군』, 『창공』 등의 내적 구조를 살펴 반공주의가 수용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기에 나타난 전쟁기억을 통해서 반공주의가 구축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⑷ 검열장치와 필화사건 부문 : 남정현 소설을 중심으로 반공주의와 필화사건의 논리를 밝혀 반공주의의 형성과 확대 재생산 과정을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 행해진 검열의 구체적 양상을 실증적으로 살펴 검열과 필화를 중심으로 문학의 창작과 유통, 수용에 반공주의가 어떤 형태로 개입하였는가를 역동적으로 고찰하였다. ⑸ 반공주의의 작동양상과 사적 지형도 부문 : 1960년대 순수․참여 논쟁을 살펴보면서 반공주의가 정치적 억압에 대항하는 응전력을 갖추는 과정이었음을 밝혔다. 또한 미국담론과 반공주의의 관련 양상 속에서 반공주의의 형성 과정을 사적으로 추적하고 해방기에 대한 회고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 작품의 자율적 계기와 이데올로기적 토대나 역학관계를 살펴 한국문학의 입체적인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보조원을 제외한 참여인력 전원이 논문 1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낳았다. 2차년의 연구계획은 1차년의 연구 성과를 확장, 심화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1년차 작업을 바탕으로 반공주의가 구체적인 문학 현상에 미친 영향과 탈반공의 흐름이 문학 장을 어떻게 재편했는지를 규명했다. ⑴ 반공주의가 한국문학의 미적 전유방식에 미친 영향 부문 : 문학과 반공주의에 대한 미적 기획의 차별성과 동일성을 연구하여 은폐된 반공주의의 영향력을 밝혀냈다. ⑵ 반공주의가 한국문학의 텍스트 내부의 현상에 미친 영향 부문 : 다양한 문학적 표상을 검토하여 반공주의와 관련된 한국문학의 표상과 맥락을 계보화했다. ⑶ 반공과 탈반공의 역학관계와 문학장의 재편 부문 : 반공주의가 한국문학에 미친 영향은 탈반공의 흐름 속에서 문학 장을 어떻게 재편하였는지를 총체적으로 조명했다. ⑷ 한국 현대문학사의 장과 반공주의 부문 : 북한문학의 장르별 연구와 주체문예이론에 대한 접근에 의한 북한문학에 대한 연구 등이 시도되면서 남북문학을 통합할 수 있는 문학사적 논리가 타진했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인 ⑴ 반공주의와 한국문학의 역학관계 분석 ⑵ 반공주의가 한국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 ⑶ 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구축을 달성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사회와 한국문학을 추동해온 근대적 동학으로서의 반공주의가 입체적․역동적으로 규명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중간발표 내용 1. 남원진: 국가의 문예 조직의 법적 통제와 관리 -'예술원' 성립과 반공 문단의 파열 2. 조미숙: 지배이데올로기의 교과서 전유양상- 반공주의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중간발표 내용
1. 남원진: 국가의 문예 조직의 법적 통제와 관리 -'예술원' 성립과 반공 문단의 파열
2. 조미숙: 지배이데올로기의 교과서 전유양상- 반공주의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3. 임경순: 검열논리의 내면화와 문학의 정치성
4. 선안나: 한국 아동문단의 형성과 반공주의
학술대회 증빙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