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筋骨格系 領域에서 Thermography의 臨床的 活用에 對한 考察 = A Study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rmography in Musculoskeletal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골격계 질환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상의 하나로 그 진단과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여러 가지 진단기기와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Thermography는 기존의 진단기기와 달리 질병의 기능적인 측면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통증과 같은 주관적인 표현을 어느정도 객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가치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의 임상 논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영역에서 Thermography의 활용 동향을 고찰하여 진단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Thermography는 척추신경병증, 근막동통증후군, 말초신경병증,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레이노증후군, 악관절 장애 및 일부 기타 질환에서 적용되었으며, 대부분의 질환에서 보조적인 진단기기로 활용가치가 있었다. 특히, 질병의 경과 관찰과 약물 및 기타 처치에 대한 효과 판정에 유용하였으며, 레이노 증후군 및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과 같은 질병에서는 일차적인 진단기기로도 활용이 가능하였다. 향후 근골격계 영역에서 Thermography의 보다 폭넓은 적용을 위해서는 질환에 따른 적절한 촬영방법의 개발 및 결과 판독에 대한 객관성 확보가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근골격계 질환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상의 하나로 그 진단과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여러 가지 진단기기와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Thermography는 기존의 진단기기와 달리 ...

      근골격계 질환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상의 하나로 그 진단과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여러 가지 진단기기와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Thermography는 기존의 진단기기와 달리 질병의 기능적인 측면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통증과 같은 주관적인 표현을 어느정도 객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가치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외의 임상 논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영역에서 Thermography의 활용 동향을 고찰하여 진단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Thermography는 척추신경병증, 근막동통증후군, 말초신경병증,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레이노증후군, 악관절 장애 및 일부 기타 질환에서 적용되었으며, 대부분의 질환에서 보조적인 진단기기로 활용가치가 있었다. 특히, 질병의 경과 관찰과 약물 및 기타 처치에 대한 효과 판정에 유용하였으며, 레이노 증후군 및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과 같은 질병에서는 일차적인 진단기기로도 활용이 가능하였다. 향후 근골격계 영역에서 Thermography의 보다 폭넓은 적용을 위해서는 질환에 따른 적절한 촬영방법의 개발 및 결과 판독에 대한 객관성 확보가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rmography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Thermography is noninvasive, easy to reading, objective and physiologic instrument by measuring and imaging infrared energy emitted from skin surface.
      Thermography can show the skin temperature changes in various conditions of the body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This literature review was done for the usefulness of thermography in diagnosing musculoskeletal disease.
      In conclusion, thermography was adapted in radiculopathy, MPS, peripheral neuropathy, RSD, Raynaud's phenomen, TMJ dysfunction, etc. It was useful as a secondary diagnostic method in those diseases, also possible as a primary diagnostic method in RSD, Raynaud's phenomen. And, it might be reliable tool for estimating disease procedure and consequence after treatment. But, the objectivity of the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ng method are required for further adaptation in musculoskeletal disea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rmography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Thermography is noninvasive, easy to reading, objective and physiologic instrument by measuring and imaging infrared energy emitted from 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rmography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Thermography is noninvasive, easy to reading, objective and physiologic instrument by measuring and imaging infrared energy emitted from skin surface.
      Thermography can show the skin temperature changes in various conditions of the body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This literature review was done for the usefulness of thermography in diagnosing musculoskeletal disease.
      In conclusion, thermography was adapted in radiculopathy, MPS, peripheral neuropathy, RSD, Raynaud's phenomen, TMJ dysfunction, etc. It was useful as a secondary diagnostic method in those diseases, also possible as a primary diagnostic method in RSD, Raynaud's phenomen. And, it might be reliable tool for estimating disease procedure and consequence after treatment. But, the objectivity of the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operating method are required for further adaptation in musculoskeletal dise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緖論
      • Ⅱ.調査資料
      • Ⅲ.本論
      • 1.국내연구
      • 2.국외연구
      • Ⅰ.緖論
      • Ⅱ.調査資料
      • Ⅲ.本論
      • 1.국내연구
      • 2.국외연구
      • Ⅳ.考察
      • 1.추간판 탈출증 등의 척추신경병증에서의 이용 현황
      • 2.근막동통 증후군을 비롯한 만성적인 통증 질환에서의 이용 현황
      • 3.말초신경 손상에서의 이용 현황
      • 4.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Reflex Sympathetic Dystrophy)에서의 이용 현황
      • 5.레이노 증후군에서의 이용 현황
      • 6.악관절 장애에서의 이용 현황
      • 7.기타 질환에서의 이용 현황
      • Ⅴ.結論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