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 대중화: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Television Programs : The Case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6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Western modern history,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d art museum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 technology that allowed image duplic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art education. In contrast, interest in the popularization of art in Korea was expressed by artists in relation to the Proletarian Arts Movement, but these artists als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art knowledge and art appreciation. In both Korean and Western c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opularization has been inseparable from 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aspect. In a similar context, the study has examined potentialities of television broadcasting as today’s educational medium for popularization of art. It has also reviewed the schedule and duration, the contents and forms of domestic television art programs. Finally, the study analysed the problems of television art programs and suggested three tasks in terms of popularization of art. Firstly, more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be scheduled and quality programs should be allotted to the prime time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right of choice and accessibility. Secondly, the roles of television as an art teaching medium should be revisited. The television art programs with unilateral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abandoned, while the programs with reflective thinking for visual culture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Thirdly,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include topics to embrace audience with diverse background or multitude.
      번역하기

      In Western modern history,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d art museum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 technology that allowed image duplic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

      In Western modern history,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d art museums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photo technology that allowed image duplic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art education. In contrast, interest in the popularization of art in Korea was expressed by artists in relation to the Proletarian Arts Movement, but these artists als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art knowledge and art appreciation. In both Korean and Western c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opularization has been inseparable from 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aspect. In a similar context, the study has examined potentialities of television broadcasting as today’s educational medium for popularization of art. It has also reviewed the schedule and duration, the contents and forms of domestic television art programs. Finally, the study analysed the problems of television art programs and suggested three tasks in terms of popularization of art. Firstly, more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be scheduled and quality programs should be allotted to the prime time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right of choice and accessibility. Secondly, the roles of television as an art teaching medium should be revisited. The television art programs with unilateral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abandoned, while the programs with reflective thinking for visual culture environment should be developed. Thirdly, television art programs should include topics to embrace audience with diverse background or mul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구 근대사에 있어서 미술 대중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것은 공립학교와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이었고, 이미지 복제를 가능케 한 사진영상 기술은 미술교육을 통한 미술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반면, 국내에서의 미술 대중화에 대한 관심은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과의 관련성 속에서 미술가들에 의해 표출되었으며, 이들도 미술지식과 감상안 육성을 강조하였다. 국내외 사례 모두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미술 대중화와 미술교육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그와 비슷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미술 대중화를 위한 교육매체로서 텔레비전 방송의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국내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 사례의 편성 시간과 기간, 내용 구성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대중화의 관점에서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미술 대중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편성 수를 늘리고 양질의 프로그램을 주시청시간대에 편성하도록 노력함으로써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선택권과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일방향의 정보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미술교육 매체로서의 텔레비전의 역할에 대해 재고해야 하며, 시각문화 환경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키워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중’으로서의 시청자의 다양한 특성과 배경을 고려하여 미술 프로그램의 주제를 발굴해야 한다.
      번역하기

      서구 근대사에 있어서 미술 대중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것은 공립학교와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이었고, 이미지 복제를 가능케 한 사진영상 기술은 미술교육을 통한 미술 대중화에 큰 기...

      서구 근대사에 있어서 미술 대중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것은 공립학교와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이었고, 이미지 복제를 가능케 한 사진영상 기술은 미술교육을 통한 미술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하였다. 반면, 국내에서의 미술 대중화에 대한 관심은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과의 관련성 속에서 미술가들에 의해 표출되었으며, 이들도 미술지식과 감상안 육성을 강조하였다. 국내외 사례 모두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미술 대중화와 미술교육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그와 비슷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미술 대중화를 위한 교육매체로서 텔레비전 방송의 잠재력을 확인하였고, 국내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 사례의 편성 시간과 기간, 내용 구성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대중화의 관점에서 텔레비전 미술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미술 대중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편성 수를 늘리고 양질의 프로그램을 주시청시간대에 편성하도록 노력함으로써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선택권과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일방향의 정보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미술교육 매체로서의 텔레비전의 역할에 대해 재고해야 하며, 시각문화 환경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키워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중’으로서의 시청자의 다양한 특성과 배경을 고려하여 미술 프로그램의 주제를 발굴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메리 앤 스탠키위츠,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 미진사 2014

      2 한진만,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 키다 에미코, "프롤레타리아 美術運動에 있어서 芸術大衆化 論争 プロレタリア美術運動における芸術大衆化論争" 2 : 2012

      4 김선미, "프랑스 문화정책 준거의 발전과 문화의 민주화" 인문학연구원 (21) : 139-173, 2012

      5 미술세계 편집부, "특별좌담, 미술의 ‘생활화’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225 : 2003

      6 김진호, "특별좌담, 미술과 대중화" 129 : 1995

      7 안혜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의 대중화: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In 미술이론 교육의 대중화" 2016

      8 강주현,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와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32) : 31-65, 2014

      9 성민우, "종합일간지 미술기사 분석으로 본 한국사회의 미술 대중화"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173-202, 2012

      10 이진성, "조선미술동맹의 <이동미술전람회> 개최에 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2) : 177-214, 2004

      1 메리 앤 스탠키위츠, "현대 미술교육의 뿌리" 미진사 2014

      2 한진만, "한국 텔레비전 방송 50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 키다 에미코, "프롤레타리아 美術運動에 있어서 芸術大衆化 論争 プロレタリア美術運動における芸術大衆化論争" 2 : 2012

      4 김선미, "프랑스 문화정책 준거의 발전과 문화의 민주화" 인문학연구원 (21) : 139-173, 2012

      5 미술세계 편집부, "특별좌담, 미술의 ‘생활화’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225 : 2003

      6 김진호, "특별좌담, 미술과 대중화" 129 : 1995

      7 안혜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의 대중화: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In 미술이론 교육의 대중화" 2016

      8 강주현,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와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32) : 31-65, 2014

      9 성민우, "종합일간지 미술기사 분석으로 본 한국사회의 미술 대중화"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173-202, 2012

      10 이진성, "조선미술동맹의 <이동미술전람회> 개최에 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2) : 177-214, 2004

      11 박영택, "전시장 가는 길" 마음산책 2008

      12 이광록, "방송에 있어서 이미지의 재현과 변용의 가능성 KBS 디지털미술관을 중심으로" 10 : 2005

      13 성민우, "미술의 대중화의 의미와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미술교육학회 24 (24): 277-298, 2010

      14 손봉호, "대중과 문화" 2 (2): 1978

      15 윤수종, "네그리·하트의 『제국』, 『다중』, 『공통체』 읽기" 세창미디어 2015

      16 Feldman, "Thinking about art" Prentice-Hall, Inc. 1985

      17 김호정, "TV미술교육 프로그램 현황 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8 전규찬, "TV 이후의 텔레비전: 포스트 대중매체 시대의 텔레비전 문화 정경" 한울아카데미 2012

      19 이광준, "TV 방송매체의 문화예술적 활용 방안 :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4

      20 전종영, "TV 방송매체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21 서정보, "KBS코리아 ‘디지털 미술관’ 대중 속으로…"

      22 Ahn, Hyeri, "Instructional Use of the Internet by High School Art Teachers in Missouri" 2003

      23 김성호, "30초, 세상을 움직여라! LG광고 반세기"

      24 문화체육관광부,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25 문화체육관광부,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26 송은영, "1970년대 후반 한국 대중사회 담론의 지형과 행방" 한국문학연구학회 (53) : 103-136, 2014

      27 김승환, "1930년대 후반 프랑스 미술의 만인을 위한 미술 혹은 미술의 대중화 이념 - 프랑스 인민전선 문화 주체의 활동과 페르낭 레제의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학회 (16) : 263-29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1.04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