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검은잎마름병을 일으키는 A. dauci의 포자 생장 시기에 따른 chlorothalonil, dithianon, folpet, iminoctadine trisalbesilate, fluazinam의 효과를 포자 생존 검정법과 한천희석법으로 검정하였다. 포자 생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19311
도지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Jiwon Do ; Heung Tae Kim
2024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31-138(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당근검은잎마름병을 일으키는 A. dauci의 포자 생장 시기에 따른 chlorothalonil, dithianon, folpet, iminoctadine trisalbesilate, fluazinam의 효과를 포자 생존 검정법과 한천희석법으로 검정하였다. 포자 생존 ...
당근검은잎마름병을 일으키는 A. dauci의 포자 생장 시기에 따른 chlorothalonil, dithianon, folpet, iminoctadine trisalbesilate, fluazinam의 효과를 포자 생존 검정법과 한천희석법으로 검정하였다. 포자 생존 검정법과 한천희석법으로 조사한 A. dauci CDSGM2-5를 비롯한 7개 균주의 chlorothalonil 에 대한 평균 EC<sub>50</sub>값은 14.21 ㎍/ml와 100 ㎍/ml 이상이었다. Dithianon과 folpet 역시 포자 생존 검정법의 EC<sub>50</sub>값이 한천희석법보다 낮았지만, iminoctadine tris-albesilate는 한천희석법으로 조사한 EC<sub>50</sub>값이 더 낮았다. Fluazinam은 포자 생존 검정법과 한천희석법의 EC<sub>50</sub>값이 각각 1.63 ㎍/ml와 2.40 ㎍/ml로, 두 방법의 EC<sub>50</sub>값이 비슷하였다. A. dauci KACC 42997의 포자생장 단계에 따라 각 살균제를 처리한 결과, chlorothalonil, dithianon, folpet은 포자가 발아한 이후에 처리하면 발아하기 전에 처리하였을 때보다 효과가 감소하였으나, iminoctadine trisalbesilate는 포자 접종과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10.28 ㎍/ml였던 EC<sub>50</sub>값이 포자가 발아한 후에 처리하면 2.68 ㎍/ml에서 3.21㎍/ml까지 감소하여, 포자 발아 후에 처리하였을 때 효과가 우수하였다. Fluazinam은 접종하는 포자에서 발아관이 장경보다 길게 발아한 포자까지 처리하여도 포자의 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다. 하지만 iminoctadine tris-albesilate와 fluazinam을 12시간을 배양한 후에 처리하면 EC<sub>50</sub>값이 8.87 ㎍/ml와 20.65 ㎍/ml로 상승하면서 억제 효과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살균제의 적합한 처리 시기는 병원균의 포자 생장 시기에 따라서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살균제 처리 시기의 결정은 병원균의 생장 시기에 대한 살균제의 효과까지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five fungicides on the spore growth phase of Alternaria dauci, which causes carrot leaf blight, were tested using the spore viability assay (SVA) and agar dilution method (ADM). The average EC<sub>50</sub> values for chlorot...
The effects of five fungicides on the spore growth phase of Alternaria dauci, which causes carrot leaf blight, were tested using the spore viability assay (SVA) and agar dilution method (ADM). The average EC<sub>50</sub> values for chlorothalonil against seven isolates of A. dauci examined by SVA and ADM were 14.21 ㎍/ml and more than 100 ㎍/ml. Dithianon and folpet also had lower EC<sub>50</sub> values in SVA than in ADM, while iminoctadine trisalbesilate had lower EC<sub>50</sub> value in ADM. For fluazinam, the EC<sub>50</sub> values of SVA and ADM were 1.63 and 2.40 ㎍/ml, respectively. As EC<sub>50</sub> values of five fungicides according to the spore growth phase of A. dauci KACC 42997, the efficacy of each fungicide as chlorothalonil, dithianon, and folpet decreased when treated after spore germination rather than when treated with spores before germination. However, iminoctadine tris-albesilate was more effective when treated after spores germinated than when treated before treatment. The excellent effect of fluazinam on the pathogen was maintained until A. dauci KACC 42997 was cultured in potato dextrose broth for 6 hr and the germ tube grew beyond the size of the spore. However, when treated with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nd fluazinam after culturing for 12 hr, as the EC<sub>50</sub> values of the two fungicides increased to 8.87 and 20.65 ㎍/ml, their efficacies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treatment time of the fungicide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fungicide on the spore growth phase of pathogens.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생존에 관여하는 Sigma S 역할
2021년 국내 포도원에서의 5종 포도 바이러스 감염 실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