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mith, M. S.,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경문사 2013
2 우정호,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안선영,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25-41, 2006
4 박은률,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305-322, 2010
5 김정하,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 지도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509-531, 2011
6 박선영,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495-515, 2012
7 정동권,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13 (13): 1-36, 2001
8 박혜경, "초등학교 5학년학생들의 넓이 측정과 관련된 지식 상태의분석" 37 : 79-90, 2006
9 유연자,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07, 2008
10 강문봉,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2001
1 Smith, M. S.,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경문사 2013
2 우정호,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 안선영,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25-41, 2006
4 박은률,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305-322, 2010
5 김정하,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 지도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509-531, 2011
6 박선영,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495-515, 2012
7 정동권,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13 (13): 1-36, 2001
8 박혜경, "초등학교 5학년학생들의 넓이 측정과 관련된 지식 상태의분석" 37 : 79-90, 2006
9 유연자,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07, 2008
10 강문봉,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2001
11 방정숙,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2005년도 교과공동연구 결과보고서" 2006
12 정경순,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삼각형 넓이 공식에 내재된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181-199, 2011
13 박성선, "수학적 탐구학습이 넓이공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43-55, 2011
14 최지선, "수학교육에 관한 드모르간의 관점 조명"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223-237, 2008
15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지도서 5-1" 두산동아 2011
16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익힘책 5-1" 두산동아 2011
17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5-1" 두산동아 2011
18 박선용, "넓이 개념의 SMSG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123-138, 2008
19 임아름,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1)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361-383, 2011
20 최길남, "算學書에서의 평면도형 넓이에 관한 연구" 영남수학회 26 (26): 191-218, 2010
21 Stephan, M., "Linear and area measurement in prekindergarten to grade 2, In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6, 2003
22 유미현,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에 근거한 제 7차 초등수학 교과서 5-가 단계 넓이 단원의 재구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3 (13): 115-140, 2009
23 Lehrer, R., "Developing understanding of measurement, In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3
24 Lehrer, R.,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In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00-122, 2003
25 Joram, E., "Benchmarks as tools for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7-67, 2003
26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